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기획재정부, `24.1월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by 플래닛디 2024. 3. 4.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 1 - ’ 월 산업활동을 살펴보면 생산 측면에서는 광공업 24.1 , ( 1.3%) △ 과 공공 행정( 0.7%) △ 이 감소하였으나 서비스업 , (0.1%)과 건설업(12.4%)이 늘어나며 전산업 생산(0.4%)이 증가하였다. * 전산업 생산( , %) 전월비 : (’23.4) 1.1 (5) 1.3 (6) 0.2 (7) 0.7 (8)1.8 (9)0.8 (10) 0.7 (11) 0.3 (12) 0.4 (‘24.1) 0.4△ △ △ △광공업 생산( , %) 전월비 : (’23.4) 1.0 (5) 3.5 (6) 2.0 (7) 2.6 (8)5.4 (9)1.9 (10) 1.7 (11) 1.6 (12) 0.5 (‘24.1) 1.3△ △ △ △ △ △서비스업 생산( , %) 전월비 : (’23.4) 0.3 (5) 0.3 (6) 0.8 (7) 0.2 (8)0.4 (9)0.2 (10) 0.3 (11) 0.0 (12) 1.1 (‘24.1) 0.1△ △ △건설업 생산( , %) 전월비 : (’23.4) 2.1 (5) 0.7 (6) 1.2 (7) 0.5 (8)1.6 (9)0.4 (10) 0.5 (11) 2.4 (12) 2.9 (‘24.1) 12.4△ △ △ △ 지출 측면에서는 내구재( 1.0%) △ 와 준내구재( 1.4%) △ 가 감소했으나 비내구재 , (2.3%)가 늘어나면서 소매판매가 증가(0.8%)하였다. 설비투자의 경우 운송 , 장비( 12 △ .4%) 중심으로 감소( 5.6%) △ 하였고 건설투자는 토목 , (12.8%)과 건축 (12.3%)이 모두 큰 폭 개선되며 증가(12.4%)하였다. * 소매판매( , %) 전월비 : (’23.4) 1.5 (5)0.5 (6) 1.6 (7) 3.1 (8)0.5 (9) 1.0 (10) 0.8 (11) 0.1 (12) 0.6 (‘24.1) 0.8△ △ △ △설비투자( , %) 전월비 : (’23.4) 0.1 (5)1.6 (6) 0.7 (7) 8.6 (8)3.9 (9) 6.8 (10) 1.9 (11) 2.0 (12) 2.3 (‘24.1) 5.6△ △ △ △건설투자( , %) 전월비 : (’23.4) 2.1 (5)0.7 (6) 1.2 (7) 0.5 (8)1.6 (9) 0.4 (10) 0.5 (11) 2.4 (12) 2.9 (‘24.1) 12.4△ △ △ △ 월 산업활동은 그간 저조했던 소비 건설지표의 개선 등에 힘입어 ‘24.1 ・ 전산업 생산이 개월 만에 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작년 하반기 이후 지속 24 3 되어 온 경기 회복흐름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 1~2 반도체의 분기초 감소 영향으로 광공업 생산은 조정되었으나 월 수출 개선세 지속 다수 제조업종의 생산 증가 등은 제조업 생산 수출 중심 , ・ 회복을 뒷받침하고 있다 소비와 건설지표 개선은 긍정적이나 월 일시적 . , 1 요인 영향 등을 감안 시 향후 추이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불확실성이 , 상존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경기회복의 온기가 민생 내수 취약부문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 있도록 상반기 재정 신속집행 관리와 함께 민생토론회 후속조치의 조속한 이행 내수 취약부문 보완과제 발굴 집행 등에 최우선 역점을 둘 계획이다 , . ・ 담당 부서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책임자 과 장 김귀범 (044-215-2730) 담당자 사무관 최문성 (044-215-2731) 사무관 정동현 (044-215-2732) 사무관 박영우 (044-215-2735) ’24.1월 전산업 생산(+0.4%) , 증가24 3 개월 만에 개월 연속 증가 시현- ‘24.1월 산업활동동향 및 평가 보도시점 월 2024. 3. 4.( ) 08:30 배포 월 2024. 3. 4.( ) 08:30 보도자료 - 2 - 별 첨 ' 월 산업활동동향 주요내용 상세 24.1 ( ) 1. 주요 내용 󰊱 (생산) , 반도체 중심 광공업 감소 서비스업은 완만한 개선 ➊ * 개 제조업종 중 개 업종이 생산 증가 기록28 20 ▸ 무선통신 큰 폭 증가 (+46.8%) 는 1 S24 월 갤럭시 출시에 따른 생산 확대영향 추정 * 생산( , %) 전월비 : (‘23.9) 7.6 (10) 2.1 (11) 8.5 (12) 33.7 △(‘24.1) 46.8 * 재고출하비율 / (%): (’23.5)118.1 (6)108.8 (7)119.4 (8)118.8 (9)111.5 (10)115.0 (11)112.5 (12)104.3 (‘24.1)110.8➋ ‘22 ‘23 ‘23.1/4 2/4 3/4 4/4 10월11월12월‘24.1월( , , %)업종별 전월비全 산 업 < , %> 전기비 - - 0.1 0.6 1.0 0.7 △0.7 0.3 0.4 0.4( ) 1.3광공업△ 건설업( ) 12.4< , %> 4.6 1.0 1.6 0.3 전년동기비 △ 1.3 1.3 1.5 2.2 0.4 7.3 ( ) 공공행정서비스업0.1 ( ) 0.7△광 공 업 < , %> - - 0.4 2.6 1.3 2.1 전기비 △ 1.6 0.5 1.7 △ 1.3△( · ) 의약품통신방송46.8 ( ) 8.8< , %> 1.0 2.6 전년동기비 △ 8.3 △ 6.1 △ 0.4 △ 4.7 2.0 6.1 6.1 12.9 ( ) 기계장비반도체△ △8.6 ( ) 11.2서 비 스 업 < , %> 전기비 - - 1.0 0.0 1.0 0.3 0.3 △ 0.0 1.1 0.1( )4.9 ( )2.6정보 통신 부동산‧ < , %> 전년동기비 7.0 3.1 6.3 2.6 2.3 1.7 1.6 2.5 0.9 4.4 ( )1.3 ( ) 1.0사업지원 도 소매‧ △󰊲 (지출) 소매판매(0.8%)·건설기성(12.4%) 증가 설비투자 , ( 5.6%) △ 감소 ➊ ‣ ‘23.12 → ’24.1월( , %) 전월비 : ( ) 내구재 △0.7 →△1.0 ( ) 준내구재2.2 →△1.4 ( ) 비내구재0.7→2.3[내구재] 전기차 보조금 미지급에 따른 차량판매 위축을 통신기기 판매호조가보완[준내구재] ‘23년말 한파에 따른 12월 의류 판매 확대의 기저효과가 작용하면서 감소[비내구재] 면세점 화장품 판매, 설 성수품( ) 음식료품 , 구매 확대 겨울방학 여행수요에 따라증가 - 3 - ➋ * ( ) 운송장비 항공기 도입 지연( ) 주력 중형기체 결함, 법인용번호판 적용 및 전기차 보조금 미확정 등으로 수입감소 ( ) 전월 큰 폭 증가 기저 영향 및 일부 업체 장비 반입시기 조절 영향 등기계류 ➌ * ( ) LNG ( 대단지 아파트 준공 마무리공사 실적반영 등토목 터미널 기성액 확대 건축) 前 ‘22 ‘23 ‘23.1/4 2/4 3/4 4/4 10월11월12월‘24.1월( , , %)업종별 전월비소 매 판 매 < , %> 전기비 - - 0.6 △0.5 △1.9 0.4 0.8 △0.1 0.60.8 ( ) 1.0내구재△ ( ) 1.4준내구재△< , %> 전년동기비 △ 1.5 0.3 △ 0.8 △ 0.7 △ 2.7 △ 1.9 △ 4.8 △ 0.1 △ 0.6△ 3.4△ ( )2.3비내구재설 비 투 자 < , %> 전기비 - - △ 1.0 3.1 8.0 △ 3.1 1.9 △ 2.0 △ 2.3 5.6△ ( ) 3.4기계류△< , %> 전년동기비 3.3 5.4 △ 1.0 △ 0.9 △ 10.7 △ 8.5 △ 9.1 △ 10.8 △ 5.8△ 4.1 운송장비( ) 12.4△건 설 기 성 < , %> 전기비 - - 2.8 1.1 1.1 2.2 △ 0.5 △ 2.4 △ 2.9△ 12.4 ( ) 12.3건축< , %> 전년동기비 2.8 7.4 11.5 8.7 10.1 0.9 3.4 2.2 2.2△ 17.6 ( ) 12.8토목󰊳 (경기 순환변동치) 동행지수 상승 전환(+0.1p), 선행지수는 보합 ➊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23.6)100.3 (7)100.0 (8)99.8 (9)99.6 (10)99.8 (11)99.7 (12)99.6 (’24.1)99.7<+0.1p>➋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23.6)99.1 (7)99.5 (8)99.5 (9)99.6 (10)99.9 (11)100.1 (12)100.3 (’24.1)100.3< >보합 2. 평가 및 전망 ㅇ * 수출( , %) 전년동기비 : (’23.1/4) 12.8 (2/4) 12.0 (3/4) 9.7 (4/4)5.8 (‘24.1~2) △ △ △11.2[(1)18.0 (2)4.8] - 4 - ㅇ 소비휴대폰 출시 연초 여행수요 확대 등 건설주요 사업장 준공 및 연휴 집행증가 등* ( ) (S24) , ( ) 前 ㅇ * ’24년 세계경제 전망(%): [IMF](‘23.10)2.9 → (’24.1)3.1 [OECD](‘23.11)2.7 → (’24.2)2.9ㅇ 3. 대응방향 ➊ ➋ ➌ ➍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