- 1 - 보도시점 : 2023. 4. 27.(목) 06:00 이후(4.27.(목) 석간) / 배포 : 2023. 4. 26.(수) 2022년 전국 교통량 조사통계 공표- 전국 교통량 하루 평균 15,983대··· '21년 대비 1.5% 증가 -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에 따라 버스 하루 평균 교통량 27.8% 상승-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 하남~퇴계원 구간이 가장 붐벼 □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도로정책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매년 실시하고 있는 「도로 교통량 조사 통계」 결과를 4월 27일(목)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ㅇ '22년 전국 평균 일교통량은 15,983대로 전년 대비 1.5%, 최근 10년간('13~'22년) 총 1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20년을 제외하고 평균 일교통량은 매년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ㅇ 이는 자동차 등록대수('13년 대비 31.5%↑)와 국내 총생산('13년 대비 25.7%↑)의 지속적 증가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 (평균 일교통량) 전체 교통량 조사 대상 도로 구간(고속국도, 일반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지방도) 중 임의의 지점에서 1일 교통량을 조사했을 때 예상되는 교통량 <최근 10년간 평균 일교통량 추이> 보도자료 - 2 - << 차종별 교통량 >> □ 차종별 평균 일교통량은 각각 전체(15,983대/일) 대비 승용차 72.8%, 화물차 25.3%, 버스 1.9%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승용차는 1.6% 증가, 버스 27.8% 증가, 화물차는 0.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차종별 평균 일교통량(‘21~’22년)> * 평균 일교통량 증감률 : 승용차 1.6%↑, 버스 27.8%↑, 화물차 0.2%↓ ㅇ 특히, 버스의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234대/일) 대비 65대 증가해 27.8%의상승률을 보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이후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대중교통, 전세버스 등 단체 이동수단 이용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버스 평균 일교통량 변화> - 3 - << 도로종류별 >> □ 도로의 종류별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 대비 고속국도는 2.2% 증가, 일반국도는 0.7% 증가한 반면, 국가지원지방도*는 4.0% 감소, 지방도는 3.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국가지원지방도 : 지방도 중 주요 도시, 공항, 항만 등을 연결하고, 국가 주요 도로망을보조하기 위해 대통령령으로 그 노선이 지정된 도로 <도로종류별 평균 일교통량(‘21~’22년)> * 평균 일교통량 증감률 : 고속국도 2.2%↑, 일반국도 0.7%↑, 국가지원지방도 4.0%↓, 지방도 3.7%↓ ㅇ 지역 간 주요 간선도로의 기능을 갖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21년에 이어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국가지원지방도와 지방도의 평균 일교통량은 코로나-19 이후 교통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도로구간별 >> □ 도로의 구간별 교통량을 분석한 결과, 고속국도는 수도권 제1순환 고속국도(남부)의 하남-퇴계원 구간이 216,198대, 일반국도는 77호선 서울시-장항IC 구간이 193,062대로 가장 많았다. ㅇ 2021년 가장 높은 평균 일교통량을 보였던 경부고속국도 신갈-판교 구간은 평균 일교통량이 2.3% 감소해 2022년에는 5위에 그쳤다. - 4 - <고속국도 구간별 평균 일교통량 순위(‘21~’22년)> 노선 구간 차로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하남-퇴계원 8 208,292 216,198 2 1 3.8%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서운-안현 8 194,558 212,713 4 2 9.3%경부고속국도 동탄-신갈 8 192,268 210,520 5 3 9.5%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노오지-서운 8 203,853 207,037 3 4 1.6%경부고속국도 신갈-판교 8 211,117 206,314 1 5 -2.3%<일반국도 구간별 평균 일교통량 순위(‘21~’22년)> 노선 구간 차로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일반국도77호선 서울시-장항IC 10 198,940 193,062 1 1 -3.0%일반국도42호선 사사동-수원시 8 137,038 125,451 2 2 -8.5%일반국도3호선 광주시-성남시 6 121,609 123,350 4 3 1.4%일반국도39호선 사사동-성포동 8 126,810 113,766 3 4 -10.3%일반국도77호선 장항IC-문발IC 8 109,203 101,809 5 5 -6.8%<< 지역별 교통량 >> □ 지역별 평균 일교통량은 전년 대비 강원도, 충청북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는 증가, 제주도와 경상북도는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ㅇ 특히, 제주도는 평균 일교통량 감소율이 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단체 이동수단인 버스의 평균 일교통량은 56.1% 증가한 반면, 승용차는 7.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일교통량(‘21~’22년)> * 평균 일교통량 증감률: 강원도 3.6%↑, 충청북도 2.5%↑, 경기도 2.2%↑, 충청남도 1.7%↑, 전라북도 1.2%↑, 전라남도 0.5%↑, 경상남도 0.3%↑, 경상북도 0.7%↓, 제주도 4.1%↓ - 5 - □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도로 교통량 통계연보’를 도로, 교통, 국토, 도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자료 및 연구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기관, 연구소, 대학 등에 배부할 예정이다. ㅇ 이 자료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을통해서도 4월 27일(목) 오후 6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담당 부서 도로국 책임자 팀 장 김상민 (044-201-4130) 디지털도로팀 담당자 사무관 안정인 (044-201-4135) - 6 - 붙임 도로교통량 조사 관련 통계표 연도별 평균 일 교통량 현황 구 분 교통량 (대/일) 전년대비 증감률 (%) 자동차등록 대수(천대) 전년대비 증감률 (%) 유가(원/L) 전년대비 증감률 (%) GDP(조) 전년대비증감률(%) 2013년 13,162 2.8 19,401 2.8 1,827 -3.6 1,563 3.2 2014년 13,378 1.6 20,118 3.7 1,732 -5.2 1,613 3.2 2015년 13,941 4.2 20,990 4.3 1,405 -18.9 1,658 2.8 2016년 14,525 4.2 21,803 3.9 1,293 -8 1,707 3 2017년 14,921 2.7 22,528 3.3 1,387 7.3 1,761 3.2 2018년 14,964 0.3 23,203 3 1,487 7.2 1,812 2.9 2019년 15,348 2.6 23,677 2 1,406 -5.4 1,849 2 2020년 15,187 -1 24,366 2.9 1,286 -8.5 1,831 -1 2021년 15,747 3.7 24,911 2.2 1,491 15.9 1,911 4.4 2022년 15,983 1.5 25,503 2.4 1,828 22.6 1,965 2.8 ※ 출처 : 자동차 등록대수(e-나라지표, ‘22년 기준), 유가(한국석유공사 오피넷, ’22년 기준), GDP(국가통계포털, ‘22년 기준) < 용어설명 > ☞ (평균 일교통량) 전체 교통량 조사 대상 도로 구간 중 임의의 지점에서 1일 교통량을 조사했을 때, 관측되는 기대 교통량 (expected value) 하루 평균 교통량 구간연장 교통량 ×구간연장 ※ 산출방법 예시 × 대일× 대일× 대일 대일 - 7 - 차종별 전체 평균 일 교통량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교통량(대/일) 구성비(%) 교통량(대/일) 구성비(%) 승용차 11,456 72.7 11,636 72.8 1.6 버스 234 1.5 299 1.9 27.8 화물차 4,057 25.8 4,048 25.3 -0.2 계 15,747 100.0 15,983 100.0 1.5 도로 종류별 평균 일 교통량 ㅇ 고속국도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교통량(대/일) 구성비(%) 교통량(대/일) 구성비(%) 승용차 35,430 69.5 36,217 69.5 2.2 버스 738 1.4 1,068 2.0 44.7 화물차 14,836 29.1 14,831 28.5 - 계 51,004 100.0 52,116 100.0 2.2 ㅇ 일반국도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교통량(대/일) 구성비(%) 교통량(대/일) 구성비(%) 승용차 10,149 77.0 10,248 77.3 1.0 버스 181 1.4 189 1.4 4.4 화물차 2,843 21.6 2,825 21.3 -0.6 계 13,173 100.0 13,262 100.0 0.7 ㅇ 국가지원지방도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교통량(대/일) 구성비(%) 교통량(대/일) 구성비(%) 승용차 6,459 73.3 6,259 74.0 -3.1 버스 148 1.7 179 2.1 20.9 화물차 2,206 25.0 2,021 23.9 -8.4 계 8,813 100.0 8,459 100.0 -4.0 ㅇ 지방도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교통량(대/일) 구성비(%) 교통량(대/일) 구성비(%) 승용차 4,098 73.9 3,945 73.9 -3.7 버스 103 1.9 120 2.2 16.5 화물차 1,342 24.2 1,275 23.9 -5.0 계 5,543 100.0 5,340 100.0 -3.7 - 8 - 노선별 평균 일 교통량 ㅇ 고속국도 노선 구간 차로 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하남-퇴계원 8 208,292 216,198 2 1 3.8% 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서운-안현 8 194,558 212,713 4 2 9.3% 경부고속국도 동탄-신갈 8 192,268 210,520 5 3 9.5% 수도권제1순환고속국도(남부) 노오지-서운 8 203,853 207,037 3 4 1.6% 경부고속국도 신갈-판교 8 211,117 206,314 1 5 -2.3% ㅇ 일반국도 노선 구간 차로 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일반국도77호선 서울시-장항IC 10 198,940 193,062 1 1 -3.0% 일반국도42호선 사사동-수원시 8 137,038 125,451 2 2 -8.5% 일반국도3호선 광주시-성남시 6 121,609 123,350 4 3 1.4% 일반국도39호선 사사동-성포동 8 126,810 113,766 3 4 -10.3%일반국도77호선 장항IC-문발IC 8 109,203 101,809 5 5 -6.8% ㅇ 국가지원지방도 노선 구간 차로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국지도78호선 걸포동-고촌면 6 120,919 111,448 1 1 -7.2% 국지도78호선 양촌읍-걸포동 6 - 73,578 - 2 - 국지도57호선 분당구-판교동 6 60,642 64,914 7 3 7.0% 국지도57호선 관양동-비산동 10 69,081 64,467 3 4 -6.7% 국지도23호선 기흥IC-기흥구 4 66,813 63,020 4 5 -5.7% ㅇ 지방도 노선 구간 차로수 교통량(대/일) 순위 증감률2021년 2022년 2021년 2022년 지방도309호선 천천IC-서수원IC 6 119,500 113,903 1 1 -4.7% 지방도1020호선 창원시-장유면 6 80,644 78,614 2 2 -2.6% 지방도357호선 강매IC-송산IC 6 73,685 75,578 4 3 2.6% 지방도309호선 봉담읍-천천IC 4 74,681 71,176 3 4 -4.7% 지방도356호선 주교동-삼송동 8 66,706 68,981 6 5 3.6% - 9 - 지역별 평균 일 교통량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계 승용 버스 화물 계 승용 버스 화물 계 승용 버스 화물전국 15,747 11,456 234 4,057 15,983 11,636 299 4,048 1.5 1.6 27.8 -0.2 경기도 39,227 29,741 557 8,929 40,086 30,329 762 8,995 2.2 2.0 36.8 0.7 강원도 8,148 6,296 146 1,706 8,440 6,567 194 1,679 3.6 4.3 32.9 -1.6 충청북도 13,943 9,523 207 4,213 14,295 9,688 242 4,365 2.5 1.7 16.9 3.6 충청남도 17,663 12,732 278 4,653 17,961 12,958 350 4,653 1.7 1.8 25.9 0.0 전라북도 9,323 6,554 165 2,604 9,431 6,697 201 2,533 1.2 2.2 21.8 -2.7 전라남도 8,795 6,359 144 2,292 8,839 6,395 167 2,277 0.5 0.6 16.0 -0.7 경상북도 11,888 8,049 150 3,689 11,807 8,097 182 3,528 -0.7 0.6 21.3 -4.4 경상남도 14,439 10,307 207 3,925 14,482 10,285 244 3,953 0.3 -0.2 17.9 0.7 제주도 12,768 10,520 255 1,993 12,240 9,772 398 2,070 -4.1 -7.1 56.1 3.9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카드, “넥슨 게임 유저를 위한 파격적인 이벤트가 돌아오다” (0) | 2023.04.27 |
---|---|
현대글로비스, 23년 1분기 매출 6.3조∙영업익 4066억… 시장 기대치 부합 (0) | 2023.04.27 |
국토교통부, 2023년 공동주택 가격 결정공시 (0) | 2023.04.27 |
국토교통부, 범부처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 지원방안 발표 (0) | 2023.04.27 |
국토교통부, '23년 3월 주택 통계 발표 (1)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