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24. 12. 5.(목) 석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4년 12월 5일 06: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담당 부서: 시민건강국 감염병관리과 감염병관리과장 송은철 2133-7660 환경보건팀장 김수정 2133-7676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7쪽 관련 누리집 (신고센터) http://ecc.seoul.go.kr 해외직구 휴대폰케이스 발암물질인 프탈레이트류 기준치 최대 252배 초과- 시, 해외직구 온라인플랫폼 화장품, 위생용품, 가죽제품 등 284개 제품안전성검사- 휴대폰케이스 · 욕실화 4개 제품 프탈레이트류 기준치 최대 252배, 납 최대 3.1배초과- 화장품 2개 제품은 메탄올 국내 기준치 18배, 납 2배 초과 - 가죽제품(재킷·지갑·벨트·장갑) 8개에서 6가 크로뮴 국내 기준치 최대 6.1배초과- 식품용기(멜라민 그릇) 2개 제품 총용출량 국내 기준치 최대 4.5배초과- 시, 유해 물질 검출 제품 판매 중지 요청, 소비자 접근 차단…그간 검사결과공유□ 서울시가 해외직구 제품 284건을 검사한 결과, 휴대폰케이스·욕실화· 화장품 등 총 16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크게초과했다. 특히, 휴대폰케이스는 일상생활에서 떼어놓을 수 없을 정도로신체접촉 빈도가 매우 높은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생활용품인 휴대폰케이스 28개 제품과 욕실화 28개 제품을 수거하여안전성 검사 진행 결과 총 4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성분이국내기준치보다 크게 초과 검출되었고, ㅇ 화장품 35개 제품 중 2개에서 메탄올과 납 성분이, 의류 및 잡화81개제품 중 가죽제품 8개에서 6가 크로뮴이, 식품용기 66개 제품 중2개에서총용출량이 국내 기준치 보다 초과하였다. □ 서울시는 12월 첫째 주 해외직구 온라인플랫폼 판매 제품 284건에 - 2 - 대한 안전성 검사 결과, 총 16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납, 6가 크로뮴 등 중금속이 검출되는 등 국내 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 이번 검사는 지난 11월 2일부터 12월 2일까지 약 1개월간 검사한결과로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과 외부 전문기관 3개소(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TI 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에서 검사를 진행했다. ○ 검사 완료 제품은 총 284건으로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에서 판매중인위생용품 46건, 화장품 35건, 식품용기 66건, 의류 및 일상용품 137건이다. ○ 검사는 두 가지 방식으로 다수 제품 검사를 위해 일부 항목만 검사하는‘유해 항목 선별검사’와 국내 기준에 명시된 모든 항목을 검사하는‘전항목검사’로 구분해 진행하고 있는데, 화장품류 25건은 ‘유해 항목 선별검사’로, 그 외 위생용품 등 259건은 ‘전 항목 검사’로 진행했다. □ 검사 결과, 쉬인(SHEIN), 테무(TEMU)에서 판매한 휴대폰케이스3개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DEHP) 가소제 총함유량이 국내 기준치(0.1%이하)의 최대 252.3배를 초과한 25.23%가 검출되었고, 납(Pb) 함유량이국내 기준치(300㎎/㎏)의 최대 1.5배 초과한 440㎎/㎏이 검출되었다.○ 프탈레이트류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로 정자수 감소·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영향을 미치며 특히,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 발암가능물질(2B등급)로분류하고 있어 인체에 장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한다. ○ 무기납 및 그 화합물은 국제암연구소(IRAC)에서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되며, 오랫동안 미량으로 장기 노출되면 신경발달독성·고혈압 등의 전신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 화장품의 경우, 알리(Alliexpress)에서 구매한 눈썹 틴트 2개제품에서메탄올 국내 기준치(0.2% 이하)의 18배를 초과한 3.604%가 검출되었고, - 3 - 납(Pb) 국내 기준치 20㎎/㎏의 2배를 초과한 39.5㎎/㎏가 검출됐다. ○ 메탄올은 눈 및 호흡기에 심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간노출시중추신경계, 소화기계 및 시신경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 알리(Alliexpress), 테무(TEMU)에서 구매한 재킷, 지갑, 벨트, 장갑등가죽 8개 제품에서 6가 크로뮴이 국내 기준치(3.0㎎/㎏)의 최대 6.1배를초과한18.4㎎/㎏가 검출되었고, 욕실화 1개 제품은 프탈레이트계(DBP) 가소제총함유량이 국내 기준치(0.1% 이하)의 최대 142.8배를 초과한 14.28%가검출, 납(Pb) 함유량은 국내 기준치(300㎎/㎏)의 최대 3.1배를초과한917㎎/㎏이 검출되었다. ○ 6가 크로뮴은 세계 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 발암물질(Group 1)로 분류하는 물질로 흡입을 통한 노출 시 호흡기계의손상이주로 발생하며, 천식과 기타 호흡 기능의 저하, 부비동염, 인후염등질병이 증가할 수 있다. □ 식품용기 2개 제품에서는 총용출량(4% 초산) 국내 기준치 30mg/L의최대 4.5배를 초과한 134mg/L가 검출되었다. □ 이번 검사 결과 국내 기준을 초과하거나 맞지 않는 16개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사에 판매 중지를 요청해상품의접근을 차단할 예정이다. ○ 시는 안전성 검사 결과 국내 기준 초과 제품은 알리, 테무 등 해외플랫폼에 판매 중지 요청을 통해 소비자 접근이 차단되도록 조치하고있다. - 4 - □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http://seoul.go.kr / 분야별정보 > 경제>소상공인 지원 > 공정경제 사업 > 소비자권익보호)과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누리집(http://ecc.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해외 온라인플랫폼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나 불만 사항은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핫라인(02-2133-4896) 또는 120 다산콜로 전화하거나,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http://ecc.seoul.go.kr)으로 문의하면도움을받을 수 있다. □ 시는 금년 4월부터 현재까지 해외직구 생활용품 총 1,392건에대해안전성 검사를 진행하여 국내 안전성 기준 초과 제품 89건을 적발하였는데, 품목별로는 화장품류가 4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총 7회에걸쳐서울시 누리집 등에 검사 결과를 공개하였다. ㅇ 식품용기 465건 중 10개 제품, 위생용품 314건 중 9개 제품, 의류및생활용품 283건 중 29개 제품, 화장품 330건 중 41개 제품이국내안전성 기준을 초과하였다. ㅇ 안전성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에 게시되어 있어 언제든지 시민들이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올 한 해 해외직구 제품의 안전성검사와 검사 결과의 투명한 공개로 시민 안전 확보를 위해 최선의노력을하였으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제품이 유통되지않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말했다. - 5 - 참고자료 국내 기준 초과 제품 검사결과 No 사진 판매 사이트 시험 품목 시험 제품 시험 결과 비고1 알리 의류 가죽 자켓 ▸6가 크로뮴 1.1배 초과 - 기준치: 3.0 ㎎/㎏ 이하 2 알리 의류 잡화 가죽 지갑 ▸6가 크로뮴 1.6배 초과 - 기준치: 3.0 ㎎/㎏ 이하 3 테무 의류 잡화 가죽 벨트 ▸6가 크로뮴 6.1배 초과 - 기준치: 3.0㎎/㎏ 이하 4 알리 의류 잡화 가죽 벨트 ▸6가 크로뮴 1.4배 초과 - 기준치: 3.0㎎/㎏ 이하 5 알리 의류 잡화 가죽 벨트 ▸6가 크로뮴 4.7배 초과 - 기준치: 3.0㎎/㎏ 이하 - 6 - No 사진 판매 사이트 시험 품목 시험 제품 시험 결과 비고6 알리 의류 잡화 가죽 장갑 ▸폼알데하이드 기준치 1.4배 초과 - 기준치: 75mg/kg 이하 7 알리 의류 잡화 가죽 장갑 ▸6가 크로뮴 3.5배 초과 - 기준치: 3.0㎎/㎏ 이하 8 알리 의류 잡화 가죽 장갑 ▸6가 크로뮴 1.5배 초과 - 기준치: 3.0㎎/㎏ 이하 ▸아릴아민 2.3배 초과 - 기준치: 30mg/kg 이하 9 테무 생활 용품 핸드폰 케이스 ▸납 함유량 기준치 1.5배 초과 (개구리장식) - 기준치: 300㎎/㎏ 이하 ▸프탈레이트계가소제 총 함유량 (DEHP) 기준치 191.2배 초과 (개구리장식) - 기준치: 총 합 0.1% 이하 (DEHP+DBP+BBP) 10 쉬인 생활 용품 핸드폰 케이스 ▸납 함유량 기준치 1.2배 초과 (꽃장식) - 기준치: 300㎎/㎏ 이하 ▸프탈레이트계가소제 총 함유량 (DEHP) 기준치 202.1배 초과 (꽃장식) - 기준치: 총 합 0.1% 이하 (DEHP+DBP+BBP) - 7 - No 사진 판매 사이트 시험 품목 시험 제품 시험 결과 비고11 쉬인 생활 용품 핸드폰 케이스 ▸프탈레이트계가소제 총 함유량 (DEHP) 기준치 252.3배 초과 (커피장식) 기준치 233.4배 초과 (BABY장식) - 기준치: 총 합 0.1% 이하 (DEHP+DBP+BBP) 12 알리 생활 용품 욕실화 ▸납 함유량 기준치 3.1배 초과 - 기준치: 300㎎/㎏ 이하 ▸프탈레이트계가소제 총 함유량 (DBP) 기준치 142.8배 초과 - 기준치: 총 합 0.1% 이하 (DEHP+DBP+BBP) 13 알리 화장품 눈썹 틴트 ▸메탄올 기준치 18배 초과 - 기준치: 0.2% 이하 14 알리 화장품 눈썹 틴트 ▸납 기준치 2배 초과 - 기준치: 20㎎/㎏ 이하 15 알리 식품용 기구·용기 멜라민 그릇 ▸총용출량(4%초산) 기준치 1.6배 초과 - 기준치: 30mg/L 이하 16 알리 식품용 기구·용기 멜라민 그릇 ▸총용출량(4%초산) 기준치 4.5배 초과 - 기준치: 30mg/L 이하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그룹, 2025년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시행 (1) | 2024.12.05 |
---|---|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미국 카앤드라이버 ‘2025 베스트 10’ 선정 (1) | 2024.12.05 |
서울시, 제16차 도시계획위원회 개최결과 (2) | 2024.12.05 |
에스원, 2025 정기 임원인사 발표 (2) | 2024.12.04 |
삼성중공업 2025년 정기 임원인사...임종진 부사장 등 승진 (1) | 2024.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