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무조정실, '24년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39.4억불 지원

by dexxx 2025. 4. 17.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배포 후 즉시 사용 배포 2025. 4. 17.(목) 09:00 ‘24년 한국 공적개발원조(ODA) 39.4억불 지원- 국민총소득(GNI) 대비 ODA 비율은 0.21%로 역대최고치 기록- 국제사회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역할 및 기여 확대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개발원조위원회(DAC)가 16일(한국시각 22:30) 발표한 공적개발원조(ODA) 잠정통계에 따르면 ’24년도 우리나라ODA 실적은 전년 대비 7.8억불(24.8%) 증가한 39.4억불로 나타났다. ㅇ 이와 함께 경제규모 대비 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21%로 우리나라가 DAC에 가입한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 우리나라 ODA 연도별 실적 (억불) > 구 분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잠정) 실적 11.7 13.2 16.0 17.6 18.6 19.2 22.5 22.0 23.6 24.6 22.5 28.7 28.1 31.6 39.4 증가율(%) 12.8 20.6 9.9 5.8 3.2 17.3 ∆2.0 7.1 4.4 △8.7 27.7 △2.2 12.5 24.8 ODA/GNI 0.12 0.12 0.14 0.13 0.13 0.14 0.16 0.14 0.14 0.15 0.14 0.16 0.17 0.17 0.21 □ ’24년도 ODA 지원실적의 증가는 전년 대비 원·달러 환율 변동이 증가* 하였음에도, 양자원조(31.8억불) 실적이 전년대비 크게 증가(37.0%)한데 기인한다. 특히, 양자원조는 무상원조(22.2억불) 및 유상원조(9.6억불) 모두 고르게 증가하여 전체 ODA 지원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 원·달러 적용환율(증가율) : (’22) 1,291.41(12.8%) → (’23) 1,306.01(1.1%) → (’24잠정) 1,363.53(4.4%) - 2 - < 2024년도 우리나라 ODA 잠정통계 (백만불) > 구 분 2023 2024(잠정) 전년대비 증감률 비중(%) ▪ 총량 (A+B) 3,160 3,943 783 24.8% 100.0 - 양자 (A) 2,325 3,186 861 37.0% 80.8 무상원조 1,598 2,224 626 39.2% (69.8) 유상원조 727 962 235 32.4% (30.2) - 다자 (B) 835 757 △78 △9.5% 19.2 □ 우리나라의 ’24년 ODA 총 지원규모는 39.4억불로 양자원조 31.8억불, 다자원조 7.6억불을 지원했다. ㅇ 양자원조는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인도적 지원(+4.9억불), 수자원·위생· 공공행정 등 사회분야 지원(+2.6억불), 교통 및 물류 등 경제 인프라 지원(+0.7억불) 증가 등으로 전년대비 37.0% 증가했다. ㅇ 다자원조*는 전년도 저소득·취약국의 코로나 대응 및 개발도상국의 경제회복 지원 등으로 일시 확대되었던 세계은행(WB)에 대한 출자·출연 감소등으로 전년대비 9.5%(△0.8억불) 하락했다. * 다자 지원실적 : (’22) 5.9억불(△16.4%) → (’23) 8.4억불(+41.9%) → (’24잠정) 7.6억불(△9.5%) □ 전체 32개 회원국 중 우리나라 지원 규모 순위는 전년(14위)대비 상승한13위로 나타났으며, 경제규모 대비 ODA 지원 규모를 나타내는 국민총소득 대비 공적개발원조(ODA/GNI) 비율은 0.21%로 전년에 비해 0.04%p 증가하여 26위를 기록했다. ㅇ 한편, OECD DAC 32개 회원국*의 총 ODA 지원규모는 2,121억불을 기록하며전년대비 5.1% 감소**했다. 이는 대부분 회원국이 코로나19 대유행 및 우크라이나난민 발생 등 연속적인 위기 극복을 위해 일시적으로 확대되었던 ODA 지원 규모를 축소한 데 기인한다. * 주요 국가 ODA 지원실적(억불) : ▲미국 633(△2.1%), ▲독일 324(△14.5%), ▲영국 180(△5.8%), ▲일본 168(△14.4%), ▲프랑스 154(+2.5%) 등 ** 양자원조 전년대비 4% 감소, 다자원조 전년대비 9% 감소 - 3 - □ 정부는 ’25년 건전 재정 기조 속에서도 세계 10위권의 선진 ODA 국가로도약하겠다는 의지를 계속 이어 나가고자 ODA 예산을 6.5조원*으로 편성했으며, 동시에 성과관리에도 내실을 기할 예정이다. * ODA 예산(증가율) : (’23년) 4.78조원(21.3%) → (’24년) 6.26조원(31.1%) → (’25년) 6.50조원(3.8%) ㅇ 정부는 향후에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노력에 적극 부응하고, ODA 추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협력 기반을 마련, 주요 협력국과의 상생의 국익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담당 부서 국무조정실 국제개발협력본부 책임자 과 장 맹준호 (044-200-2195) <총괄> 성과지원과 담당자 전문위원 이지원 (044-200-2175)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 책임자 과 장 박정현 (044-215-8710) <공동> 개발금융총괄과 담당자 주무관 정은주 (044-215-8715) 외교부 개발협력국 책임자 과 장 채연주 (02-2100-8137) <공동> 개발협력과 담당자 전문연구원 이지민 (02-2100-8348) - 4 - 참고 2024년 OECD DAC 회원국 실적 순위 국 가 ODA (백만불) 순위 국 가 ODA/GNI (%) 2024년 2023년 2024년 2023년1 미국 63,299 64,686 1 노르웨이 1.02 1.09 2 독일 32,422 37,905 2 룩셈부르크 1.00 0.99 3 영국 17,971 19,073 3 스웨덴 0.79 0.93 4 일본 16,772 19,600 4 덴마크 0.71 0.73 5 프랑스 15,433 15,050 5 독일 0.67 0.82 6 네덜란드 7,523 7,361 6 네덜란드 0.62 0.66 7 캐나다 7,420 7,965 7 아일랜드 0.57 0.67 8 이탈리아 6,672 6,121 8 스위스 0.51 0.60 9 노르웨이 5,180 5,548 9 영국 0.50 0.58 10 스웨덴 5,007 5,622 10 벨기에 0.48 0.44 11 스위스 4,603 5,219 11 프랑스 0.48 0.48 12 스페인 4,350 3,880 12 핀란드 0.47 0.54 13 한국 3,943 3,160 13 일본 0.39 0.44 14 호주 3,319 3,253 14 오스트리아 0.34 0.38 15 벨기에 3,222 2,814 15 캐나다 0.34 0.38 16 덴마크 3,168 3,057 16 아이슬란드 0.33 0.35 17 아일랜드 2,469 2,817 17 뉴질랜드 0.32 0.31 18 폴란드 2,065 2,580 18 이탈리아 0.28 0.27 19 오스트리아 1,820 1,959 19 라트비아* 0.26 0.34 20 핀란드 1,408 1,586 20 스페인 0.25 0.24 21 뉴질랜드 781 764 21 리투아니아 0.24 0.30 22 포르투갈 669 529 22 폴란드 0.24 0.33 23 룩셈부르크 597 580 23 포르투갈 0.24 0.19 24 체코 572 810 24 슬로베니아 0.23 0.24 25 그리스 358 334 25 미국 0.22 0.24 26 리투아니아 193 213 26 한국 0.21 0.17 27 헝가리 191 268 27 에스토니아 0.20 0.28 28 슬로바키아 191 175 28 호주 0.19 0.19 29 슬로베니아 164 164 29 체코 0.17 0.24 30 라트비아* 112 141 30 그리스 0.14 0.14 31 아이슬란드 112 111 31 슬로바키아 0.14 0.14 32 에스토니아 83 110 32 헝가리 0.09 0.13 DAC 합계 212,086 223,455 DAC 평균 0.33 0.37 * ’25년 OECD DAC 신규 가입국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