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서울을 정원으로 잇다, 2,000km 서울초록길을 만나보세요

by 플래닛디 2025. 2. 13.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1/11
2/11
3/11
4/11
5/11
6/11
7/11
8/11
9/11
10/11

11/11
동행 · 매력 특별시 서울


- 1 - 2025. 2. 14.(금) 조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5년 2월 14일 오전 11:15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담당 부서: 정원도시국 정원도시정책과 정원도시정책과장 박미애 02-2133-2010 공원녹지기획팀장 온수진 02-2133-2021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11쪽 관련 누리집 (메뉴) parks.seoul.go.kr 서울을 정원으로 잇다, 2,000km 서울초록길을 만나보세요- 서울시, ‘서울초록길 프로젝트’ 올해 하반기 2,000km 넘어설 것으로예상- ‘단절된 녹지축 연결’을 비롯 작년 161개 사업 통해 현재 1,982km완성- 올해 서울둘레길 정비, 하천 생태복원 등 통해 75.58km 초록길 추가예정- 시, 도시 전체를 정원·생태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5분 정원도시 만들 것□ 서울시는 숲길부터 하천변, 가로정원까지 단절된 녹지를 잇고새로운녹지를 늘려가는 ‘서울초록길 프로젝트’가 올해 2,000km를 넘어설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서울시에서 부산시까지 384km 정도인 것과비교하면 편도 5번을 오갈 수 있는 거리다. □ 2022년부터 시작된 ‘서울초록길 프로젝트’는 서울시의 녹지 소외를해결하기 위해 서울 전역의 숲, 공원, 정원, 녹지 등을 선형길로연결하여서울 어디서든 5분 거리 내에서 초록을 만날 수 있도록 공원녹지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사업으로 당초 2,000km를 목표로 추진해왔다. - 2 - □ 또한 단순한 녹지 확충을 넘어 숲과 하천, 공원 및 녹지를 정원으로유기적으로 연결해 도시미관과 보행자의 편의는 물론 미세먼지 저감, 생물종다양성 향상 등 도심 생태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 □ 특히, 서울둘레길 조성 및 등산로 정비, 하천 생태복원 및 녹화, 가로수생육환경 개선 등을 통해 자연환경과 공원녹지를 유기적으로 연결했다.작년에는 동작구 국사봉과 상도공원을 연결하는 ‘단절된 녹지축 연결사업’을비롯 12개 종류의 사업, 161개 서울초록길 사업을 추진해 71.21km를연결했다. ○ ‘단절된 녹지축 연결공사’ 동작구 국사봉과 상도공원을 녹지축으로 20m 의 녹지연결로 및 식재를 진행하여 파편화된 녹지공간을 연결하여 사람에게는 산책, 동물에 게는 통로로 이용되며 도시생태를 회복시켰다. ○ ‘북한산 체험형 숲속쉼터 조성사업’ 강북구 수유동 북한산 자락에 유아 놀이공간, 사색쉼터, 맨발길 등 이용시설과 데크로드, 흙길 조성 등 등산로 정비를 통해 3km, 50,000 ㎡ 규모의 체험형 여가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 ‘하천생태복원 및 녹화사업’ 강동구 고덕천 제방사면 1km 구간에 단순하던 사면을 다양한 식생을 식재하여 하천을 건강하 게 만들어 하천 이용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 3 - ○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영등포구 여의대방로엔 330m의 정원형 띠녹 지를 조성해 가로수의 생육환경을 개선시키고 도심 내 녹시율을 높이고 있다. ○ ‘근교산 등산로 정비사업’ 양천구 온수공원에는 교통약자 누구나 숲을 즐길 수 있는 무장애숲길 0.35km와 산책로 468㎡ 정비를 진행하였다. ○ ‘고가하부 그린아트길 조성사업’ 다소 어두웠던 서대문구 홍은사거리 내부순환로 고가하부는 수경시설과 정원을 조성하여 도시경 관을 개선하고 주변 녹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 ‘서울 아래숲길 조성사업’ 녹지를 보기 힘들었던 왕십리역 대합실 유휴공간에 지하에 있는 숲길이라는 뜻의 0.02km, 500㎡의 아래숲길이 조성되었다. 플랜터를 통해 식재기반을 만들고, 기둥 녹화를 진행함으로써 지하철 이용객 들에게 상쾌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서울시는 올해에도 165개 사업을 통해 75.58km의 녹지를 확충해총연장2천km가 넘는 서울초록길을 완성시킬 예정이다. 이미 조성된 1,777km의초록길과 2022년부터 신규조성된 210.45km를 포함하여 도시전체를정원과 생태로 연결해 5분 거리에서 정원을 만날 수 있는 걷고 싶은도시로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 4 - ① 초록이 부족하다면? 더 만들기! □ 도심 내 보행로 주변 및 도로변 녹지에는 정원형 띠녹지가 늘어난다. ‘가로수생육환경 개선사업’은 올해 39개소, 19.58km의 띠녹지가 조성돼가로변녹지의 질을 향상시키고 녹색경관을 강화할 예정이다. 도로변의녹지는도심 내 열섬 현상을 완화하고, 보행자들에게 보다 시원하고쾌적한거리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 학교 및 유치원 주변에 녹지를 조성해 사람들이 오갈 수 있도록하여 안전한 통학환경을 만들어주는 ‘자녀안심 그린숲 조성사업’도올해 1.75km 조성될 계획이다. ② 시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더 열기! □ 인왕산, 북한산 등 54개소, 24.75km의 등산로도 더 편리하게 정비된다.산지 내 자락길과 데크길을 조성하고 정비하는 ‘서울둘레길 정비사업’,‘근교산 등산로 정비사업’으로 시민들의 안전한 이용과 자연환경보호와생태적 기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 또한,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하고 자연성을 강화하기 위해중랑천,탄천 등 23개소, 8.15km의 하천주변 녹지에 수목 및 초화류를식재하여보행환경이 개선되고 및 생물서식처를 확대할 계획이다. ③ 유기적인 연결을 위해 잘 잇기! □ 아울러 산과 하천, 공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생태 네트워크를강화하고 도시 내 생물다양성 및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일 예정이다. 초록을접하기 어려운 고가하부 공간 6개소에는 ‘고가하부 그린아트길 조성사업’, - 5 - ‘서울 아래숲길 조성사업’을 통해 인공적 식재기반을 활용한 정원을조성하여자연과 인공구조물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어디서나 자연성을 만나게 될 예정이다. □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서울초록길 프로젝트는 단순한 정원조성을넘어 도시 전체를 정원과 생태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기후위기와생물다양성 증진은 물론,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 열섬현상 등 기후변화대응에도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2,000km 달성 후에도 초록길개념을모든 민·관사업에 반영되게 하여 정원이 일상이 되고, 일상이 정원이되는정원도시 서울이 될 수 있도록 꾸준히 정원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6 - 붙임자료1 2024년 추진기관별 실적(연장길이) ※ 이월사업 및 사계절꽃길조성사업 제외추진기관 추진 완료사업 실적 비고총 계 71.21km 종 로 구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등 5개 사업 0.77km 중 구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등 6개 사업 1.30km 용 산 구 가로수 생육환경개선사업 등 7개 사업 0.33km 성 동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10개 사업 1.25km 광 진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5개 사업 1.08km 동 대 문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5개 사업 0.60km 중 랑 구 서울둘레길 사업 등 7개 사업 3.48km 성 북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6개 사업 1.12km 강 북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5개 사업 3.40km 도 봉 구 하천생태복원사업 등 3개 사업 2.34km 노 원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9개 사업 10.01km 은 평 구 무장애숲길조성 등 6개 사업 4.60km 서 대 문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7개 사업 4.54km 마 포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4개 사업 2.50km 양 천 구 무장애숲길조성 등 7개 사업 2.45km 강 서 구 무장애숲길조성 등 6개 사업 0.60km 구 로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8개 사업 3.25km 금 천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6개 사업 1.44km 영 등 포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7개 사업 4.48km 동 작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7개 사업 3.30km 관 악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4개 사업 1.35km 서 초 구 치유의 숲길 사업 등 5개 사업 4.40km 강 남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4개 사업 2.50km 송 파 구 무장애숲길 조성 등 7개 사업 4.42km 강 동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10개 사업 5.40km 중부공원여가센터 도시바람길숲 등 3개 사업 0.20km 동부공원여가센터 도시바람길숲 조성사업 등 2개 사업 0.10km - 7 - 붙임자료2 2024년 주요 추진사업 현장사진 □ 북한산 체험형 숲속쉼터 조성사업 (준공일 2024.3.) ○ 위 치 : 강북구 수유동 산123-11 일대 ○ 규 모 : 3km ○ 사업비 : 1,300백만원 ○ 내 용 : 데크로드 및 유아놀이공간 등 체험형 여가공간 조성 □ 서울 아래숲길 조성사업 (준공일 2024.12.) ○ 위 치 : 왕십리역 5호선 지하1층 대합실 ○ 규 모 : 0.02km, 500㎡ ○ 사업비 : 460백만원 ○ 내 용 : 실내정원 조성 □ 바람길숲 조성 (준공일 2024.11.) ○ 위 치 : 성동구 성수동1가 689-16 일대 ○ 규 모 : 5,600㎡ ○ 사업비 : 500백만원 ○ 내 용 : 수목식재 및 정원 조성 등 □ 하천생태복원 및 녹화사업 (준공일 2024.5.) ○ 위 치 : 강동구 고덕천 ○ 규 모 : 1km, 5,900㎡ ○ 사업비 : 1,258백만원 ○ 내 용 : 식생기반 조성 및 식재 등 - 8 - □ 불암산 서울형 치유의 숲길 조성사업 (준공일 2024.9.) ○ 위 치 : 노원구 불암산 ○ 규 모 : 3km ○ 사업비 : 1,280백만원 ○ 내 용 : 쉼터 및 잔디마당 조성 등 □ 고가하부 그린아트길 조성사업 (준공일 2024.6.) ○ 위 치 : 서대문구 홍은사거리 내부순환로 하부(홍은동) ○ 규 모 : 0.53km ○ 사업비 : 250백만원 ○ 내 용 : 수경시설 및 수목 식재 등 □ 단절된 녹지축 연결공사 (준공일 2024.8.) ○ 위 치 : 동작구 상도동 산65-260 일대 ○ 규 모 : 0.02km ○ 사업비 : 2,184백만원 ○ 내 용 : 녹지연결로 및 식재 등 □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준공일 2024.9.) ○ 위 치 : 영등포구 여의대방로 ○ 규 모 : 0.33km ○ 사업비 : 300백만원 ○ 내 용 : 가로변 띠녹지 조성 등 - 9 - 붙임자료3 2025년 서울초록길 사업계획(기관별) 추진기관 추진 사업 계획 비고총 계 총 165개 사업 75.58km 종 로 구 등산로 정비사업 등 4개사업 0.39km 중 구 가로수 생육환경 개선사업 등 6개 사업 1.80km 용 산 구 가로수 생육환경개선사업 등 3개 사업 2.00km 성 동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13개 사업 3.14km 광 진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7개 사업 3.85km 동 대 문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7개 사업 1.90km 중 랑 구 서울둘레길 사업 등 8개 사업 1.16km 성 북 구 하천생태복원 사업 등 18개 사업 5.06km 강 북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4개 사업 0.61km 도 봉 구 하천생태복원사업 등 3개 사업 1.54km 노 원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11개 사업 6.05km 은 평 구 무장애숲길조성 등 9개 사업 5.23km 서 대 문 구 근교산 등산로 정비 등 4개 사업 1.17km 마 포 구 도시생태축 복원사업 등 1개 사업 0.50km 양 천 구 하천생태복원 및 녹화사업 등 3개 사업 1.51km 강 서 구 하천생태복원 및 녹화사업 등 6개 사업 6.24km 구 로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8개 사업 3.71km 금 천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5개 사업 2.88km 영 등 포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7개 사업 2.03km 동 작 구 바람길숲 사업 등 8개 사업 2.92km 관 악 구 서울둘레길 등 11개 사업 7.57km 서 초 구 가로수 생육환경개선사업 등 5개 사업 2.44km 강 남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4개 사업 1.11km 송 파 구 무장애숲길 조성 등 5개 사업 6.86km 강 동 구 서울둘레길사업 등 4개 사업 1.11km 중부공원여가센터 등산로 정비사업 등 1개 사업 0.50km 본 청 가로 정비사업 등 1개 사업 2.30km - 10 - 붙임자료4 서울초록길 관련 Q&A |Q1| 서울초록길의 개념은? \w 서울은 외사산, 내사산이 있는 도시로 산이 담장처럼 둘러싸인 정원 형태의 도시이지만, 현재 도시개발로 인해 도심 내의 자연은 파편화되고 단절되어 있음. w 이에 단절된 자연을 정원사업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도심 생태를 회복하고 녹지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공원녹지 네트워크 사업임. <사업추진 예시> - ( 산 ) 도심 속 시민들이 편하게 산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등산로 입구 및 산책로 정비, 이용이 어렵고 답압으로 훼손이 심한 지역은 목재데크를 통해 이용 및 생태성을 증대 - (도심) 도시개발로 단절되어 있는 공원녹지, 산, 하천 등 그린인프라는 가로변에 가로수 식재및 띠녹지 조성하고, 지상 내 연결이 어려우면 입체공간(지하철역사, 고가하부 등)을 활용하여 도심과 녹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계획 - (하천) 하천 생태회복 및 이용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하천생육에 적합한 수종 선정하여 녹화 - (기타) 도로설치로 인해 단절된 녹지(임야 등)는 생태연결로를 조성하여 연결 |Q2| 서울초록길과 유사한 해외 사례는? \w 서울초록길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급증한 공원녹지 여가 수요를 충족하고, 시민의 삶가까이 녹색힐링을 제공하기 위해 2022년부터 추진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해외 사례로는 싱가포르의 ‘파크커넥터 네트워크’가 있음. w 싱가포르의 파크커넥터 네크워크는 싱가포르 국민들의 휴식과 활동 공간의 접근성을높이는 것에서 시작된 계획으로, 주요공원과 녹지, 공간 등을 연결해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 그린웨이로, 공원녹지체계가 도시구조에 대한 형성, 도시경관을조성, 녹지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계획임. w 서울초록길은 도로, 하천 등 굵은 선형 연결 뿐만 아니라 해외와 다르게 주변으로넓게 위치하고 있는 임야와의 연결과 함께 데크 및 휴양·여가 시설 설치 등 이용 활성화를위한 사업을 중점으로 추진하고 있는 점이 특징임. - 11 - |Q3| 서울초록길을 지속 추진에 따른 시민들의 체감 효과는? \w 기후변화로 인한 폭렴, 폭우 등 자연재해 대응, 탄소저감 등 세계적 문제뿐만 아니라심리적 문제 등 사회적 문제의 대안으로 ‘정원’이 떠오르고 있음 - 연구결과 정원감상은 회색도시보다 불안 수준을 20% 감소시키고,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정원에서 시간을 보내면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횟수가 60% 감소됨 w 서울초록길을 통해 숲, 공원 및 녹지, 하천이 도심에 유기적으로 연결되면 시민분들은정원으로의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녹지 소외 지역은 해소되어, 시민들은 어디가든 쉽게 정원을 접하고, 즐기며 힐링할 수 있는 ‘5분 정원도시’를 체감할 수 있음. <정원의 효과(출처:국립수목원)> <서울초록길(남산북측순환로)를 즐기는 시민의 모습> (출처:내손안의 서울,이용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