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5. 5. 2.(금) 11:50 이후(5. 2.(금) 석간) / 배포 : 2025. 5. 1.(목) ’25년, 5,800억 원 규모 공간정보 정책사업“공간정보 인공지능(AI) 적용, 트윈국토 조기실현” - (중앙) 104개 사업, 약 3,800억원, (지자체) 1,105개 사업, 약 2,000억원 투자 예정- 대용량 공간정보의 안정적인 수집‧관리‧제공을 위한 플랫폼 고도화 방안 마련 - 지하공간통합지도 정보 보강 및 제공 방식 개선을 통해 지반침하 안전 수준 분석□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디지털 트윈국토 조기실현을 위한「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공간정보 기반의 편리하고 안전한 국토관리 체계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 5년 단위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정책 일관성 확보를 위해 매년 수립하는 계획으로, 각 부처 및 지자체의 기관별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계획안을 마련하고,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 국토부 장관)의 심의(5.2)를 거쳐 수립 ㅇ 특히, 지반침하 이력, 연약지반 정보 등 다양한 지하정보를 포함해 위험 분석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 지하공간의 안전한 개발·이용·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하정보(지하시설물 7종, 지하구조물 6종, 지반정보 3종)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지도 □ 올해는 전체 1,209개 사업에 약 5,838억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이 추진된다. 중앙정부(104개 사업)에서 약 3,819억원, 자자체(1,105개 사업)에서 약 2,019억 원을 각각 투자할 예정이다. ㅇ 연평균 투자 규모는 전반적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95~’05년 기간 연평균 투자 규모가 72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여 ’23~’25년 기간에는 연평균 5,736억원이 투자되어 약 8배로 대폭 늘었다. ㅇ 또한, ’23~’25년 기간 동안 중앙부처 중에서는 국토교통부가 137건, 7,707억원 규모의 사업을 추진하여 가장 적극적으로 투자했고, 광역지자체 단위에서는 경북, 경기, 서울 순으로 많은 투자를 시행하였다. - 2 - □ 이 계획은 제7차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23~2027)의 4대 전략아래 연차별 실적을 점검하고, 디지털 트윈 구축, 플랫폼 고도화, 인재양성, 기술개발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ㅇ ’24년에는 총 1,152건 4,840억원 규모의 공간정보 정책이 추진되었으며, 이 중 중앙부처(소속기관 포함)가 추진한 사업은 94건, 3,137억원 규모이고, 지자체가 추진한 사업은 1,058건, 1,703억원 규모이다. - ’24년에 추진된 공간정보 사업 중 중앙부처 사업 중에서는 국토교통부의‘공장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 구축’ 사업, 지자체 사업 중에서는 대전광역시의 ‘디지털 트윈 기반 지하시설물 통합안전관리체계 구축’ 사업이 최우수 사업으로 선정되었다. □ ’25년 4대 전략별 투자 규모 및 주요 추진 사업은 다음과 같다. ㅇ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에 68%의 예산과 54%의 사업이 집중되어 있고 유통‧활용 활성화 전략에 19%의 예산과 44%의 사업이 분포되어 있어, 각 부처와 지자체가 디지털 트윈 구축 및 유통‧활용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ㅇ 전략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전략인 디지털 트윈 구축‧활용체계 마련분야에서는 디지털 트윈국토의 체계적인 확산 및 융복합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데이터(DB)구축, 표준 마련 등 3,993억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 디지털 트윈 기술을 시범 지역에 집중적으로 적용하는 디지털 트윈 경쟁력 강화 사업(과기정통부, 61.8억원),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을 개발하고 국제적인 협력 등을 추진하는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원 사업(국토부, 5.3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ㅇ 두 번째 전략인 공간정보 유통․활용 활성화 분야에서는 고정밀 공간정보의 수집‧관리‧유통을 지원하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플랫폼 개선 및 유지 관리 등 1,095억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 3 - - 데이터 플랫폼인 K-GeoP와 대민 서비스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를 고도화하는 디지털 트윈국토 서비스 기반 구축 사업(국토부, 20.6억원), 각 지자체별로 공간정보 시스템 및 주소정보 시스템을 고도화‧유지관리하는 사업(총 311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 K-GeoP : 65개 기관 107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205종 1,241건의 데이터를 통합 DB로 구축하여 행정사무지원 및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에 제공하는 플랫폼, 브이월드(V-World) : K-GeoP가 수집한 공간정보 중 공개 가능한 정보를 연계하여 공공· 민간에 제공(다운로드, API)하여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는 대민 서비스 플랫폼 ㅇ 세 번째와 네 번째 전략인 산업 활성화 및 정책 기반 마련 분야에서는 산업 성장 기반 마련, 혁신기술 개발, 보안 규제를 비롯한 각종 제도개선 등750억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 매년 공간정보 산업 현황 전반을 파악하는 공간정보 산업조사(국토부, 2.9억원), 공개제한 공간정보 민간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심사 및 안심구역 운영 사업(국토부, 3.4억원), 해양 이용․개발 행위 등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예측하기 위한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기술개발(해수부, 66.7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 다음으로,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2단계 고도화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이번 고도화 계획은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네이티브* , 양자암호통신기술** 등 첨단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용량 3D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와 활용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 시스템 단위가 아닌 서비스 단위의 자원 배분‧이용, 사용량에 따라 시스템이 스스로 내부자원을 배분하는 등 기존 클라우드 방식보다 유연성, 확장성을 증대 ** 외부 접근에 민감한 광자(빛 입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해킹 및 도청 시도를 즉시 탐지하여 송·수신자에게 알려주는 보안이 강화된 기술 - K-GeoP, 브이월드와 같은 공간 플랫폼 기술의 개선으로 공간정보의 정확성, 속도, 활용성이 향상된다. 위성영상 등 대용량·공개제한 공간정보를 유통할 수 있게 되며,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여 공간정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쉽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 4 - ㅇ 특히, 이번 고도화를 통해 Geo-AI*가 플랫폼에 적용되면 단순한 지도 검색이 아니라 인공지능(AI)이 텍스트 질문을 이해하고 답변을 지도 기반으로 표시해주는 ’똑똑한 공간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 * 공간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를 집중 학습하여 공간정보 분석 및 제공에 특화된 인공지능(AI)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 (예시) 이사를 원하는 A씨가 “지하철역 도보 5분, 전세 3억원 이하이면서 키즈카페가 200m이내에 있는 아파트를 보여줘.”라고 V-World에 대화로 질문하면, Geo-AI는 이를 이해하고, 지도 상에 조건에 부합하는 아파트를 표시한 정보를 제공한다. - 또한, 드론 촬영 영상 등을 AI가 분석하여 불법 건축물, 쓰레기 투기 등을 자동으로 발견하여 지자체 공무원의 신속한 현장 대응을 지원하는 등의 공간정보 자동 분석 서비스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예시) 지자체 공무원 B씨는 오늘 오전 촬영한 드론영상을 K-GeoP에 업로드하고“△△산에 불법 쓰레기 투기가 의심되는 구역을 찾아줘.”라고 말한다. Geo-AI는 미리 학습된 불법 쓰레기 투기 사진을 바탕으로 새로 올린 드론 영상을 분석하여 쓰레기가 불법 투기된 것으로 판단되는 구역을 도출하여 제공한다. □ 마지막으로, 지하공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지하공간 통합지도 개선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ㅇ 정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지반침하 이력, 공동정보, 건설공사 정보, 홍수·범람 이력 등 데이터를 연계하고, 지반 침하와의 상관관계 분석등 지반 침하 위험 분석에 참고할 수 있도록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고도화할 예정이다. - 또한, 정확도 개선을 위해 상·하수도 시설물 실측을 위한 예산 지원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 5 - ㅇ 한편, 보안상의 이유로 종이지도로 제공되고 있었던 통합지도에 대용량 파일 전송 시스템을 도입하고, 보안 솔루션을 적용해 종이지도가 아닌 온라인 데이터 파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로봇·도심항공교통(UAM) 등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고정밀 3차원 공간정보가 먼저 구축되어야 한다”면서, ㅇ “디지털 트윈국토 등 공간정보 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통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을 것”을 강조했다. 담당 부서 <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국토정보정책관 책임자 과 장 이대섭 (044-201-3458) 국토정보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최보람 (044-201-3465) 주무관 장석원 (044-201-3467) <플랫폼 고도화 방안> 국토정보정책관 책임자 과 장 한동훈 (044-201-3488) 국가공간정보센터 담당자 서기관 백규영 (044-201-3491) 주무관 육진영 (044-201-3496) <지하공간 통합지도> 국토정보정책관 책임자 과 장 안수진 (044-201-3469) 공간정보진흥과 담당자 사무관 김춘호 (044-201-3474) 주무관 강민성 (044-201-3477) - 6 - 참고 1 ‘24년 국가공간정보 집행실적 우수사업 ㅇ 중앙행정기관 사업명 담당기관 주요 내용 공장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 국토 교통부 - 토지규제 확인, 주변 시설․환경 분석, 건축 시뮬레이션 등 공장 인허가 사전진단 서비스(산업부 협업) 국토위성센터 및 국토관측위성 운영 국토지리 정보원 - 국토관측위성의 안정적 운영 및 위성영상 활용(공간정보 구축, 국토관리, 재난대응 등) 기반 조성 정밀도로지도 구축 및 갱신 국토지리 정보원 -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지원을 위해 기초 인프라인 정밀도로지도 구축(3천km), 기 구축(3만km) 갱신디지털 트윈 혁신서비스 선도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 제조시설, 체육관 등의 생산성, 안전성 증진을 위해 디지털 트윈 서비스(위험 탐지, 불량검사 등) 실증공간정보 통합서비스 구축․운영 국토지리 정보원 - 수치지형도, 항공사진 등 주요 공간정보의 대국민 공개․제공을 위해 국토정보플랫폼 운영․관리 산림공간정보 조사구축 사업 산림청 - 전국 산림 현황에 대한 공간정보를 제작․분석․활용하여 산림정책 의사결정 지원 및 대국민 서비스ㅇ 지방자치단체 사업명 담당기관 주요 내용 디지털트윈 기반 지하시설물 통합 안전관리 체계 구축 대전 광역시 - XR(확장현실), AI 기술을 이용하여 지하시설물 관제 및 이상징후 감지 등 시설물 관리 효율화 드론 활용 지하시설물 3차원 데이터 구축 경기도 성남시 - 드론을 이용하여 하수관로에 대한 정밀 공간정보를 취득하고, 관로 균열․파손 등을 원격으로 점검 디지털트윈 기반 미래도시디자인 시뮬레이션 경기도 이천시 - 3차원 입체지도를 기반으로 미래도시 디자인 및 활력도 예측, 인허가 등의 행정업무 적용 모델 개발AI와 공간정보 융합 검색서비스 구축 울산 광역시 - 생성형 AI를 통해 관광, 일자리, 재난 대피소 등 각종행정정보를 3차원 공간정보로 시각화 서비스 - 7 - 참고2 ‘24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집행실적 사업 규모 ① 중앙부처 사업예산 및 사업 수 [그림] 집행실적 중앙부처 사업예산 및 사업수 ② 지자체 사업예산 및 사업 수 [그림] 집행실적 지자체 사업예산 및 사업수 - 8 - 참고3 ‘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사업 규모 ① 중앙부처 사업예산 및 사업 수 ② 지자체 사업예산 및 사업 수 - 9 - 참고4 ‘25년 주요 추진 사업 목록(기본계획 전략별) 전략 기관 주요 사업 예산(억원) 전략1 1-1 국토부 1/1,000 수치지형도 제작 146 환경부 댐-하천 디지털트윈 물관리 플랫폼 구축 73 해수부 디지털 해양정보 및 해양기본도 제작 24 과기부 디지털 트윈 경쟁력 강화 62 서울 상수도 GIS DB 정확도 개선(2차) 30 울산 울산온산산단 디지털트윈 관제플랫폼 구축 2 전북 익산 익산시 지하시설물 전산화(읍·면) 확산 35 1-2 국토부 표준개발협력기관 지원 5 국토부 공간정보 품질관리 수준평가 수행 및 지원 6 1-3 국토부 지적재조사사업 442 국토부 차세대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구축(2차) 72 인천 연속지적도 정비 사업 2 경북 울진 용도지역지구 DB 정비사업 6 전략2 2-1 국토부 디지털 트윈국토 서비스 기반 구축(4차) 21 2-2 국토부 국가공간정보통합플랫폼(K-Geop) 유지관리 48 국토부 오픈플랫폼(브이월드) 유지보수 28 경기 이천 이천시 생활지리정보포털 고도화 2 2-3 농진청 농업위성정보활용센터 구축 54 산림청 산림공간 디지털플랫폼 구축 41 통계청 S-GIS DB 구축 38 서울 하수도관리시스템 고도화 및 DB 정확도 개선 92 경북 포항 스마트 빈집활용시스템 구축 4 세종 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구축사업(3단계) 8 전략3 3-1 국토부 국토공간정보 인력양성 18 인천 공간정보플랫폼 기반 공간정보 전문교육 - 3-2 과기부 디지털트윈 혁신서비스 선도 37 국토부 공간정보 창업지원센터 운영 5 3-3 국토부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사업 315 해수부 해양공간 디지털트윈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 67 국토부 AI 기반 국토변화탐지 솔루션 개발(2차) 11 3-4 국토부 K-GEO Festa 4 전략4 4-1 국토부 공개제한 공간정보 보안심사 및 안심구역 운영 3 인천 인천시 공간정보 발전방향 ISP 수립 용역 2 4-2 국토부 2025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통합관리 사업 3 - 10 - 참고5 국가공간정보통합플랫폼(K-GeoP) 개요 개 요 ㅇ 기본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국가공간정보체계로통합· 연계하여 표준화된 개발·공동활용 환경을 제공하는 공간정보체계-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표준 통합DB 서비스와 행정사무지원(지적행정, 토지행정 등) 및 공간정보 융·복합 활용 서비스 제공* 지형ㆍ해안선ㆍ행정경계ㆍ도로 또는 철도의 경계ㆍ하천경계ㆍ지적, 건물 등 인공구조물의 공간정보, 기준점ㆍ지명ㆍ정사영상ㆍ수치표고모형ㆍ공간정보입체모형ㆍ실내공간정보 등 25종 추진 경위 ㅇ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정보화전략계획 수립(`06.), 구축·확대(`10.~) ㅇ 행정안전부의 전자정부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18.) *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통합 및 융복합 활용체계 구축(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센터로 4개 시스템 통합 구축 및 공간정보 공동활용 기반 구축 추진) ㅇ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에 공간정보드림(`20.), 국토정보시스템(`21.), 한국토지정보시스템(`22.) 통합 및 K-GeoP 구축 완료 주요 기능 및 서비스 ㅇ 지도드림(지도기반 공간정보 분석·활용 서비스), 모두드림(데이터검색· 다운로드 등) 및 3D분석·시뮬레이션 등 공간정보 활용 지원ㅇ 다양한 공간정보를 수집 및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수행하고시스템연계 등을 통해 기관 등에서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ㅇ 전국 단위 지적전산자료 관리, 부동산 통계* 및 정책정보** 제공등* 토지소유현황 통계(통계청 승인통계) 토지소유자 연령별 통계, 지목별(전·답·과수원) 토지면적 등 ** 한국농어촌공사(농지 전매·증여 등 관리를 위한 소유자·토지변동정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소기업대출금 대출관리·회수 등을 위한 토지소유정보 등), 산림청 산림통계 등 ㅇ 토지행정사무(부동산개발업·개발부담금, 토지거래허가, 중개업 등) 운영·관리 - 11 - 데이터 수집·연계 현황 (‘24.12월 기준) ㅇ (데이터 제공) 65개 기관 107개 시스템 ㅇ (보유 데이터) 205종 1,241건(레이어 기준) 기본공간정보(41건) 구분 데이터명 유형 구분 데이터명 유형1 연속지적도(1) 백터 2 수치표고모형(2) 레스터, 벡터3 기본도(18) 벡터 4 도로명주소(7) 벡터5 행정구역(3) 벡터 6 실내공간정보(2) 벡터7 정사영상(1) 레스터 8 통계구(5) 벡터9 해양경계(1) 백터 10 해양지명(1) 속성보유데이터 목록(1,200건) 순번 구 분 데 이 터 명 비고1 국토관리 및 지역개발 건물·시설 379건, 경계 21건, 도시계획 30건, 용도지역지구 309건, 부동산 39건, 산업 5건, 산업단지 21건, 수자원 39건, 토지 78건 921건2 농림·해양·수산 농업·농촌 20건, 임업·산촌 15건, 해양·수산·어촌 21건 56건3 도로·교통·물류 교통 22건, 도로 35건, 철도 16건, 항공·공항 7건, 해운·항만 4건 84건4 문화·체육·관광 문화재 8건, 체육 1건 9건6 산업·중소기업 산업 2건, 에너지 42건, 44건7 일반공공행정 일반행정 4건 4건8 공공안전·재난방재 재난방재 4건 4건9 환경·자연·기후 자연 38건, 임업·산촌 5건 43건10 사회복지 노동 1건 1건12 교 육 교육시설 5건 5건13 지 도 고도 1건, 기준점 9건, 기타 19건 29건 - 12 - 참고6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 개요 개 요 ㅇ K-GeoP가 수집한 공간정보 중 공개 가능 정보를 연계하여 공공·민간에데이터 제공(다운로드, API), 신 산업 창출을 지원하는 정보관리체계 추진 경위 ㅇ 3D공간정보 DB·활용 시스템 구축 예비타당성 조사(’10.) ㅇ V-World 플랫폼 구축(‘11~’12.) 및 OpenAPI 확대 추진(‘13〜’14.) ㅇ 디지털 트윈국토 활성화를 위한「브이월드 3.0 추진계획」수립(`23.6.) ㅇ V-World 정보자원을 민간클라우드(KT IDC→네이버) 전환(`23.3.~‘24.12.) ㅇ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1단계 고도화(1~3차) 추진(`23.9., ‘24.4., ’24.12.) * (’22∼‘23) 포털 → V-world 통합, (’24) 3D 분석·시뮬레이션 확대, 공장인허가 사전진단서비스구축 공간정보 DB 및 주요 서비스 ㅇ (공간정보DB) 기반공간정보(6건)와 행정공간정보(685건) 등 총 691건의다양한 국가 공간정보를 웹 서비스로 제공 ㅇ (분석·가공서비스) 2D·3D지도 조회, 분석 서비스, 공간정보 다운로드, Open-API 및 데스크톱 서비스, 기업정보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주요 활용 실적 ㅇ (회원수) 누적 회원수 약 19.2만명(‘12.1.~’24.12.) ㅇ (인증키 발급건수) Open-API 인증키 발급 약 7만 1천건(‘12.1.〜‘24.12.) - 13 - 데이터 서비스 현황 (‘24.12월 기준) ㅇ (서비스 공간정보) 691건 기반공간정보(6건) 구분 데이터명 유형 구분 데이터명 유형1 정사영상 래스터 2 국가인터넷지도* 래스터, 벡터3 공간정보 입체모형 래스터 4 관심지점정보(POI) 래스터, 속성5 수치표고모형 래스터 6 실내공간정보 벡터* 기본지도, 백지도, 하이브리드지도, 야간지도 K-GeoP 민간개방(685건) 순번 구분 데이터명 비고1 국토관리 및 지역개발 건물·시설 38건, 경계 20건, 도시계획 30건, 용도지역지구 294건, 부동산 6건, 산업단지 15건, 수자원 31건, 토지 37건 471건2 농림·해양·수산 농업·농촌 6건, 임업·산촌 13건, 해양·수산·어촌 19건 38건3 도로·교통·물류 교통 18건, 도로 34건, 철도 8건, 항공·공항 3건, 해운·항만 4건 67건4 문화·체육·관광 국가유산 5건, 체육 1건 6건6 산업·중소기업 산업 1건, 에너지 32건, 33건7 일반공공행정 일반행정 4종 4건8 공공안전·재난방재 재난방재 4건 4건9 환경·자연·기후 자연 25건 25건10 사회복지 노동 1건 1건12 교 육 교육시설 5건 5건13 지 도 고도 2건, 기준점 8건, 영상 1건, 기타 20건 31건* K-GeoP에서 연계되는 국가중점데이터 260건 및 타기관(별도수집) 데이터는 미포함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도시 솔루션으로 교통ㆍ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체감형 도시 실현한다 (0) | 2025.05.02 |
---|---|
박상우 장관, “5월 연휴 안전·신속 출국 총력 대응” (4) | 2025.05.02 |
서울시, 시내버스 노사 협상 결렬… 노측 준법투쟁 결정, 서울시 버스 정상 운행하여 시민 불편 최소화 조치 (0) | 2025.04.30 |
서울시, 서울숲에 SM엔터테인먼트 ‘광야숲 3기’ 확대 조성 (0) | 2025.04.30 |
서울시, 2025년도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1) | 2025.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