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 발표

by 플래닛디 2025. 5. 2.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5

6
7

8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목 이후 금 조간 : 2025. 5. 1.( ) 11:00 (5. 2.( ) ) / : 2025. 5. 1.( )배포 목「 」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 발표 - 평균 일교통량은 대 16,262 ( 1.3% ) 전년 대비 ↑, 1 3 이동 거리는 지구 둘레 약 만 천 배 □ 국토교통부( ) 장관 박상우 는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에 대한 , , 2024년 교통량 조사* 5 1 결과를 월 일 발표하였다. * 도로건설 계획 수립 교통수요 분석 도로포장 설계 산업 연구 등 자료로 활용 , , , ‧ ** : 3,920 ( 686, 1,623, 1,611) 조사지점 총 개 지점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년 한 해 동안 도로를 ㅇ 24 통행한 차량을 하루 평균으로 산출( ) 평균 일교통량 한 결과, 전년 대비 증가 1.3% 한 16,262대로 나타났다 도로 교통량은 지난 . 10 년간(‘15 ~’24 ) 년 년 연평균 증가하는 추세이다 1.6% . - 이는 자동차등록대수의 증가( 1.3% ) 전년 대비 ↑ 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 《 》 평균 일교통량 최근 년간 추이 10 □ (도로 종류별) 고속국도 평균 일교통량은 53,392대( 1.6% ) 전년 대비 ↑ , 지방도 평균 일교통량은 5,934대( 1.1% ) 전년 대비 ↑ 로 전년 대비 증가한 반면, 일반국도는 13,136대( 0.3% ) 전년 대비 ↓ 로 다소 감소하였다. □ (차량 종류별) 승용차 평균 일교통량이 11,906대(73.2%)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화물차 대 4,053 (24.9%), 303 버스 대(1.9%)이다. 버스 ㅇ (2.3% ) ↓ 와 화물차(0.2% ) ↓ 는 감소한 반면 , 승용차 비중은 전년보다 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승용차 중심의 이동 패턴이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로 교통량 조사 통계 - 2 - □ (시기별) 주(7 ~19 ) 시 시 에 평균 일교통량의 76.4%가 이동하며, 시간대는 16~17시, 요일별로는 금요일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도로 구간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은 구간은 고속국도의 경우 수도권 제 순환선 1 인 경기 하남시의 하남 분기점(JCT)에서 남양주시 퇴계원 나들목(IC, 13.6km)으로 대이다 222,540 . * 년 평균 일교통량이 가장 많았던 경부고속도로 신갈 분기점 판교 분기점 2023 (JCT)~ (JCT, 13km) 2% (216,982 212,537 ) 은 감소 대 → ㅇ 일반국도는 자유로에 위치한 호선 77 서울시계~고양시 장항 나들목(IC) 구간(191,565 , 19.5km) 대 으로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이 집중되었다 . ㅇ 지방도는 화성과 수원을 연결하는 309호선 화성시 천천 나들목(IC)~ 서수원 나들목(IC) 구간(127,525 , 5.6km) 대 이며 인근 산업단지 등에서 , 차량 유입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 (지역별) 경기도의 평균 일교통량이 40,677대( 1.7% ) 전년 대비 ↑ 로 가장 많고, 강원도가 가장 낮은 대 8,292 ( 1.3% ) 전년 대비 ↓ 로 조사되었다. ㅇ 충청북도는 평균 일교통량 증가율(2.9%, 14,128 14,539 ) → 대 이, 제주도는 감소율(4.3%, 11,649 11,147 ) → 대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디지털도로팀 허나윤 팀장은 “하루 평균 교통량의 이동 거리는 약 억5 1 6 km 천 백만 로 지구를 12,885바퀴 ” , 도는 거리에 해당한다 면서 “ ㅇ 교통량 빅데이터가 다양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 수집의 정확도확장성 향상 ․ 을 위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교통량 조사 장비를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고 밝혔다 ” . * 3 : 216,476 최근 년간 교통량 정보 제공 건수 건 □ 이번 교통량 조사 결과는 ‘국토교통 통계누리’(http://stat.molit.go.kr)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교통량 정보 제공시스템’(http://www.road.re.kr) 을 통해서 5 1 월 일부터 확인할 수 있다. - 3 - 담당 부서 도로국 책임자 팀 장 허나윤 (044-201-4130) 디지털도로팀 담당자 사무관 정원식 (044-201-4149) 주무관 공현주 (044-201-3935) 유관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책임자 수석연구원 한대철 (031-910-0333) 도로관리통합센터 담당자 전임연구원 정도영 (031-995-0814) - 4 - 참고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주요 현황 󰊱 구 분 교통량 자동차등록 평균 일교통량 대 일 ( / ) 증감률(%) 대수 천대 ( ) 증감률(%) 2015 13,941 4.2 20,990 4.3 년 2016 14,525 4.2 21,803 3.9 년 2017 14,921 2.7 22,528 3.3 년 2018 14,964 0.3 23,203 3.0 년 2019 15,348 2.6 23,677 2.0 년 2020 15,187 -1.0 24,366 2.9 년 2021 15,747 3.7 24,911 2.2 년 2022 15,983 1.5 25,503 2.4 년 2023 16,051 0.4 25,949 1.7 년 2024년 16,262 1.3 26,298 1.3 < > 용어설명 ( ) ☞ 평균 일교통량 교통량 조사 대상 지점의 하루 평균 교통량 하루평균 교통량  구간연장 교통량 ×구간연장 󰊲 ㅇ 고속국도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승용차 36,530 69.6 37,475 70.2 2.6 버스 1,126 2.1 1,105 2.1 -1.9 화물차 14,888 28.3 14,812 27.7 -0.5 계 52,544 100.0 53,392 100.0 1.6 ㅇ 일반국도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승용차 10,194 77.4 10,187 77.6 -0.1 버스 191 1.4 186 1.4 -2.6 화물차 2,794 21.2 2,763 21.0 -1.1 계 13,179 100.0 13,136 100.0 -0.3 - 5 - ㅇ 지방도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승용차 4,342 74.0 4,410 74.3 1.6 버스 130 2.2 123 2.1 -5.4 화물차 1,400 23.8 1,401 23.6 0.1 계 5,872 100.0 5,934 100.0 1.1 󰊳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교통량 대 일 ( / ) 구성비(%) 승용차 11,681 72.8 11,906 73.2 1.9 버스 310 1.9 303 1.9 -2.3 화물차 4,060 25.3 4,053 24.9 -0.2 계 16,051 100.0 16,262 100.0 1.3 - 6 - 󰊴 󰊴 구분 전체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주간 교통량 24시간 교통량 주야율 (%) 주간 12시간 교통량 24시간 교통량 주야율 (%) 주간 12시간 교통량 24시간 교통량 주야율 (%) 주간 12시간 교통량 24시간 교통량 주야율 (%) 승용차 9,144 11,906 76.8 27,960 37,475 74.6 8,009 10,187 78.6 3,513 4,410 79.7 버스 233 303 76.9 831 1,105 75.2 146 186 78.5 99 123 80.5 화물차 3,040 4,053 75.0 10,523 14,812 71.0 2,182 2,763 79.0 1,162 1,401 82.9 계 12,417 16,262 76.4 39,314 53,392 73.6 10,337 13,136 78.7 4,774 5,934 80.5 * : 24 12 주야율 시간 교통량에 대한 주간 시간 교통량의 비율 󰊴 구분 7시 19시 8시 20시 9시 21시 10시 22시 11시 23시 12시 0시 13시 1시 14시 2시 15시 3시 16시 4시 17시 5시 18시 6시 고속 국도 3,335 2,438 3,536 1,986 3,566 1,558 3,703 1,159 3,572 770 3,412 528 3,468 397 3,644 368 3,844 406 4,063 657 3,996 1,342 3,365 2,421 일반 국도 788 556 926 422 826 315 869 215 900 135 883 91 935 60 959 48 971 51 1,011 87 1,042 222 884 478 󰊴 구분 일요일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 평균 고속국도 56,702 56,116 54,569 54,029 55,341 63,249 62,821 57,534 비율(%) 98.6 97.5 94.8 93.9 96.2 109.9 109.2 100.0 일반국도 12,290 13,647 13,653 13,482 13,731 14,778 14,136 13,674 비율(%) 89.9 99.8 99.8 98.6 100.4 108.1 103.4 100.0 - 7 - 󰊵 ㅇ 고속국도 노선 구간 차로 수 교통량 대 일 ( / ) 순위 증감률 2023년 2024년 2023년 2024년 (%) 수도권제 순환 남부 1 ( ) 하남 퇴계원 - 8 215,725 222,540 2 1 3.2 수도권제 순환 남부 1 ( ) 노오지 서운 - 8 209,896 220,890 4 2 5.2 경부고속국도 신갈 판교 - 8 216,982 212,537 1 3 -2.0 경부고속국도 동탄 신갈 - 8 202,786 209,766 6 4 3.4 수도권제 순환 남부 1 ( ) 판교 하남 - 8 206,975 209,764 5 5 1.3 ㅇ 일반국도 노선 구간 차로 수 교통량 대 일 ( / ) 순위 증감률 2023년 2024년 2023년 2024년 (%) 77호선 서울시 장항 - IC 10 199,960 191,565 1 1 -4.2 3 광주시 성남시 호선 - 6 123,093 122,144 2 2 -0.8 42 사사동 수원시 호선 - 8 119,814 106,670 3 3 -11.0 42 사사동 성포동 호선 - 8 112,907 96,422 4 4 -14.6 77 장항 문발 호선 IC- IC 8 101,060 95,609 5 5 -5.4 ㅇ 지방도 노선 구간 차로 수 교통량 대 일 ( / ) 순위 증감률 2023년 2024년 2023년 2024년 (%) 309호선 천천 서수원 IC- IC 6 121,035 127,525 1 1 5.4 1020 창원시 장유면 호선 - 6 80,649 78,548 2 2 -2.6 309 봉담읍 천천 호선 - IC 4 75,154 78,369 3 3 4.3 357 강매 송산 호선 IC- IC 6 73,771 75,984 4 4 3.0 57 능평동 분당구 호선 - 6 70,972 72,456 5 5 2.1 - 8 - 󰊶 구분 2023년 2024년 증감률(%) 전국 16,051 16,262 1.3 경기도 40,013 40,677 1.7 강원도 8,405 8,292 -1.3 충청북도 14,128 14,539 2.9 충청남도 18,074 18,351 1.5 전라북도 9,466 9,450 -0.2 전라남도 9,023 9,022 0.0 경상북도 11,995 12,269 2.3 경상남도 14,835 14,764 -0.5 제주도 11,649 11,147 -4.3 󰊷 구분 주행거리 천대 ( ·km) 지구둘레 환산 바퀴 ( ) 계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 승용차 9,434 378,076 187,392 128,195 62,489 버스 240 9,613 5,526 2,341 1,746 화물차 3,211 128,678 74,072 34,752 19,854 계 12,885 516,367 266,990 165,288 84,089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