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보도자료10420

쌍용차, 2월 다양한 설 맞이 구매혜택 제공 ▪ 올 뉴 렉스턴, 노후차 교체지원+로열티 프로그램+스페셜할부=최대 190만원 할인혜텍 ▪ 무이자 할부 등 경제적 여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맞춤 할부 프로그램 운영 ▪ 코란도∙티볼리∙티볼리 에어 일시불 구매고객 최첨단 안전주행 보조시스템 무상 장착 쌍용자동차가 노후차 교체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 하는 등 설을 맞아 차종별로 다양한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고 4일 밝혔다. 쌍용차가 노후차 교체 지원 혜택을 더욱 확대 운영하는 ‘Great Exchange Program’을 운영한다. 7년 이상 노후차량 보유 고객이 올 뉴 렉스턴 구매 시 30만원을, 코란도 및 티볼리&에어, 스포츠&칸은 20만원 지원하며, 15년 경과 차량 보유고객이 조기 폐차할 경우 올 뉴 렉스턴은 90만원, 코란도 및 티볼리&.. 2022. 2. 4.
쌍용자동차, 1월 내수, 수출 포함 총 7,600대 판매 ▪ 1만대 이상의 출고 적체 불구 반도체 수급제약에 따른 공급 한계로 판매 소폭 감소 ▪ 뉴 렉스턴 스포츠&칸 출시 2주 만에 누적 계약 3천대 넘어서는 등 시장에서 호평 ▪ 출고 적체 해소에 만전, 올해 제품개선 모델 및 신차 출시 통해 판매 대폭 확대 쌍용자동차가 지난 1월 내수 4,836대, 수출 2,764대를 포함 총 7,600대를 판매했다고 4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은 내수와 수출 포함 1만대 이상의 출고적체와 새롭게 출시된 뉴 렉스턴 스포츠&칸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제약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2.4% 감소한 것이다. 내수 판매는 지난 달 4일 출시된 뉴 렉스턴 스포츠&칸이 전년 동월 대비 29.9%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공급의 한계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 2022. 2. 4.
쌍용차, 첫 번째 전기SUV ‘코란도 이모션’ 출시 ▪ 2천만원대 전기차로 누구나 쉽게 e-Life 누릴 수 있도록 전기SUV 대중화 시대 열어 ▪ 사전계약 3.5백대 흥행 돌풍… LG전자/LG에너지솔루션 및 반도체 업체와 추가물량 협의 ▪ 전기차 보조금 최종 확정되는 오는 3월 이후 사전계약 고객 순으로 인도할 예정 ▪ 도하 테스트 및 30만km 내구 테스트 등 국내 유일의 오프로드 성능 갖춘 전기SUV ▪ 전기차 전용부품 국내 최고 수준의 10년 16만km 보증 및 E-Safety Care Service 운영 쌍용자동차가 사전계약에 대박을 터트리며 흥행을 예고한 국내 최초 준중형 전기SUV ‘코란도 이모션’을 오는 4일 출시하고 본계약을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지난 10일부터 사전계약을 실시한 결과 3주만에 초도 물량 3,500대를 돌파하며 돌풍을 .. 2022. 2. 4.
기아, 2022년 1월 21만 2,819대 판매 기아는 2022년 1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3만 7,038대, 해외 17만 5,781대 등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한 21만 2,819대를 판매했다. (도매 판매 기준) 반도체 부품 수급 부족으로 인한 생산 및 공급 차질 발생으로 전년 동월 대비 판매량은 줄었으나 반도체 부품 수급 문제가 점진적으로 완화되며 글로벌 생산량 및 판매량은 전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2만 7,221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6,973대, K3(포르테)가 1만 7,585대로 뒤를 이었다. ■ 국내 판매 기아는 2022년 1월 국내에서 전년 동월 대비 10.7% 감소한 3만 7,038대를 판매했다.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5,066대가 판매됐다... 2022. 2. 4.
현대자동차, '캐스퍼 밴' 출시 차급의 경계를 허무는 엔트리 SUV, ‘캐스퍼’가 새로운 라인업을 선보인다. 현대자동차는 3일(목) 적재 능력을 강화한 ‘캐스퍼 밴’ 모델을 출시했다. 캐스퍼 밴은 캐스퍼의 아이코닉한 디자인과 안전·편의사양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기존 2열 시트 공간을 비워내 940 ℓ의 적재 용량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9월 첫 선을 보인 캐스퍼는 아이코닉한 디자인과 다채로운 칼라를 앞세워 경형 시장에 새로운 붐을 일으켰다. 특히 운전석을 포함한 전 좌석 풀 폴딩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성을 확장한 점이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한층 강화된 공간 활용성을 제공하는 캐스퍼 밴은 법인 고객을 포함해 다양한 용도로 차량을 활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선택폭을 한층 넓혀줄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자동차는 캐.. 2022. 2. 4.
현대자동차, 2022년 1월 판매실적 현대자동차는 2022년 1월 국내 4만 6,205대, 해외 23만 5,999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총 28만 2,204대를 판매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22.3% 감소, 해외 판매는 9.8% 감소한 수치다. ■ 국내판매 현대자동차는 2022년 1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대비 22.3% 감소한 4만 6,205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가 1,806대, 쏘나타 2,036대, 아반떼 5,437대 등 총 9,300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4,302대, 싼타페 2,159대, 투싼 3,619대, 아이오닉5 376대, 캐스퍼 3,948대 등 총 1만 6,127대가 팔렸다. 포터는 5,443대, 스타리아는 2,810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1,945대 .. 2022. 2. 4.
현대자동차, 투싼, 영화 '언차티드(Uncharted)' 신스틸러로 활약 “글로벌 스테디셀러 SUV 투싼을 영화 속에서 만나보세요!” 현대자동차 투싼이 오는 2월 16일 국내 개봉 예정인 에 등장해 전 세계 관객들에게 흥미진진한 볼거리를 선사한다. 현대자동차는 세계적인 미디어 그룹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Sony Pictures Entertainment, 이하 소니 픽처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지난해 12월 마블 액션 블록버스터 에서 아이오닉 5와 투싼을 선보인 바 있다. 올해는 영화 에 투싼을 오프로드 콘셉트로 개조한 ‘투싼 비스트(Tucson Beast)’가 주인공 일행의 차량으로 등장해 스페인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다양한 주행 장면을 선보인다. 제네시스 GV80·G80·G90도 출연해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영화 는 플레이스테이션 인기 게임 ‘언차.. 2022. 2. 4.
‘21년 공급실적 및 12월 주택통계(미분양, 거래량, 건설실적) 1. ‘21년 공급실적 및 향후 공급전망 (분양은 사전청약 물량 포함) · (‘21년 실적) 인허가 54.5만호, 착공 58.4만호, 분양 37.5만호로 전년 대비 각각 19.2%, 10.9%, 7.3% 증가, 준공 43.1만호로 전년 대비 8.4% 감소 · (‘22년 전망) 선행지표 개선 영향으로 ’22년 분양은 46.0만호로 전년 대비 22.8% 증가, 준공 48.8만호로 전년 대비 13.1% 증가 전망 * 공급 전망(‘21→’22E) : [분양] 37.5 → 46.0, [입주] 43.1 → 48.8 2. ‘21.12월 주택 통계(미분양, 거래량, 건설실적) · (미분양) 12월 미분양 주택은 17,710호로 전월 대비 25.7% 증가(3개월 연속 增) · (거래량) 12월 매매 거래량 5.4만 건으.. 2022. 2. 4.
21년말기준 자동차 등록대수 2,491만 대… 전기차 신규등록 10만대 돌파 국토교통부(장관노형욱)는 ‘21년 12월 자동차 등록대수(누적)가 2,491만 대를 기록하여, ’20년말(24,366천대) 대비 2.2%(+55만대) 증가하였으며 인구 2.07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였다고 밝혔다. * 자동차등록대수: (‘16) 21,803천대, (‘18) 23,202천대, (’20) 24,366천대, (’21) 24,911천대 * 자동차 1대당 인구수: 미국 1.1명, 일본 1.6명, 독일 1.6명, 스웨덴 1.8, 중국 5.1명 원산지별로 국산차의 누적점유율은 88.2%(21,965천대)이며, 수입차는 ‘17년 8.4%(1,897천대)에서 ’21년은 11.8%(2,946천대)로 집계 되었다. * 수입차 점유율 : ’17년 8.4% → ‘19년 10.2% → ’20년 11.0% → .. 2022. 2. 3.
건축물 분양제도, 수요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오피스텔, 생활숙박시설 등의 수분양자 권리보호, 분양시장 질서확립 및 사업자 부담 완화 등을 위하여 건축물 분양제도를 아파트 수준으로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제도개선은 일반 건축물의 분양과정 투명성 및 거래 안전성 확보 등을 위해 2004년 제정한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이 그간 지속적인 보완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공사중단, 청약신청금 반환지연 등으로 수분양자 피해의 재발이 지속되고 있고, 최근 오피스텔, 생활숙박시설 등의 수익형 부동산 공급 확대와 섹션 오피스(모듈형), 공유형 오피스 등 새로운 유형의 부동산 상품 등장으로 건축물 분양제도의 보완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른 것이다. 건축물 분양제도의 주요 개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건축물 수분양자의 권리 보호.. 2022. 2. 3.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