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4.8.(월) 12:00 < 4.9.(화) 조간 > / 배포 2024. 4.8.(월) 08:30 2023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발표-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안정적 성장 추세 지속 - - 외식업을 중심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 큰 폭으로 상승,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등록한 정보공개서를 토대로 2023년도 가맹사업 현황을 분석·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전체 업종 현황>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전체 가맹본부 수는 8,759개, 상표(브랜드) 수는 12,429개, 가맹점 수는 352,86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전년에 비해 가맹본부 수는 7.0%, 상표(이하 ‘브랜드’) 수는 4.9%, 가맹점 수는 5.2% 증가하였는데, 지난 ’21년 시행된 직영점 운영 의무화 제도 등이 시장에 안착됨에 따라 가맹산업이 안정적 성장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가맹사업 개시 전 직영점 운영 의무화 및 소규모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등록 제도를처음 시행한 ’21년에는 제도 시행 직전 정보공개서 등록이 집중되어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가 예외적으로 급증하였다가 ’22년, ’23년에는 증가추세가 안정화됨 업종별로 보면 브랜드 수 증가는 외식(5.2%) 및 서비스 업종(5.7%)이 주도했으며 가맹점 수 증가는 외식업종(7.4%)에서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 2 -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은 외식(79.9%), 서비스(15.3%), 도소매(4.8%) 순이며, 가맹점 수 비중 역시 외식(51.0%), 서비스(29.5%), 도소매(19.5%) 순으로 집계됐다. 한편,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은 4.0%,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 비중은 23.7%,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 비중은 72.3%를 차지했다. ’22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4억 원으로 ’21년에 비해 8.3% 가량 증가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19년 수준(약 3.3억 원)을 회복하였다. 업종별로 보면 코로나19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던 외식업종이 12.7% 상승하여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을 견인하였고, 서비스업종과도소매업종 매출액도 각각 10.7%, 1.8% 상승하였다. <표> 업종별 가맹점 평균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2021년 279 12.7 161 10.7 527 1.8 311 8.3 2022년 314 178 537 337 <업종별 현황> ① 외식업종 브랜드 수는 9,934개, 가맹점 수는 179,923개로 전년 대비각각 5.2%, 7.4%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14억 원으로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외식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는 한식업종이 39,868개로 전체외식 업종 가맹점의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은 커피업종이 13.0%로 가장 높았다. - 3 -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주요 세부 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는데, 코로나19로인한 매출 손실이 가장 심했던 주점업종 매출액이 66.2% 증가하여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한식·피자·제과제빵·커피·치킨업종은 각각 17.2%, 11.6%, 8.1%, 7.4%, 6.5%의 매출액 상승을 보였다.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의영향으로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28백만원으로 전년 보다11백만원 상승했다. ② 서비스업종 브랜드 수는 1,900개, 가맹점 수는 10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5.7%, 3.0% 증가하였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1)은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서비스업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는 운송업종이 27,523개(26.4%)로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은 이미용업종이 5.5%로 가장 높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주요 세부업종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증가율은교과교육(34.7%), 세탁(17%), 외국어교육(16%), 이미용(5.9%)업종 순으로나타났다. ③ 도소매업종 브랜드 수는 595개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였고, 가맹점 수는 68,809개로 전년 대비 3.1% 증가하였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편의점 가맹점 수는 55,043개로 전년 대비 5.5% 증가하여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는데 반해, 화장품업종은 1,356개로 14.6% 감소하여 하락추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업종 : (’19)45,555개 → (’20)48,738개 → (’21)52,168개 → (’22)55,043개화장품업종 : (’19)2,876개 → (’20)2,018개 → (’21)1,588개 → (’22)1,356개1)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 바, 집계에서 제외 - 4 -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편의점은 전년 대비 3.2% 상승한 데 반해, 화장품(△3.4%), 건강식품(△5.4%), 농수산물업종(△16.7%)은 전년에 비해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23년 가맹사업 현황을 종합하면,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거의 모든 업종에서 브랜드 수, 가맹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등이 증가하는 등전체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가맹점주의 경영여건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외식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차액가맹금 비율’이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하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증가하는 등 가맹본부의 일방적인 필수품목 지정과 과도한 차액가맹금(마진) 수취로 인한 갈등의 소지도 상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공정위는 가맹본부가 필수품목 거래조건을 불리하게 변경시 사전에 정한 절차에 따라 가맹점주와 협의하도록 하는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과 차액가맹금수취로 인한 가맹점주의 고충이 경감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이번 통계 발표를 통해 가맹사업 시장 동향에 대한 세부 정보를공개함으로써 가맹희망자의 합리적인 사업선택 및 가맹본부-점주 간 정보력 격차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붙임> 가맹사업 현황 통계 세부 내용 담당 부서 기업협력정책관 가맹거래정책과 책임자 과 장 김대간 (044-200-4990) 담당자 사무관 류현욱 (044-200-4993) - 5 - 붙임1 가맹사업현황 통계 세부 내용 1 전체 등록 현황 ◆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가맹본부 수는 8,759개, 브랜드 수는 12,429개, 가맹점 수는 352,88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 ’22년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이하 같다) □ ’23년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가맹본부 수는 8,759개, 브랜드 수는 12,429개, 가맹점 수는 352,886개로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 가맹본부 : (‘22)8,183→(’23)8,759, 브랜드 : (‘22)11,844→(’23)12,429, 가맹점 : (‘21)335,298→(‘22)352,886 ㅇ 가맹본부 수는 전년 대비 7.0% 증가하였고 가맹점 수 및 브랜드 수도 전년 대비 각각 5.2%,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증가율은 예년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지난 ’21년 가맹사업 개시 전 직영점 운영을 의무화하고 소규모 가맹본부에게도 정보공개서 등록의무를 부여한 가맹사업법 개정안 시행으로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 증가율이 일시적으로 크게 상승한 바 있으나,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됨에 따라 ’22년부터 증가율은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표 1> 연도별 가맹본부ㆍ브랜드ㆍ가맹점 수 및 증감률 구 분 2019 2020 2021 2022 2023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 개 수 증감률가맹본부 5,175 6.0% 5,602 8.3% 7,342 31.1% 8,183 11.5% 8,759 7.0%브랜드 6,353 5.0% 7,094 11.7% 11,218 58.1% 11,844 5.6% 12,429 4.9%가맹점 258,889 1.9% 270,485 4.5% 335,298 24.0% 352,886 5.2% - - - 6 - 2 전체 업종 현황 1. 업종별 가맹본부, 브랜드 수 (’23년 말 기준)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 증가는 외식 및 서비스 업종이 주도했으며,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은 외식 업종(80%)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 증가는 외식 및 서비스 업종에서 두드러졌으며, 도소매 업종은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은 전년과 크게 차이가 없으며 외식업종(79.9%), 서비스업종(15.3%), 도소매업종(4.8%) 순으로 나타났다. <표 2> 업종별 가맹본부, 브랜드 수 및 증감률 구 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계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가맹 본부 2021년 5,661 77.1% 34.5% 1,346 18.3% 20.8% 502 6.8% 52.1% 7,509 2022년 6,308 75.7% 11.4% 1,475 17.7% 9.6% 554 6.6% 10.4% 8,337 2023년 6,822 76.2% 8.1% 1,571 17.6% 6.5% 550 6.2% △0.7% 8,943 브랜드 2021년 8,999 80.2% 66.5% 1,662 14.8% 24.0% 557 5.0% 59.1% 11,218 2022년 9,442 79.7% 4.9% 1,797 15.2% 8.1% 605 5.1% 8.6% 11,844 2023년 9,934 79.9% 5.2% 1,900 15.3% 5.7% 595 4.8% △1.7% 12,429 ※ 하나의 가맹본부가 2개 이상 업종의 가맹사업을 영위하는 경우가 존재하여 업종별가맹본부 수의 합이 전체 가맹본부 수와 상이 <그림 1> 업종별 브랜드 수 증감 <그림 2>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 - 7 - 2. 업종별 가맹점 수 (’22년 말 기준) ◆ 가맹점 수는 전 업종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외식업종에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업종별 브랜드 수 비중에 이어 업종별 가맹점 수 비중도 외식업종의 비중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가맹점 수는 전 업종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으며, 특히 외식업종에서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대비 외식업종 7.4% 서비스업종 3.0% 도소매업종 3.1% 증가 □ 브랜드당 가맹점 수는 도소매업종(115.6개), 서비스업종(54.8개), 외식업종(18.1개) 순으로 도소매 가맹브랜드는 대형화 되어있는 반면, 외식 가맹브랜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영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다만, 외식업과 도소매업은 브랜드당 가맹점 수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서비스업은 브랜드당 가맹점 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 외식: 17.7 → 18.1개(2.2%), 서비스: 56.3 → 54.8개(△2.7%), 도소매: 110.3 → 115.6개(4.8%) □ 업종별 가맹점 수 비중은 외식업종이 51.0%로 가장 높았으며, 서비스업종(29.5%), 도소매업종(19.5%)이 그 뒤를 이었다. <표 3> 업종별 가맹점 수, 브랜드당 가맹점 수 구 분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개 수 비 중 증감률 가맹점 수 2020년 135,113 50.8% 4.6% 74,364 28.0% 4.0% 61,008 23.0% 4.7% 270,485 2021년 167,455 49.9% 23.9% 101,124 30.2% 36.0% 66,719 19.9% 9.4% 335,298 2022년 179,923 51.0% 7.4% 104,134 29.5% 3.0% 68,809 19.5% 3.1% 352,866 브랜드당 가맹점수 2021년 17.7개(18.0%) 56.3개(26.0%) 110.3개(0.7%) 28.3개2022년 18.1개(2.2%) 54.8개(△2.7%) 115.6개(4.8%) 28.4개 <그림 3> 브랜드당 가맹점 수 <그림 4> 업종별 가맹점 수 비중 - 8 - 3. 업종별 브랜드 가맹점 수 분포 (’22년 말 기준) ◆ 전체 브랜드 중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은4.0%, 10개 미만 가맹점을 가진 소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72.3%를차지했다. □ 전체 브랜드 중 100개 이상의 가맹점을 가진 대형 브랜드의 비중은 4.0%,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는 23.7%,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는 72.3%를 차지했다. ㅇ 규모별 브랜드의 비중은 전년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업종별 브랜드 가맹점 수 분포 현황 가맹점 수 외식 서비스 도소매 전체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22년 22년 22년 22년100개 이상 310 3.1% 3.1% 144 7.6% 7.8% 42 7.1% 6.3% 496 4.0% 4.0%10개 ~ 99개 2,228 22.4% 21.7% 560 29.5% 29.7% 157 26.4% 23.5% 2,945 23.7% 23.0%10개 미만 7,396 74.5% 75.2% 1,196 62.9% 62.5% 396 66.6% 70.2% 8,988 72.3% 73.0%계 9,934 100% 1,900 100% 595 100% 12,429 100% <그림 5> 업종별 가맹점 수 기준 브랜드 규모 분포 비율 - 9 - 4.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22년 말 기준) ◆ ’22년 기준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3% 가량 증가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3.3억 원)을 회복하였다. □ ’22년 전체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4억 원으로 작년 대비 0.3억원(8.3%) 증가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 이전(’19년) 보다도 소폭 높은 수준이다. *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 추이(원) : (`19년) 3.3억 → (`21년) 3.1억 → (`22년) 3.4억□ 업종별로는 외식, 서비스, 도소매업종 모두 전년 대비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오프라인 영업비중이 높은 외식업종이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매출액 증가를 견인하였다. <표 5> 업종별 가맹점 연간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식 서비스2) 도소매 전체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 평균매출액 증감률2021년 279 12.7 161 10.7 527 1.8 311 8.3 2022년 314 178 537 33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그림 6>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백만원) 2)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바, 집계에서 제외, - 10 - 3 세부 업종별 주요 현황 1. 외식업종 ◆ 외식업종 가맹본부 수는 6,822개, 브랜드 수는 9,934개, 가맹점 수는 179,923개로 전년 대비 각각 8.1%, 5.2%, 7.4%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는 한식업종이 39,868개로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가맹점 수 증가율은 커피업종이 13.0%로 가장 높았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의 경우 치킨·한식·피자·커피 등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주점이 66.2%로 크게 늘었다. ◆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평균 차액금 지급 비율은 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다. 가. 업종 현황 □ (가맹본부 수) ’23년 외식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9,934개로 전년 대비 8.1% 증가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5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 (브랜드 수) ’23년 외식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9,934개로 전년 대비5.2%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한식업종의 브랜드 수가 3,556개로 가장 많았으며, 커피(886개), 치킨(669개), 주점(485개), 제과제빵(294개)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제과제빵 브랜드 수가 가장 크게 증가(8.9%)하였고, 치킨 브랜드 수는다소 감소(△2.0%)하였다. <표 6>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2021년 701 47.0% 3,047 72.3% 736 88.7% 254 63.9% 240 53.8% 429 46.0% 8,999 66.5%2022년 683 △2.6% 3,269 7.3% 852 15.8% 270 6.3% 243 1.3% 450 4.9% 9,442 4.9%2023년 669 △2.0% 3,556 8.8% 886 4.0% 294 8.9% 240 △1.2% 485 7.8% 9,934 5.2% - 11 - □ (가맹점 수)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179,923개로 전년 대비7.4%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한식업종의 가맹점 수가 39,868개로 22.2%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치킨(29,423개, 16.4%), 커피(26,217개, 14.6%), 주점(9,379개, 5.2%), 제과제빵(8,918개, 5.0%)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모두 가맹점 수가 증가한 가운데, 특히 커피업종과 한식업종에서 가맹점 수가 각각 13.0%, 10.7% 증가해 외식업종 가맹점 수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표 7>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점 외식업 전체2020년 25,867 25,758 17,856 8,325 7,023 7,989 135,113 2021년 29,373 36,015 23,204 8,779 8,053 8,638 167,455 2022년 29,423 39,868 26,217 8,918 8,403 9,379 179,923 증감률 21년 13.6% 39.8% 30.0% 5.5% 14.7% 8.1% 23.9% 22년 0.2% 10.7% 13.0% 5.0% 4.7% 8.6% 7.4% <그림 7>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가율 - 12 - □ (개·폐점률) 전체 외식업종의 개점률은 22.4%, 폐점률은 14.5%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업종 중에서는 한식의 개점률이 29.9%로 가장 높았으며, 폐점률 역시 1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8>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개점률 2021년 17.3 35.1 25.1 13.4 20.3 21.9 26.2 2022년 14.4 29.9 22.7 12.0 13.5 21.7 22.4 증감(%p) △2.9 △5.2 △2.4 △1.4 △6.8 △0.2 △3.8 폐점률 2021년 13.7 14.5 7.8 8.9 8.5 19.1 12.6 2022년 14.2 18.2 9.2 9.8 12.3 13.1 14.5 증감(%p) 0.5 3.7 1.4 0.9 3.8 △6.0 1.8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 (분포) 외식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대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3.1%,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중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22.4%,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소규모 브랜드의 비중은 74.5%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치킨, 피자 업종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운영하는 브랜드 비중이 각각 7.8%, 7.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표 9> 가맹점 수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 점수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외식업 전체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수 비 중 개수 비 율 개 수 비 22 중 년 22 년 22 년 22 년 22 년 22 년100개 이상 52 7.8 7.8 72 2.0 1.9 42 4.7 4.5 8 2.7 3.3 19 7.9 7.4 310 3.1 3.1 10개 ~99개 178 26.6 27.1 706 19.9 19.6 173 19.5 17.5 63 21.4 20.7 77 32.1 28.8 2,228 22.4 21.7 10개 미만 439 65.6 65.2 2,778 78.1 78.5 671 75.7 78.1 223 75.9 75.9 144 60.0 63.8 7,396 74.5 75.2 계 669 100 3,556 100 886 100 294 100 240 100 9,934 100 - 13 -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 (현황)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3.14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을 크게 받은 주점은 66.2%나 매출이 상승하였다. <표 10>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주 점 외식업 전체2021년 279 277 209 453 255 179 279 2022년 297 325 225 490 284 298 314 증감률 6.5% 17.2% 7.4% 8.1% 11.6% 66.2% 12.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인 브랜드 비중은 36.8%로전년 대비 9.6%p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브랜드 비중은 16.9%로 전년 대비 2.3%p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한식업종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큰 브랜드의 비중이 전체 외식업종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커피 및 치킨 업종은상대적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낮은 브랜드의 비중이 높았다. <표 11> 가맹점 평균 매출액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외식업 전체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중 22년3억 이상 38 12.7 8.1 589 48.3 37.8 36 10.4 6.4 36 31.6 24.4 35 27.8 20.8 1,401 36.8 27.2 2억 ~ 3억 70 23.3 16.6 231 18.9 22.6 67 19.4 21.9 19 16.7 18.3 36 28.6 28.7 765 20.1 21.4 1억 ~ 2억 120 40.0 45.2 215 17.6 23.7 151 43.8 43.0 35 30.7 36.6 39 31.0 36.6 1,002 26.3 32.1 1억 미만 72 24.0 30.0 184 15.1 15.8 91 26.4 28.7 24 21.1 20.7 16 12.7 13.9 644 16.9 19.2 계 300 100% 1,219 100% 345 100% 114 100% 126 100% 3,812 100% - 14 - 다.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참고) 차액가맹금이란? ㅇ 차액가맹금은 가맹점사업자가 가맹본부로부터 공급받는 상품ㆍ원재료ㆍ부재료ㆍ정착물ㆍ설비 및 원자재의 가격 또는 부동산의 임차료에 대하여 가맹본부에 정기적으로또는 비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대가 중 적정한 도매가격을 넘는 대가로 일종의 유통마진□ ’22년 외식업종의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은 28백만 원으로 전년 대비 11백만원 높아졌다. ㅇ 다만, 이는 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에 기인한 것이고,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 4.4%로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은 피자업종이 52백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치킨(35백만원), 제과제빵(34백만원), 커피(23백만원), 한식(20백만원)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 치킨업종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커피(6.8%), 제과제빵(5.5%), 피자(4.2%), 한식(2.7%)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표 12>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3) (단위 : 백만원, %) 치 킨 한 식 커 피 제과제빵 피 자 외식업 전체지급 금액 21년 21 16 9 17 17 17 22년 35 20 23 34 52 28 지급 비율 21년 7.0 4.2 3.6 6.0 5.0 4.3 22년 8.2 2.7 6.8 5.5 4.2 4.4 <그림 8> 주요 세부업종 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차액가맹금 비율 변화 3) 일정 규모 이상의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통계를 추출하기 위해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2억원 이상인 가맹점을 대상으로만 집계 - 15 - 2. 서비스업종 ◆ 전체 서비스업종의 가맹본부 수는 1,571개, 브랜드 수는 1,900개, 가맹점 수는 104,134개로 전년 대비 각각 6.5%, 5.7%, 3.0%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7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는 운송업종이 27,523개로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가맹점 수 증가율은 이미용 업종이 5.5%로 가장 높았다. ◆ 서비스업종은 모든 주요 세부 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그 중 교과교육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4.7%로가장 많이 증가했다. 가. 업종 현황 □ (가맹본부 수) ’23년 서비스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1,571개로 전년 대비6.5% 증가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2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 (브랜드 수) ’23년 서비스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1,900개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이미용업종의 브랜드 수가 274개로 가장 많았으며, 외국어교육(142개), 교과교육(87개), 세탁(30개), 운송(20개) 업종이그 뒤를 이었다. ㅇ 브랜드 수 증가율은 세탁업종이 20.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운송(17.6%), 이미용(7.9%) 업종 순으로 나타났다. <표 13>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단위 : 개,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2021년 119 7.2 79 8.2 223 21.9 27 △12.9 14 7.7 1,662 24.0 2022년 136 14.3 88 11.4 254 13.9 25 △7.4 17 21.4 1,797 8.1 2023년 142 4.4 87 △1.1 274 7.9 30 20.0 20 17.6 1,900 5.7 - 16 - □ (가맹점 수) ’22년 서비스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104,134개로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ㅇ 특히 운송업종의 가맹점 수가 27,523개로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외국어교육(16,429개, 15.8%), 교과교육(10,532개, 10.1%), 이미용(5,262개, 5.1%), 세탁(3,944개, 3.8%)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이미용, 운송, 세탁 업종은 가맹점 수가 증가하였으나, 외국어교육및 교과교육 업종은 가맹점 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표 14>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단위 : 개,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2020년 14,714 9,121 4,070 4,489 11,303 74,364 2021년 17,232 10,674 4,986 3,927 26,402 101,124 2022년 16,429 10,532 5,262 3,944 27,523 104,134 증감률 21년 17.1 17.0 22.5 △12.5 133.6 36.0 22년 △4.7 △1.3 5.5 0.4 4.2 3.0 <그림 9>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감률 - 17 - □ (개·폐점률) 전체 서비스업종의 개점률은 20.3%, 폐점률은 12.7%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가맹택시사업의 활성화 영향으로 운송업종의 개점률이 전년도에 이어 35.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5> 서비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개점률 2021년 12.7 19.4 16.0 6.6 69.7 30.0 2022년 13.9 17.0 16.5 7.5 35.3 20.3 증감(%p) 0.8 △2.4 0.5 0.9 △34.4 △9.7 폐점률 2021년 10.5 18.6 7.4 7.4 3.8 8.7 2022년 10.9 18.1 10.4 7.0 20.0 12.7 증감(%p) 0.4 △0.5 3.0 △0.4 16.2 4.0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 (분포) 서비스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브랜드의 비중은 7.6%,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29.5%,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62.9%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운송(25.0%), 외국어교육(19.0%), 세탁(16.7%), 교과교육(17.2%) 업종의 경우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의 비중이 평균(7.6%) 보다 크게 높았으나 이미용업종은 5.1%로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표 16> 가맹점 수 기준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 점수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전체 서비스업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 중 22년100개 이상 27 19.0 21.3 15 17.2 18.2 14 5.1 5.1 5 16.7 20.0 5 25.0 35.3 144 7.6 7.8 10개 ~ 99개 49 34.5 31.6 37 42.5 38.6 86 31.4 30.7 7 23.3 36.0 4 20.0 5.9 560 29.5 29.7 10개 미만 66 46.5 47.1 35 40.2 43.2 174 63.5 64.2 18 60.0 44.0 11 55.0 58.8 1,196 62.9 62.5 계 142 100% 87 100% 274 100% 30 100% 20 100% 1,900 100% - 18 -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 (현황) ’22년 서비스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1.78억 원으로전년 대비 10.7% 증가했다. ㅇ 서비스업종의 경우 모든 주요 세부 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교과교육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4.7% 증가해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했다. <표 17>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4) (단위 : 백만원, %)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전체 서비스업2021년 88 62 326 84 161 2022년 102 84 345 98 178 증감률 16.0 34.7 5.9 17.0 10.7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인 브랜드 비중은 24.9%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브랜드 비중은 38.5%로 전년 대비 0.7%p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별로 보면 이미용, 외국어교육 업종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높은 브랜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세탁 업종은대부분의 브랜드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1억 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표 18> 가맹점 평균 매출액 기준 주요 세부 업종 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전체 서비스업 개 수 비중 개 수 비중 개 수 비중 개수 비중 개수 비중 22년 22년 22년 22년 22년3억 이상 27 34.2 30.4 8 17.0 20.0 52 40.9 45.5 1 5.9 0 203 24.9 22.9 2억 ~ 3억 9 11.4 14.5 9 19.1 5.0 26 20.5 19.3 0 0.0 0 122 15.0 14.8 1억 ~ 2억 11 13.9 11.6 6 12.8 22.5 18 142 15.9 3 17.6 7.1 176 21.6 23.1 1억 미만 32 40.5 43.5 24 51.1 52.5 31 24.4 19.3 13 76.5 92.9 313 38.5 39.2 계 79 100.0% 47 100.0% 127 100.0% 17 100.0% 814 100.0% 4)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 매출액 산정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인바, 집계에서 제외, - 19 - 3. 도소매업종 ◆ 전체 도소매업종의 가맹본부 수는 550개, 브랜드 수는 595개로 전년 대비 각각 0.7%, 1.7% 감소한데 반해 가맹점 수는 66,809개로 3.1% 증가했으며,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5.4억 원으로 1.8% 증가했다. ◆ 주요 세부 업종 중 편의점업종의 경우 가맹점 수가 지속 증가하는반면 화장품업종의 가맹점 수는 지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의점업종 : (‘19년)45,555개 → (‘20년)48,738개 → (‘21년)52,168개→(‘22년)55,043개(5.5%) 화장품업종 : (‘19년)2,876개 → (‘20년)2,018개 → (‘21년)1,588개→‘22년)1,356개(△14.6%) ◆ 주요 세부업종 중 편의점 업종은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3.2%) 하였으나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등 다른 업종은 가맹점평균 매출액이 감소하였다. 가. 업종 현황 □ (가맹본부 수) ’23년 도소매업종의 전체 가맹본부 수는 550개로 전년 대비0.7% 감소하였으며, 가맹본부 당 브랜드 수는 약 1.1개로 작년과 유사하였다. □ (브랜드 수) ’23년 도소매업종의 전체 브랜드 수는 595개로전년 대비 1.7% 감소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편의점의 브랜드 수가 41개로 가장 많았으며, 농수산물(39개), 건강식품(29개), 화장품(16개)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브랜드 수 감소율은 화장품(△20.0%)과 건강식품업종(△14.7%) 순으로나타났다. <표 19>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브랜드 수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 개수 증감률2021년 47 42.4% 20 5.3% 33 65.0% 36 80.0% 557 59.1%2022년 41 △12.8% 20 0.0% 34 3.0% 38 5.6% 605 8.6% 2023년 41 0.0% 16 △20.0% 29 △14.7% 39 2.6% 595 △1.7% - 20 - □ (가맹점 수) ’22년 도소매업종의 가맹점 수는 총 68,809개로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ㅇ 주요 세부 업종 중에서는 편의점업종의 가맹점 수가 55,043개로 80.0%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화장품(1,356개, 2.0%), 건강식품(969개, 1.4%), 농수산물(313개, 0.5%) 업종이 그 뒤를 이었다. ㅇ 편의점업종의 가맹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화장품업종의 가맹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0>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단위 : 개, %)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2020년 48,738 2,018 1,210 844 61,008 2021년 52,168 1,588 953 893 66,719 2022년 55,043 1,356 969 313 68,809 증감률 21년 7.0% △21.3% △21.2% 5.8% 9.4% 22년 5.5% △14.6% 1.7% △64.9%5) 3.1% <그림 10>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가맹점 수 전년 대비 증감률 5) ’22년 농수산물업종 최대 가맹점 보유 브랜드인 “꽃누리”가 정보공개서를 자진 등록 취소함에 따라 전체 가맹점 수 크게 감소 - 21 - □ (개·폐점률) 전체 도소매업종의 개점률은 14.2%, 폐점률은 8.3%로 나타났다. ㅇ 그 중 화장품업종의 경우 개점률은 3.2%로 주요 도소매업종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폐점률은 2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21>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개·폐점률 (단위 : %, %p)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개점률 2021년 12.6 1.0 6.0 13.5 13.8 2022년 13.2 3.2 7.7 24.9 14.2 증감(%p) 1.4 2.2 1.7 △10.6 0.4 폐점률 2021년 6.3 28.1 2.4 6.3 7.2 2022년 7.9 22.2 3.3 15.3 8.3 증감(%p) 1.6 △5.9 0.9 9.0 1.1 ※ 개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신규개점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폐점률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 / 해당 업종의 당해년도 말 기준 가맹점수□ (분포) 도소매업종 전체에서 가맹점을 100개 이상 가진 브랜드의 비중은 7.1%, 가맹점이 10개 이상 10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26.4%, 가맹점이 10개 미만인 브랜드의 비중은 66.6%로 나타났다. ㅇ 주요 세부업종 별로 보면 편의점(24.4%), 화장품(25.0%) 업종의 경우 100개 이상 가맹점을 가진 브랜드의 비중이 평균(7.1%) 보다 크게 높았고, 건강식품(3.4%), 농수산물(0%)의 경우 그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표 22> 가맹점 수 기준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 별 브랜드 수 분포 (단위 : 개, %) 가맹 점수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22년 22년 22년 22년 중 22년100개 이상 10 24.4 24.4 4 25.0 20.0 1 3.4 2.9 0 0.0 2.6 42 7.1 6.3 10개~ 99개 14 34.1 31.7 6 37.5 30.0 5 17.2 11.8 8 20.5 21.1 157 26.4 23.5 10개 미만 17 41.5 43.9 6 37.5 90.0 23 79.3 85.3 31 79.5 77.8 396 66.6 70.2 계 41 100% 14 100% 29 100% 39 100% 595 100% - 22 - 나. 가맹점 평균 매출액 □ (현황) ’22년 도소매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5.4억 원으로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ㅇ 다만, 이는 편의점 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3.2%)에 기인한 것으로 화장품(△3.4%), 건강식품(△5.4%), 농수산물(△16.7%) 등 다른 업종은 모두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감소하였다. <표 23>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2020년 543 230 597 439 534 2021년 543 200 546 367 527 2022년 560 193 516 306 537 증감률 21년 △0.1% △13.0% △8.5% △16.4% △1.4% 22년 3.2% △3.4% △5.4% △16.7% 1.8% ※ 해당 자료는 정보공개서에 기재된 가맹점 연간 평균매출액을 가중평균하여 도출(가맹점미운영 등의 이유로 평균매출액을 작성하지 않은 브랜드 등은 집계 대상에서 제외) □ (분포)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3억 원 이상인 브랜드 비중은 34.3%로전년 대비 4.2%p 감소했으며, 가맹점 평균매출액이 1억 원 미만인 브랜드 비중은 27.1%로 4.5%p 증가했다. <표 24> 도소매업종 중 주요 세부 업종별 가맹점 평균 매출액별 브랜드 수 분포(단위 : 개, %) 가맹점 평 균 매출액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전체 도소매업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중 개 수 비 22년 22년 22년 22년 중 22년3억 이상 7 28.0 31.8 2 15.4 18.2 2 22.2 22.2 5 33.3 55.6 86 34.3 38.5 2억 ~ 3억 3 12.0 22.7 2 15.4 36.4 2 22.2 22.2 2 13.3 11.1 35 13.9 14.9 1억 ~ 2억 8 32.0 40.9 7 53.8 36.4 1 11.1 11.1 4 26.7 11.1 62 24.7 24.1 1억 미만 7 28.0 4.5 2 15.4 9.1 4 44.4 44.4 4 26.7 22.2 68 27.1 22.6 계 25 100.0% 13 100.0% 9 100.0% 15 100.0% 251 100.0% - 23 - 4 시사점 및 기대 효과 □ ’23년 가맹사업 시장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❶ 직영점 운영을 의무화한 개정 가맹사업법 시행(’21.11.19)으로 지난 ’21년 가맹본부, 브랜드, 가맹점 수가 일시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제도가 시장에 안착됨에 따라 ’22년에 이어 ’23년에도 가맹사업은 안정적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가맹본부 : (‘20년)5,602개 → (‘21년)7,342개(31.1%) → (‘22년)8,183개(11.5%)→(‘23년)8,759개(7.0%) 브랜드 : (‘20년)7,094개 → (‘21년)11,218개(58.1%) → (‘22년)11,844개(5.6%)→(‘23년)12,429개(4.9%) 가맹점 : (‘19년)258,485개 →(‘20년)270,485(4.5%)개 → (‘21년)335,298개(24.0%) → (‘22년)352,886개(5.2%) ❷ 코로나19 종식의 영향으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전년 대비 8.3%로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외식 업종이가장 큰 폭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 상승(12.7%)을 보였다. ➌ 다만, 외식업종에서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비율’은 4.4%로 전년(4.3%) 보다 소폭 상승하였고,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 지급금액’도 28백만원으로 전년 보다 11백만원 높아졌다. ❹ 즉, 산업의 안정적 성장으로 가맹점주의 경영 상황이 개선되고 있음에도불구하고 가맹본부의 일방적인 필수품목 지정과 과도한 차액가맹금(마진) 수취로 인한 본부-점주 간 갈등의 소지도 상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에 공정위는 과도한 필수품목 지정과 차액가맹금 수취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가맹본부가 필수품목 거래조건을 불리하게 변경시사전에 정한 절차에 따라 가맹점주와 협의하도록 하는 내용의 가맹사업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 한편, 이번 통계발표를 통해 가맹사업 전반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시장에공개됨으로써 가맹희망자의 합리적인 사업선택 및 가맹본부 – 점주 간정보력 격차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24 - 붙임2 2023년 가맹사업 세부 업종별 주요 현황[표 1] 프랜차이즈 업종 구분 업종 세부업종 외식업 (15개) 한식, 분식, 중식, 일식, 서양식, 기타 외국식, 치킨, 피자, 커피, 음료(커피 외), 아이스크림/빙수, 패스트푸드, 제과제빵, 주점, 기타 외식 도소매업 (7개) 편의점, 의류·패션, 화장품, 농수산물, 건강식품, 종합소매점, 기타 도소매 서비스업 (21개) 교육(교과), 교육(외국어), 기타 교육, 유아 관련(교육 외), 스포츠 관련, 이미용, 자동차 관련, PC방, 부동산 중개, 임대, 숙박, 오락, 배달, 안경, 세탁, 이사, 운송, 반려동물 관련, 약국, 인력파견, 기타 서비스 [표 2] 주요 외식업종 현황 구분 치킨 한식 커피 제과제빵 피자 주점 가맹점 수 29,423 39,868 26,217 8,918 8,403 9,379 브랜드 수 669 3,556 886 294 240 485 개점률 14.4% 29.9% 22.7% 12.0% 13.5% 21.7% 폐점률 14.2% 18.2% 9.2% 9.8% 12.3% 13.1% 가맹점 평균 매출액 297백만원 325백만원 225백만원 490백만원 284백만원 298백만원※ 가맹본부 및 브랜드 수는 ’23년 말 기준으로, 가맹점 수 및 평균매출액은’22년말(정보공개서 내 기재 정보) 기준으로 작성 [표 3] 주요 서비스업종 현황 구분 외국어교육 교과교육 이미용 세탁 운송 가맹점 수 16,429 10,532 5,262 3,944 27,523 브랜드 수 142 87 274 30 20 개점률 13.9% 17.0% 16.5% 7.5% 35.3% 폐점률 10.9% 18.1% 10.4% 7.0% 20.0% 가맹점 평균 매출액 102백만원 84백만원 345백만원 98백만원 - [표 4] 주요 도소매업종 현황 구분 편의점 화장품 건강식품 농수산물 가맹점 수 55,043 1,356 969 313 브랜드 수 41 16 29 39 개점률 13.2% 3.2% 7.7% 24.9% 폐점률 7.9% 22.2% 3.3% 15.3% 가맹점 평균 매출액 560백만원 193백만원 516백만원 306백만원 - 25 - 붙임3 세부 업종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평균 매출액 상위 5개 업체* 공정위 가맹사업정보제공시스템(franchise.ftc.go.kr)을 통해 자료 추가 확인 가능1. 서비스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교육 (교과) 1 스마트해법수학 2,553 스마트해법수학 379 지트(JEET) 2,890,346 2 셀파우등생교실 1,453 기탄사고력교실 365 종로학원 2,636,898 3 미래엔수학 1,335 아이북랜드 246 생각하는황소 615,699 4 기탄사고력교실 864 미래엔수학 213 와이즈만영재교육 613,030 5 아이북랜드 711 셀파우등생교실 210 아담리즈수학 345,241 교육 (외국어) 1 스마트해법영어 1,942 링키영어 328 폴리어학원 2,790,360 2 뮤엠영어 1,899 삼성영어셀레나 245 엠폴리어학원 2,077,062 3 삼성영어셀레나 1,581 스마트해법영어 227 메이플베어 1,731,745 4 잉글리시아이 1,196 잉글리시아이 198 에스엘피 영어학당 1,572,066 5 미래엔영어 1,104 뮤엠영어 179 힐사이드컬리지 잇 주니어 1,362,370 이미 용 1 리안 428 에이바헤어 95 차홍룸(CHA HONG ROOM) 1,907,757 2 세이프존 335 세이프존 83 리챠드프로헤어 1,785,445 3 블루클럽 313 로이드밤 44 준오헤어 1,312,759 4 나이스가이 217 리안 41 아이벨르 1,218,182 5 로이드밤 210 잇츠탠 30 아이디헤어 1,193,620 세탁 1 크린토피아 2,761 크린토피아 125 하얀크리닝 740,615 2 월드크리닝 459 크린에이드 52 크린토피아 110,046 3 크린에이드 306 월드크리닝 31 최정민과함께하는 크리닝마스터 104,977 4 크린위드 119 런드리익스프레스 샵바이비디에스 27 베베드클린 102,607 5 위니아24크린샵 109 위니아24크린샵 12 월드크리닝 89,289 운송6) 1 카카오T블루7) (케이엠솔루션) 17,516 카카오T블루 (케이엠솔루션) 5,563 - - 2 우버택시 5,619 우버택시 2,537 - - 3 카카오T블루 (디지털모빌리티) 2,758 카카오T블루 (디지털모빌리티) 1,559 - - 4 인천콜 1,354 다트 13 - - 5 반반택시 214 왕창이사 10 - - 6) 서비스업종 중 운송업종의 경우 1개의 가맹점이 1개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개인사업자인 경우와, 여러 대의 운송 수단을 보유한 법인인 경우가 혼재되어 있어 평균 매출액 비교에 적합하지 않아 집계 대상에서 제외, 7) 카카오T블루의 경우 지역에 따라 운영하는 가맹본부가 달라 구분하여 표기 - 26 - 2. 외식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치킨 1 비비큐(bbq) 2,041 비에이치씨(BHC) 443 치르치르 983,231 2 비에이치씨(BHC) 1,991 비비큐(bbq) 219 치맥킹 877,877 3 교촌치킨 1,365 순살몬스터 202 교촌치킨 749,040 4 처갓집양념치킨 1,221 순살만공격 153 구도로통닭 677,880 5 굽네치킨 1,124 맥시칸치킨 144 청년치킨 651,270 한식 1 본죽&비빔밥 836 열정국밥 251 하누소 4,204,269 2 한솥 767 본죽&비빔밥 181 형제닭발&오돌뼈 4,111,212 3 본죽 748 대박삼겹김치찜& 초대박등갈비김치찜 170 어가반상 3,733,862 4 두찜 586 아구듬뿍&알곤마 110 일산생갈비 3,576,080 5 땅스부대찌개 551 오복오봉집 108 범 2,880,000 커피 1 이디야커피 3,005 컴포즈커피 626 브런치빈 1,158,718 2 메가엠지씨커피 2,156 메가엠지씨커피 572 밀화당 1,095,689 3 컴포즈커피 1,901 빽다방 278 드립앤더치 741,742 4 투썸플레이스 1,412 더벤티 266 스컹크웍스 617,354 5 빽다방 1,228 이디야커피 196 모쿠816 594,295 제과 제빵 1 파리바게뜨 3,419 뚜레쥬르 89 RANDY'S DONUTS 2,632,906 2 뚜레쥬르 1,302 파리바게뜨 76 WOO'Z 1,645,008 3 던킨/던킨도너츠 633 던킨/던킨도너츠 73 올드페리도넛 1,436,760 4 명랑시대쌀핫도그 563 복호두 52 윤쉐프 정직한제빵소 1,330,514 5 앤티앤스 220 GLOER 31 타타스베이글 1,143,506 피자 1 피자스쿨 610 빽보이피자 97 피자는 여기 1,338,094 2 피자마루 571 프레드피자 75 잭슨피자 942,171 3 피자나라치킨공주 485 피자먹다 39 이유피자&파스타 744,965 4 오구쌀피자 448 청년피자 37 도미노피자 743,591 5 도미노피자 369 고피자 36 서오릉피자 708,661 주점 1 투다리 1,378 투다리 138 오비베어 2,064,480 2 역전할머니맥주1982 859 고래맥주창고 97 서울주막 1,639,288 3 크라운호프보리 장인 413 역전할머니맥주1982 77 용용선생 1,364,991 4 간이역 383 금별맥주 74 몽담 1,236,177 5 펀비어킹 349 김복남맥주 71 코키펍 1,118,974 - 27 - 3. 도소매업종 (단위 : 개, 천원), 22년 말 기준구분 가맹점 수 신규개점 수 가맹점 평균매출액 업종 순위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 브랜드 수치편의점 1 씨유(CU) 16,615 세븐일레븐 2,458 지에스25(GS25) 639,729 2 지에스25(GS25) 16,337 씨유(CU) 1,704 씨유(CU) 621,795 3 세븐일레븐 12,553 지에스25(GS25) 1,655 미니스톱 543,661 4 이마트24 (emart24) 6,176 이마트24 (emart24) 1,065 세븐일레븐 489,042 5 미니스톱 1,508 이마트24 스마트(emart24 SMART) 104 이마트24 (emart24) 437,638 화장품 1 아리따움 522 홀리카홀리카 11 투쿨포스쿨 (too cool for school) 788,709 2 이니스프리 324 마음에점을찍다 8 세레니끄 328,829 3 토니모리 122 애드코스메틱 5 홀리카홀리카 255,763 4 미샤 104 더샘 5 이니스프리 246,521 5 네이처리퍼블릭 76 토니모리 4 아리따움 194,032 (건강) 식품 1 정관장 755 시즌글라스(SE ASONGLASS) 29 정관장 597,786 2 한삼인 73 도시곳간 26 도시곳간 510,299 3 도시곳간 35 얌키트 8 시즌글라스 (SEASONGLASS) 258,835 4 시즌글라스 (SEASONGLASS) 35 셰프인하우스 4 해콩 215,782 5 스타곱스 25 정관장 4 한삼인 119,330 농수 산물 1 바닷물만난콩이 :두부야 93 화월청과 21 총각네야채가게 720,994 2 총각네야채가게 50 바닷물만난콩이 :두부야 19 광이네과일가게 568,417 3 에코한마음 38 껀어네방앗간 13 아지야과일가게 486,975 4 아지야과일가게 21 광이네과일가게 6 다름과일 383,597 5 껀어네방앗간 20 비타민 팡팡 4 로즈애플(ROSE APPLE) 361,656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의약품안전처, 어린이 기호식품 등 제조업체 위생점검 결과…11곳 적발.조치 (0) | 2024.04.08 |
---|---|
식품의약품안전처, 해외 화장품 직접 구매 시 주의하세요 (0) | 2024.04.08 |
행정안전부, 국민안심 공중화장실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0) | 2024.04.08 |
인사혁신처, 공무원 육아시간, 5세 이하→8세·초2까지 확대 (0) | 2024.04.08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년 4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 (0) | 2024.04.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