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중소벤처기업부, ‘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571억달러(+4.4%)

by 플래닛디 2024. 7. 24.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1
2
3
4
5
6
7
8
9
10
11
12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전매체) 7.24.(수) 10:00 ‘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571억달러(+4.4%) - 3분기 연속 수출 플러스, 수출 중소기업 수 역대 상반기 최고(77,078개사) -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품목 1위 화장품 수출이 33억달러(+30.8%)로 역대 최대실적 기록, 미국은 중소기업 수출 1위국으로 자리매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2024년도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했다. 《 20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 【총괄】‘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은 571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하며 ’24년 수출호조세에 기여하였다. 중소기업 수출은 ’23년 4분기 (+1.6%)부터 플러스로 전환되어 ‘24년 2분기까지 증가를 기록하며 3분기 연속 수출플러스를 기록하였다. 수출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수는 77,078개 사로 전년동기대비 1.2% 증가(949개사↑)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 하였다. * 분기별 중소기업 수출액/증감율(억달러, %) : ’23.3Q 269(△3.0%) → ’23.4Q 281(+1.6%) → ’24.1Q 278(+3.6%) → ’24.2Q 293(+5.1%) 【품목】‘24년 상반기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8개 수출품목이 전년대 비 증가하며 증가세를 견인하였다. 중소기업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은 전 년대비 30.8% 증가하며 상반기 최고 수출액(33억달러)을 경신하였다. 기 존 주력시장이었던 미국, 중국과 더불어 신흥시장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한 것이 주요 증가요인으로 분석된다. 이외에도 반도체 시장 업황 개선에 따 라 5위 품목인 반도체제조용장비(19억달러 +14.7%)가 상반기 최고 수출 액을 경신하였으며, 대미 수출호조에 따라 전자응용기기(13억달러, +4.1%) 역시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달성하였다. - 2 - 【국가】’24년 상반기 중소기업 10대 수출국 중 7개 국가로의 수출이 전년대비 증가하였다. 그간 상반기 기준 수출국 1위였던 중국을 제치고 미국이 수출국 1위 시장으로 등극하였다. 미국은 화장품(61.5%), 기타기계류(170.1%), 전력용기기(59.3%)가 증가하면서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이외 신흥시장 중 멕시코, 태국은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멕시코는 인접국 이전(니어쇼어링)에 따른 북미 생산거점으로 부각되며 자동차부품(+4.4%), 금형(87.8%) 등 품목 수출이 두드러졌으며, 태국은 K푸드, K뷰티의 인기로 김을 비롯한 해조류(78.2%), 화장품(+14.0%)이 강세를 보였다. 《 2024년 2분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 【총괄】‘24년 2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93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5.1% 증가하였다. 4~5월 전년 동월대비 증가세가 이어졌으며, 6월은 소폭 감소세로 마감하였다. * 월별 수출액(억달러,%) : (’24.1월) 92.7(+18.4)→ (2월) 90.5(△1.1)→ (3월) 94.5(△3.8) → (4월) 100.2(+10.1) → (5월) 99.5(+6.7) → (6월) 93.7(△1.3) 【품목】’24년 2분기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7개 수출이 증가하였다.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31.4%)은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 호조와 함께 역대 2분기 최대실적을 기록하였으며, 일본, 베트남, 홍콩으로의 수출증가율도 두자릿 수 이상을 시현하였다. 5위 품목인 반도체제조용장비(26.8%) 는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주요 수출국인 중국, 네덜란드, 미국, 대만이 두자릿수 이상 증가하며 역대 2분기, 전체 분기 기준 최대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국가】‘24년 2분기 중소기업 10대 수출국 중 8개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하였다. 2분기 수출국 1위는 중국(△3.9%)으로서 화장품, 플라스틱제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액이 감소하면서 ’22년 2분기 이후 9분기 연속으로 감소하였다. 2위 국가인 미국으로의 수출은 역대 2분기 최고 수출을 기록하였으며 ’23년 3분기 이후 4분기 연속 증가하며 수출비중을 확대중이다. - 3 - 8위 국가인 멕시코는 자동차부품, 산업용 전기기기, 금형, 기타기계류 등 제조업의 중간재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역대 2분기 최고실적 기록하였으 며 ‘23년 1분기부터 6분기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전년 대비 올해 수출은 연초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 주력 수출품목 중 1위 품목인 화장품의 증가세가 매우 두드러진다”며 “정부도 중소기업의 주력 수출품목의 수출 확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총력 을 기울여 ’24년 총수출 7천억달러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담당 부서 중소기업정책실 글로벌성장정책과 책임자 과 장 김민규 (044-204-7500) 담당자 사무관 김태우 (044-204-7502) 전문관 성지연 (044-204-7514) - 4 - 참고 1 ‘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동향 세부분석  수출액 및 수출기업 분포 (1) 수출액 : ‘24년 상반기 수출액은 571억달러(+4.4%) □ (총괄) 中企 주력품목의 증가세 확대로 ’23년 4분기 이후 수출개선흐름을 유지하며 전년동기대비 수출 플러스 기록 * 역대 상반기 中企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22) 591(+6.2)1위, (‘24) 571(+4.4)2위 【 상반기 수출액 (억달러) 】 【 상반기 수출 증감률(전년동기대비, %) 】 ◦ (규모별) 총수출(+9.0%) 대비 중소기업(+4.4%)은 완만한 증가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전년동기대비 17.8%에서 17.1%로감소◦ (분기별) ‘24.2분기 中企 수출액은 전년동기대비 5.1% 증가한 293억달러→ ‘24년 2분기 수출(293억달러)은 ’24년 1분기(277억달러, +3.6%)보다 소폭증가◦ (월별) ‘24.1월 큰 증가폭(+18.4%) 보인 뒤, 2~3월 소폭 감소하였으나 4~5월 증가, 6월 감소로 마감 * 월 수출액 증감률(%) : (‘24.1월)+18.4→(2월)△1.1 →(3월)△3.8 →(4월)+10.1 →(5월)+6.7 →(6월)△1.3 * 월 수출액 증가분(억$) : (‘24.1월)+14.4→(2월)△1.0 →(3월)△3.7 →(4월)+9.2 →(5월)+6.3 →(6월)△1.2 【 월별 수출입액 (억달러, 전년동기대비 %) 】 구 분 ‘23.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4.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24.상총수출 463 500 549 494 521 543 505 520 547 550 556 576 548 522 566 562 580 571 3,348 (증감률)△16.4△7.7△14.0△14.5△15.5△5.9△16.2△8.1△4.4 4.9 7.3 5.0 18.2 4.4 3.1 13.6 11.5 5.1 9.0 중소 78 91 98 91 93 95 88 89 92 89 97 95 93 90 94 100 100 94 571 (증감률)△18.9 1.8 △10.8△7.8△7.5 0.2 △7.4△1.4△0.0 0.7 8.1 △3.6 18.4△1.1△3.810.1 6.7 △1.3 4.4 총수입 590 554 596 519 543 531 487 510 510 534 520 531 544 481 523 547 532 491 3,117 수지 -127 -54 -48 -25 -22 12 17 10 37 15 36 45 4 41 43 15 49 80 231 - 5 - (2) 수출기업 : 상반기 누계 수출 중소기업은 전년동기대비 1.2% 증가 □ (전체기업수) 77,078개사로 전년동기대비 +1.2% 증가(949개사↑)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치 기록 * 연도별 상반기 수출 중소기업(개사) : (‘21) 75,386 → (‘22) 73,777 → (‘23) 76,129 → (‘24) 77,0781위 ◦ (신규·중단) 내수기업 중 수출에 나선 신규기업의 소폭 감소(△1.3%) 및 중단기업 증가(+6.1%)에도 불구하고, 수출 지속기업의 견조한 성장(+2.2%)이 이어지며 전체 수출기업수 증가세(+1.2%) 유지 【 수출 신규·중단·지속 기업 현황 및 증감률 (개사, %) 】 연도 수출기업 신규 수출기업 수출 중단기업 수출 지속기업 2021.上 75,386 (△0.9) 20,782 (△4.7) 21,504 (△0.9) 54,604 (0.6) 2022.上 73,777 (△2.1) 18,471 (△11.1) 20,080 (△6.6) 55,306 (1.3) 2023.上 76,129 (3.2) 20,916 (13.2) 18,564 (△7.5) 55,213 (△0.2) 2024.上 77,078 (1.2) 20,653 (△1.3) 19,704 (6.1) 56,425 (2.2) ◦ (구간별) 5백만~1천만달러 미만 제외한 모든 구간 수출기업 수 증가 【 수출규모별 기업 수 (개사, %) 】 수출규모 ‘23.상반기 ‘24.상반기 비중 증감률 100만달러 미만 66,877 67,801 88.0 +1.3 100~500만달러 7,089 7,115 9.2 +0.4 500~1,000만달러 1,253 1,228 1.6 △2.0 1,000만달러 이상 910 934 1.2 +2.6 1,000~5,000만달러 미만 855 861 1.1 +0.7 5,000만달러 이상 55 73 0.1 +32.7 합 계 76,129 77,078 100.0 +1.2 - 6 -  중소기업 수출의 특징 분석 (1) 주요수출품목 : 화장품,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10대 수출품목 중 8개증가, 자동차·기계요소 2개 품목 감소 □ (10대 수출품목) 화장품역대上1위반도체제조용장비역대上1위·전자응용기기수출이 큰 폭으로 상승하여 전체 수출 증가를 주도 【 ‘24년 상반기 中企 수출 10대 품목 (억달러, %) 】 구 분 수출액 역대 상반기 비중 증감률 순위 1 화장품 33.1 5.8 +30.8 1위 2 플라스틱 제품 25.9 4.5 +8.0 3위 3 자동차 22.5 3.9 △10.6 2위 4 자동차부품 21.8 3.8 +1.7 9위 5 반도체제조용장비 19.0 3.3 +14.7 1위 6 합성수지 17.1 3.0 +6.4 9위 7 기타기계류 15.7 2.8 +19.7 2위 8 반도체 13.6 2.4 +5.7 9위 9 전자응용기기 13.1 2.3 +4.1 1위 10 기계요소 11.6 2.0 △2.4 4위 상위 10대 193.4 33.8 +8.1 - 전체 571.1 100.0 +4.4 ※ : ’24년 상반기 전년동기대비 수출증가 품목 (2) 수출국가 : 중국, 일본, 러시아을 제외한 7개국 수출액 모두증가【 ‘24년 상반기 中企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 (억달러, %) 】 구분 미국 중국 베트남 일본 홍콩 인도 러시아 멕시코 대만 태국수출액 94.6 90.3 54.8 47.7 20.0 16.5 14.7 14.0 13.8 12.9 수출증감률 +20.6 △3.6 +8.4 △6.1 +50.0 +8.3 △17.8 +5.5 +7.6 +4.4 수출증감액 16.1 -3.4 4.2 -3.1 6.7 1.3 -3.2 0.7 1.0 0.5 □ (증가국) 미국(+20.6%)은 상반기 기준 최초로 1위 수출국으로부상, 홍콩(+50.0%)은 패션잡화(+1,572.5%) 수출 증가로 주요 수출국 중가장높은 증가율 기록 □ (감소국) 중국(△3.6%)은 화장품(△3.7%)·기타기계류(△36.2%)의감소로하락하며 수출비중 축소 - 7 - (3) 온라인수출 : 상반기 수출은 4.5억달러(+23.0%)로 최초 4억달러선 돌파 * 온라인수출 : 관세청 정식통관자료 중 수출신고서상 전자상거래에 해당하는 건을 기준으로 분석 □ (총괄) 온라인 수출액(+23.0%)은 크게 증가, ’23년 총 수출규모의 59% 달성, 반면 수출 기업수는 8.8% 감소 * 온라인수출액, 증가율(억달러, %): ‘22년 6.8(+3.6) → ’23년 7.6(+11.5) → ’24.上 4.5(+23.0) 온라인수출 기업수, 증가율(개사, %): ’22년 3,804(+21.1)→‘23년 4,109(+8.0) →’24.上 2,798(△8.8) ◦ ‘24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액 4.5억달러는 전체 중소기업 수출의 0.8% 수준,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 → 특히, 온라인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0%를 차지하며,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 분야를 선도 < 온라인수출 주요 특징 > ◦ (품목) 화장품은 중국(△48%)·일본(△16.1%)의 감소에도 미국(+236%)· 스페인(+4,606%)수출이 증가하여 역대 최대 수출 실적 달성 - 의류(+18.0%)는 중국(△80.0%) 수출감소가 두드러졌으나, K-콘텐츠 영향으로 일본(+50.0%)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 ◦ (국가) 미국(+80.9%)은 화장품(+236%)·컴퓨터(+76%)등 수출강세에 힘입어 ‘24.상반기 전체 수출의 48% 차지하는 등 성장세를 견인 - 반면, 중국(△57.7%)은 아이돌굿즈 품목(음향기기(△99%)·기타인쇄물(△ 99%))의 감소로 ’24년 상반기 실적이 ’23년 전체 28% 수준에 그침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품목 (백만 달러, %) 】【 온라인 수출 상위 5대 국가 (백만 달러, %) 】 구분 ‘23.上 ‘24.上 증감률 1 화장품 135.6 229.5 +69.2 2 의류 38.4 45.3 +18.0 3 컴퓨터 22.2 41.9 +88.8 4 문구및완구 27.7 28.6 +3.3 5 신변잡화 7.9 12.0 +52.1 주요품목 소계 231.7 357.3 +54.2 온라인수출액 365.7 449.7 +23.0 구분 ‘23.上 ‘24.上 증감률 1 미국 119.8 216.7 +80.9 2 일본 84.7 82.3 △2.8 3 중국 80.5 34.0 △57.7 4 영국 4.9 9.4 +90.7 5 싱가포르 7.4 8.7 +17.8 주요국가 소계 297.3 351.1 +18.1 온라인수출액 365.7 449.7 +23.0 - 8 - 참고 2 ‘24년 상반기 10대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① (화장품 : 33.1억달러, +30.8%) 글로벌 K뷰티 수요 급증으로17개월연속 상승세와 함께 꾸준히 17개월 연속증가하는 미국이 최대수출국으로 부상하면서 역대 상반기 최대 실적 기록 ※ 화장품 역대 상반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4.上) 33.1, 2위 (’23.上) 25.3, 3위 (‘21.上) 25.2 ◦ 대기업 수출은 감소(△23.0%)한 가운데, 중소기업은 큰 폭으로증가(+30.8%)하면서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이 전년동기대비 6.8%p 상승 * ’24.上 기업규모별 화장품 수출증감률(%) : (총수출) +17.9 / (대)△23.0 (중견)+16.3 (중소) +30.8 * 화장품 총수출 내 중소기업 비중(%) : (’23.上) 61.9 → (24.上) 68.7 (6.8%p ↑) * 상반기 화장품 수출액(억달러) : ('23.上) 25.3 → 1위 ('24.上) 33.1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6.4(+61.5), 중국 5.6(△3.7), 일본 3.5(+20.8), 베트남 2.3(+33.5), 홍콩 2.0(+40.5), 러시아 1.6(△14.1) ② (플라스틱제품 : 25.9억달러, +8.0%) 세부품목 중 최대 비중(58.9%)인스마트폰 필름류(미국·베트남, 폴더블폰 수요↑)의 수출확대가지속, 분리막(이차전지 핵심소재)도 견조한 증가세 유지 * 상반기 플라스틱제품 수출액(억달러) : ('23.上) 24.0 → ('24.上) 25.9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5.0(+19.2), 중국 4.5(+0.5), 베트남 3.7(+15.1), 헝가리 1.4(+22.0), 일본 1.4(△5.7), 멕시코 0.7(+7.3) ③ (자동차 : 22.5억 달러 △10.6%) ‘24.2월 말부터 강화된 對러시아· 벨라루스 상황허가 대상품목 확대로 러시아(△42.9%)‧카자흐스탄(△33.6%) 수출이 전년대비 감소로 전환 ◦ 키르기스스탄(+40.6%)은 32개월 연속수출 증가로 총 수출실적은역대상반기 2위 기록 ※ 자동차 역대 상반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3.上) 25.2, 2위 (’24.上) 22.5, 3위 (‘12.上) 13.5 * 상반기 자동차 수출액(억달러) : ('23.上) 25.2 → 2위 ('24.上) 22.5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키르기스스탄 6.0(+40.6), 러시아 2.9(△42.9), 카자흐스탄1.6(△33.6), 이집트 1.4(+36.1), 아랍에미리트 1.1(+34.8) - 9 - ④ (자동차부품 : 21.8억 달러, +1.7%) 북미중심으로 완성차 판매·생산 실적 호조로 미국(+7.6%)·멕시코(+4.4%)등 국가로 수출 증가했으나, 일본(△9.3%,수출경합·엔저효과)·러시아(△15.0%) 등 감소로 증가폭 축소 * 상반기 자동차부품 수출액(억달러) : ('23.上) 21.4 → ('24.上) 21.8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6.1(+7.6), 멕시코 2.0(+4.4), 일본 1.6(△9.3), 중국 1.1(+7.4), 베트남 1.1(+1.3), 러시아 0.9(△15.0) ⑤ (반도체제조용장비 : 19.0억 달러, +14.7%) 글로벌 반도체 시장 회복에 따른 주요국 수출 호조로 중국(+32.4%)·네덜란드(+49.3%)· 미국(+32.4%)의 두 자릿수 증가에 따라 역대 상반기 최대실적 기록 * 상반기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액(억달러) : ('23.上) 16.6 → 1위('24.上) 19.0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8.8(+32.4), 네덜란드 2.6(+49.3), 미국 2.3(+32.4), 대만 2.0(+8.1), 일본 1.3(+15.8), 싱가포르 0.7(△15.1) ⑥ (합성수지 : 17.1억달러, +6.4%) 글로벌 공급과잉에도 불구하고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가격과 최대 시장인 중국(+3.6%)·미국(+52.9%)· 베트남(+24.2%) 등 수출국의 수요 회복으로 증가 * 상반기 합성수지 수출액(억달러) : ('23.上) 16.0 → ('24.上) 17.1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3.9(+3.6), 베트남 3.2(+24.2), 미국 1.5(+52.9), 튀르키예 0.8(+0.9), 인도 0.7(△17.9), 인니 0.7(+31.0) ⑦ (기타기계류 : 15.7억달러, +19.7%) 최대 수출국인 미국(+170.1%, EV 기업투자확대 이차전지 관련 장비↑) 13개월 연속수출이 급증하였고, 프랑스· 스웨덴(이차전지 관련장비↑), 멕시코·인도(자동차부품↑) 등 전체적 으로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역대 상반기 수출액 2위 달성 * 상반기 기타기계류 수출액(억달러) : ('23.上) 13.1 → 2위('24.上) 15.7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5.1(+170.1), 중국 2.3(△36.2), 베트남 1.3(△21.8), 멕시코 0.7(+50.7), 인도 0.7(+66.2), 일본 0.7(△5.1) - 10 - ⑧ (반도체 : 13.6억 달러, +5.7%) 글로벌 IT업황 회복세에 따른수요증가, 메모리 단가 회복 및 고부가가제품 수출 확대로 주요국인홍콩(+6.1%)·중국(+8.4%)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4개월 연속상승◦ 베트남(+36.2%)수출국1위은 국내 반도체 생산업체의 중간재 수출기지로부상(시스템 +18.7%↑, 메모리 +224.3%↑)하며 상반기 최대 수출국등극* 상반기 반도체 수출액(억달러) : ('23.上) 12.9 → ('24.上) 13.6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베트남 3.3(+36.2), 홍콩 2.9(+6.1), 중국 2.8(+8.4), 태국 1.1(△4.1), 대만 0.6(+3.5), 싱가포르 0.5(△29.9) ⑨ (전자응용기기 : 13.1억 달러, +4.1%) 최대 수출국인 미국(이차전지생산· 검사 장비, ATM기↑) 호조세에 힘입어 역대 상반기 최대실적기록 ※ 역대 전자응용기기 상반기 수출액(억달러) : 1위 (’24.上) 13.1, 2위 (‘23.上) 12.6 3위 (‘22.上) 12.2 * 상반기 전자응용기기 수출액(억달러) : ('23.上) 12.6 → 1위('24.上) 13.1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3.1(+23.9), 중국 1.2(△5.3), 일본 1.1(△3.3), 베트남 0.5(+15.1), 러시아 0.5(△8.8), 인도 0.4(+17.7) ⑩ (기계요소 : 11.6억 달러, △2.4%) 주요 수출국인 중국·미국(산업용밸브↑)이 소폭 증가하였음에도 일본(발전터빈, 자동차부품↓), 러시아(△56.1%, 금속 단조제품↓) 등이 크게 줄면서 감소 * 상반기 기계요소 수출액(억달러) : ('23.上) 11.9 → ('24.上) 11.6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2.4(+3.9), 미국 2.3(+1.9), 일본 1.2(△14.0), 베트남 0.6(+1.8), 인도 0.5(+9.2), 멕시코 0.4(△4.1) - 11 - 구 분 2024년 1월 증감률 2월 증감률 3월 증감률 4월 증감률 5월 증감률 6월 증감률상반기증감률 비중 1 화장품 510 +67.3 491 +15.1 550 +19.1 603 +38.9 592 +34.4 569 +21.7 3,314 +30.8 5.8 2 플라스틱 제품 421 +22.9 406 +7.3 425 +3.4 460 +14.7 457 +8.4 418 △5.4 2,587 +8.0 4.5 3 자동차 313 △2.6 383 +3.1 340 △24.0 392 △9.9 420 △9.0 405 △16.1 2,254 △10.6 3.9 4 자동차부품 365 +13.2 346 △3.5 355 △5.3 375 +7.2 369 +1.7 369 △1.5 2,178 +1.7 3.8 5 반도체제조용장비 272 +21.8 255 △14.7 296 +3.7 325 +26.2 364 +33.2 392 +21.9 1,904 +14.7 3.3 6 합성수지 276 +13.4 279 △3.1 280 △7.7 298 +16.1 302 +13.5 274 +10.5 1,708 +6.4 3.0 7 기타기계류 325 +170.0 235 +4.9 200 △29.0 288 +20.8 286 +13.3 239 +21.3 1,573 +19.7 2.8 8 반도체 221 +11.2 214 △5.7 239 +2.4 236 +10.7 232 +15.7 221 +1.8 1,363 +5.7 2.4 9 전자응용기기 193 +16.1 216 +6.1 240 +10.8 213 △0.3 217 +1.3 234 △5.0 1,313 +4.1 2.3 10 기계요소 200 +15.4 192 △1.7 189 △12.5 193 +1.0 200 △2.5 187 △10.2 1,161 △2.4 2.0 10대 소계 3,094 +28.1 3,017 +1.5 3,114 △3.7 3,383 +13.1 3,438 +11.0 3,308 +3.2 19,354 +8.1 33.9 전체 합계 9,270 +18.4 9,049 △1.1 9,449 △3.810,019+10.1 9,952 +6.7 9,375 △1.357,114 +4.4 100.0 【 2024년 상반기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 - 12 - 참고 3 ‘24년 상반기 10대 국가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① (미국: 94.6억달러, +20.6%) 1위 품목 화장품(+61.5%)을 포함한상위20대 품목 모두 증가세가 확대됨에 따라 역대 당월·상반기최고실적 기록, 상반기 기준 최초로 1위 수출국 부상 ※ 역대 상반기 기록(억달러) : (‘24.上) 94.61위 → (‘22.上) 85.42위 → (‘23.上) 78.43위 ※ 역대 6월 기록(억달러) : (‘24.06) 15.11위 → (‘23.06) 14.02위 → (‘22.06) 13.63위 * 상반기 수출국 비중(%) : (‘23.上) 14.3 → (‘24.上) 16.6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화장품 6.4(+61.5), 자동차부품 6.1(+7.6), 기타기계류 5.1(+170.1), 플라스틱제품 5.0(+19.2), 전력용기기 4.8(+59.3), 전자응용기기 3.1(+23.9) ② (중국: 90.3억달러, △3.6%) 중국의 제조업 경기회복 부진에따라기타기계류( 36.2%), 계측제어분석기( 30.1%)등의 감소가하락세를 주도하며 상반기 기준 처음으로 수출국 1위에서 2위로하락* 상반기 수출국 비중(%) : (‘23.上) 17.1 → (‘24.上) 15.8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제조용장비 8.8(+32.4), 화장품 5.6(△3.7), 플라스틱제품 4.5(+0.5), 합성수지 3.9(+3.6), 기타기계류 2.3(△36.2), 계측제어분석기 2.1(△30.1) ③ (베트남: 54.8억달러, +8.4%) 스마트폰을 포함한 IT 제품 수요증가로플라스틱제품(+15.1%)·반도체(+36.2%)등 주요품목의 두 자릿수증가 * 상반기 對베트남 수출액(억달러) : ('23.上) 50.6 → ('24.上) 54.8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플라스틱제품 3.7(+15.1), 반도체 3.3(+36.2), 합성수지 3.2(+24.2), 기구부품 2.4(+17.3), 화장품 2.3(+33.5), 무선통신기기 1.9(+27.5) ④ (일본: 47.7억달러, △6.1%) 주요 수출품목인 석유제품(+9.5%,경기회복기대·엔저효과에 따른 여행객수요↑), 화장품(+20.8%) 수출 증가에도불구하고 일본 내 경기침체 장기화로 인한 건설업 투자둔화에 따라주단조품, 건설광산기계 수출부진으로 ’22년 상반기 이후 감소세지속* 상반기 對일본 수출액(억달러) : ('23.上) 50.8 → ('24.上) 47.7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석유제품 4.3(+9.5), 화장품 3.5(+20.8), 자동차부품 1.6(△9.3), 플라스틱제품 1.4(△5.7), 주단조품 1.1(△22.0), 건설광산기계 0.9(△20.8) - 13 - ⑤ (홍콩: 20.0억달러, +50.0%) 최대 수출 품목인 패션잡화(+1,572.5%, ‘23.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가 對홍콩 수출 증가 주도하면서 주요 수출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 ※ 월별 패션잡화 수출액 증가율(%) : (’24.1월) +1,323.4 → (2월) +659.0 → (3월) +1,528.3 → (4월) +4,086.2 → (5월) +1,423.3 → (6월) +777.8 * 상반기 對홍콩 수출액(억달러) : ('23.上) 13.3 → ('24.上) 20.0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패션잡화 5.4(+1,572.5), 반도체 2.9(+6.1), 화장품 2.0(+40.5), 금은및백금 1.6(+113.5) 컴퓨터 0.8(+25.3), 무선통신기기 0.6(+22.5) ⑥ (인도: 16.5달러, +8.3%) 인도 정부의 제조업·인프라 확대정책으로 기타기계류, 계측제어분석기, 철강판 등 주요 품목 수출 강세, 인도 내 전자제품 시장 확대 영향으로 반도체 수출증가 * 상반기 對인도 수출액(억달러, %) : ('23.上) 15.3 → ('24.上) 16.5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합금철선철및고철 0.7(△22.7), 합성수지 0.7(△17.9), 기타기계류 0.7(+66.2), 계측제어분석기 0.6(+32.5), 자동차부품 0.6(△0.1), 철강판 0.5(+21.2), 반도체 0.5(+85.0) ⑦ (러시아: 14.7억달러, △17.8%) ’24.2월말 對러 수출 통제품목 확대 (이차전지·건설장비 추가)로 운반하역기기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24.1Q +340.4%→2Q △99.7%),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 자동차부품도 ’23년 3분기부터 4분기 연속 감소하며 두 자릿수 수출감소율 기록 ※ 월별 자동차 수출액 증감률(%) : (’24.1월) △39.5 → (2월) △16.1 → (3월) △59.5 → (4월) △62.1 → (5월) △36.2 → (6월) △33.7 * 상반기 對러시아 수출액(억달러) : ('23.上) 17.9 → ('24.上) 14.7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 2.9(△42.9), 화장품 1.6(△14.1), 운반하역기계 1.3(+18.7), 자동차부품 0.9(△15.0), 해조류 0.4(+107.4) ⑧ (멕시코: 14.0억달러, +5.5%) 글로벌 완성차 생산기지로 부상하면 서 자동차부품, 산업용 전기기기 등 관련 품목이 상반기 수출 증가를 주도하며 역대 분기 2위·역대 상반기 최고실적 기록 ※ 역대 상반기 기록(억달러) : (‘24.上) 14.01위 → (‘23.上) 13.22위 → (‘22.上) 13.03위 * 상반기 對멕시코 수출액(억달러, %) : ('23.上) 13.2 → ('24.上) 14.0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부품 2.0(+4.4), 산업용 전기기기 1.4(+15.6), 철강판 1.1(△22.3), 금형 0.9(+87.8) - 14 - ⑨ (대만: 13.8억달러, +7.6%) 반도체제조용장비, 반도체 등 상위10대품목 모두 증가세를 보이며 당월 역대·역대 상반기 4위 실적기록* 상반기 對대만 수출액(억달러) : ('23.上) 12.8 → ('24.上) 13.8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제조장비 2.0(+8.1), 화장품 0.7(+26.2), 반도체 0.6(+3.5), 합금철선철및고철 0.5(+114.4), 레일및철구조물 0.4(+161.3), 해조류 0.2(+108.5) ⑩ (태국: 12.9억달러, +4.4%)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철강판수출감소, K푸드, K뷰티 영향으로 해조류, 화장품 수출이 증가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 실적 기록 ※ 역대 상반기 기록(억달러) : (‘24.上) 12.91위 → (‘22.上) 12.52위 → (‘21.上) 12.43위 * 상반기 對태국 수출액(억달러) : ('23.上) 12.3 → ('24.上) 12.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 1.1(△4.1), 철강판 1.0(△1.4), 화장품 0.8(+14.0), 해조류 0.7(+78.2), 합성수지 0.4(△0.2), 전자응용기기 0.4(+65.7) 【 2024년 상반기 국가별 중소기업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 구 분 2024년 1월 증감률 2월 증감률 3월 증감률 4월 증감률 5월 증감률 6월 증감률상반기↓증감률 비중1 미국 1,515 +26.1 1,584 +24.6 1,612 +22.7 1,720 +28.5 1,517 +14.9 1,509 +7.9 9,457 +20.6 16.6 2 중국 1,477 +32.8 1,301 △16.1 1,474 △14.8 1,564 △2.3 1,699 △2.4 1,516 △7.1 9,032 △3.6 15.8 3 베트남 843 +24.4 834 △1.6 878 △6.7 968 +19.0 1,034 +17.9 926 +2.6 5,483 +8.4 9.6 4 일본 840 +3.2 785 △7.9 794 △15.7 764 +1.6 819 △4.2 768 △11.4 4,769 △6.1 8.3 5 홍콩 261 +56.1 240 +9.3 366 +49.2 480 +104.1 347 +40.1 307 +40.2 2,001 +50.0 3.5 6 인도 269 +18.4 246 △6.4 269 +0.5 284 +18.6 315 +17.9 271 +3.4 1,654 +8.3 2.9 7 러시아 261 +1.3 459 +63.8 169 △51.5 179 △58.5 181 △17.2 225 △12.6 1,474 △17.8 2.6 8 멕시코 232 +21.9 221 +2.2 247 +1.5 234 +9.7 232 +2.4 232 △1.2 1,397 +5.5 2.4 9 대만 207 +9.6 208 △8.6 235 +6.8 244 +17.3 239 +1.6 248 +21.5 1,381 +7.6 2.4 10 태국 212 +6.5 206 △4.9 210 △2.4 233 +16.9 225 +18.3 199 △5.4 1,285 +4.4 2.2 10대 소계 6,115 +21.5 6,085 +2.3 6,253 △3.3 6,670 +10.6 6,608 +6.9 6,201 +0.2 37,932 +5.8 66.4 전체 합계 9,270 +18.4 9,049 △1.1 9,449 △3.8 10,019 +10.1 9,952 +6.7 9,375 △1.3 57,114 +4.4 100.0 - 15 - 참고 4 ‘24년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  수출액 및 수출기업 분포 (1) 수출액 : ‘24년 2분기 수출액은 293억달러(+5.1%) □ (총괄) 주력품목인 화장품을 중심으로 수출호조세가 지속되어 역대 2분기 기준 2위 기록 * 역대 2분기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1위(‘22.2Q) 294(+1.6), 2위(‘24.2Q) 293(+5.1) 【 2분기 수출액 (억달러) 】 【 2분기 수출액 증감률(전년동기대비, %)】 ◦ (월별) 4~5월 증가세가 이어지다 6월 소폭 감소세(△1.3%)로 마감 * 월별 수출액(억달러,%) : (’24.1월) 92.7(+18.4)→ (2월) 90.5(△1.1)→ (3월) 94.5(△3.8) → 1위(4월) 100.2(+10.1) → 2위(5월) 99.5(+6.7) → 4위(6월) 93.7(△1.3) ◦ (규모별) 대기업(+14.5%)과 비교시 약세지만 중견기업(△0.7%) 대비 선전 * 2분기 기업규모별 수출증감률(%) : 대기업 +14.5%, 중견기업 △0.7%, 중소기업 +5.1% →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전년동기대비 17.9%에서 17.1%로 감소 【 2분기 기업규모별 수출액 및 수출기업 수 (억$, 개사, 전년동기대비,%) 】 구분 수출액 수출기업 수 ‘23.2Q ‘24.1Q ‘24.2Q(동분비) ‘23.2Q ‘24.1Q ‘24.2Q(동분비) 합계 1,558 1,635 1,713(+9.9%) 67,009 65,529 67,532(+0.8%) 대기업 988 1,077 1,131(+14.5%) 977 987 985(+0.8%) 중견기업 287 276 285(+0.7%) 2,178 2136 2,119(+2.7%) 중소기업 268 278 278(+5.1%) 63,645 62,182 64,208(+0.9%) * 총 수출액은 기타(개인, 비영리법인 등) 수출액 포함, 기업 수는 기타 제외 - 16 -  중소기업 수출의 품목별·국가별 특징 (1) 주요수출품목 : 화장품‧반도체제조용장비 증가, 자동차‧기계요소감소□ (10대 수출품목) 자동차, 기계요소 품목은 감소하였으나, 화장품· 반도체제조용장비는 역대 2분기 수출액 1위 달성 【 2분기 중소기업 수출 상위 10대 품목 (억달러, %) 】 구 분 수출액 역대 2분기 순위비중 증감률 1 화장품 17.6 6.0 +31.4 1위 2 플라스틱 제품 13.4 4.5 +5.6 2위 3 자동차 12.2 4.1 △11.8 2위 4 자동차부품 11.1 3.8 +2.4 8위 5 반도체제조용장비 10.8 3.7 +26.8 1위 6 합성수지 8.7 3.0 +13.4 9위 7 기타기계류 8.1 2.8 +18.2 3위 8 반도체 6.9 2.3 +9.2 8위 9 전자응용기기 6.7 2.3 △1.5 2위 10 기계요소 5.8 2.0 △4.1 4위 상위 10대 101.3 34.5 +9.0 - 전체 293.5 100.0 +5.1 ※ : ’24년 2분기 전년동기대비 수출증가 품목 (2) 수출국가 : 중국, 일본을 제외한 8개국 수출액 모두 증가 【 ‘24년 2분기 中企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 (억달러, %) 】 구분 중국 미국 베트남 일본 홍콩 인도 대만 멕시코 태국 인니수출액 47.8 47.5 29.3 23.5 11.3 8.7 7.3 7.0 6.6 6.5 수출증감률 △3.9 +17.0 +12.9 △5.0 +61.6 +13.2 +12.9 +3.5 +9.5 +7.8 수출증감액 △2.0 6.9 3.3 △1.2 4.3 1.0 0.8 0.2 0.6 0.5 □ (증가국가) 미국(+17.0%)은 상위 15개 품목 수출 호조세로 역대2분기 수출액 1위 달성, 태국(+9.7%)은 K뷰티‧K푸드 인기로 화장품· 해조류(+72.8%, 김 스낵 수요↑) 수출 증가로 역대 2분기 수출액 1위기록□ (감소국가) 중국(△3.6%)은 ‘22년 2분기 이후 지속 하락하여수출비중이 축소, 일본(△1.2%)도 ’22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감소, 5위→11위 러시아(△35.6%)는 10위권 밖으로 하락 - 17 - 참고 5 ‘24년 2분기 10대 품목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 ① (화장품 : 17.6억달러, +31.4%)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 호조 와 함께 전체 분기·역대 2분기 최대실적 기록, 일본·베트남·홍콩도 두 자릿수 증가, 반면 전년 동기 최대 수출국 중국 수출은 소폭 감소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4.2Q) 17.61위 → (‘18.2Q) 13.52위 → (‘23.2Q) 13.43위 ※ 역대 분기 기록(억달러) : (’24.2Q) 17.61위 → (‘24.1Q) 15.52위 → (‘23..4Q) 14.43위 * 화장품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13.4(+14.7) → (24.2Q) 17.6(+31.4)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3.6(+62.3), 중국 2.8(△9.5), 일본 1.8(+23.2), 베트남 1.1(+32.3), 홍콩 1.1(+39.6), 러시아 0.9(△7.6) ② (플라스틱제품 : 13.3억달러, +5.6%) 스마트폰 필름류(+6.9%, 미국·베트남 수출 호조)가 큰 폭으로 증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수요 일시 정체에도 분리막 수출은 헝가리·미국 중심으로 증가, 對중국 수출은 하락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1.2Q) 13.61위→ (‘24.2Q) 13.32위 → (‘22.2Q) 13.33위 * 플라스틱제품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12.6(△5.2) → (24.2Q) 13.3(+5.6)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2.6(+15.3), 중국 2.3(△3.8), 베트남 2.0(+13.6), 일본 0.7(△3.6), 헝가리 0.7(+22.4), 멕시코 0.4(△1.0) ③ (자동차 : 12.2억달러, △11.8%) 키르기스스탄(+35.0%, 저관세효과) 수 출은 상승한 반면 對러시아 제재강화로 러시아12개월 연속·카자흐스탄 등 주요 수출국의 감소세가 이어지며, 전년동기 1위→3위로 하락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3.2Q) 13.81위→ (‘24.2Q) 12.22위 → (‘12.2Q) 7.63위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13.8(+153.5) → (’24.2Q) 12.2(△11.8)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키르기스스탄 3.6(+35.0), 러시아 1.3(△46.7), 카자흐스탄 1.0(△14.7), 이집트 0.6(△2.2), 아랍에미리트 0.5(+27.4), 리비아 0.5(△25.4) ④ (자동차부품 : 11.1억달러, +2.4%) 완성차 생산 거점인 미국(국내 완성차 기업 납품), 멕시코(북미 자동차 생산 거점화) 수출 호조, 일본·러시아 등은 감소하며 총수출은 보합 * 자동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10.9(+5.3) → (’24.2Q) 11.1(+2.4)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3.1(+7.2), 멕시코 1.0(+1.3), 일본 0.8(△8.0), 중국 0.6(+10.1), 베트남 0.6(+6.2), 러시아 0.4(△16.8) - 18 - ⑤ (반도체제조용장비 : 10.8억달러, +26.8%)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주요 수출국인 중국, 네덜란드, 미국, 대만 등이 모두 두자릿수증가하며 역대 2분기·전체 분기 최대실적 기록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4.2Q) 10.81위 → (‘22.2Q) 10.22위 → (‘21.2Q) 9.03위 ※ 역대 분기 기록(억달러) : (’24.2Q) 10.81위 → (‘22.3Q) 10.42위 → (‘22.3Q) 10.23위 *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8.5(△16.5) → (’24.2Q) 3.9(+21.9)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5.3(+45.1), 네덜란드 1.5(+82.0), 미국 1.3(+44.4), 대만 1.1(+23.3), 일본 0.6(+8.2), 싱가포르 0.4(△25.9) ⑥ (합성수지 : 8.7억달러, +13.4%) 석유화학 산업 회복에 따라최대시장인 중국·베트남 수출 3개월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는가운데미국·인도네시아도 수출 호조세로 분기 수출 증가 기록 * 합성수지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7.7(△28.0) → (’24.2Q) 8.7(+13.4)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중국 2.0(+8.4), 베트남 1.7(+39.8), 미국 0.8(+59.1), 인니 0.4(+70.0), 인도 0.4(△12.1), 튀르키예 0.4(+18.7) ⑦ (기타기계류 : 8.1억달러, +18.2%) 친환경차 판매량 증가로 이차전지관련 제품, 자동차 부품 수출 호조로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13개월 연속 증가 등 총수출을 견인하며 역대 분기 수출 3위 실적 기록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17.2Q) 11.91위 → (‘19.2Q) 8.32위 → (‘24.2Q) 8.13위 * 기타기계류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6.9(△2.7) → (’24.2Q) 8.1(+18.2)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2.0(+84.4), 중국 1.3(△33.8), 베트남 0.7(△14.2), 프랑스 0.5(+1971.4), 인도 0.4(+92.5), 멕시코 0.3(+40.5) ⑧ (반도체 : 6.9억달러, +9.2%) 반도체 시장 회복세로 베트남7개월 연속· 중국6개월 연속·홍콩 등 주요국 대상 수출 호조세, 4개월 연속 증가 ※ 월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4.3) 2.4(+2.4) → (‘24.4) 2.4(+10.7) → (‘24.5) 2.3(+15.7) → (‘24.6) 2.2(+1.8)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23.2Q) 6.3(△17.3) → (’24.2Q) 6.9(+9.2)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베트남 1.8(+53.0), 홍콩 1.5(+5.2), 중국 1.4(+7.9), 태국 0.6(△1.1), 싱가포르 0.3(△31.5), 대만 0.3(+21.3) - 19 - ⑨ (전자응용기기 : 6.6억달러, △1.5%) 최대 수출국인 미국(이차전지 생산·검사 장비↑) 수출 증가에도 불구, 중국(이차전지 검사장비↓)· 러시아(영상용 의료기기↓) 등이 감소하면서 총 수출은 감소 * 전자응용기기 수출액(억달러) : (‘23.2Q) 6.7(+12.8) → (’24.2Q) 6.6(△1.5)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1.5(+6.6), 중국 0.6(△13.7), 일본 0.6(+4.8), 러시아 0.2(△15.0), 베트남 0.2(+2.4), 대만 0.2(+63.8) ⑩ (기계요소 : 5.8억달러, △4.1%) 미국(밸브↑) 수출 증가에도 불구, 전년도 최대 수출지인 중국(밸브, 핸들 등↓)을 비롯 일본(발전터빈 부품 ↓), 말레이시아·대만(베어링↓) 등이 감소하며 총 수출도 소폭 감소 * 기계요소 수출액(억달러) : (‘23.2Q) 6.0(+6.6) → (’24.2Q) 5.8(△4.1) * 국가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미국 1.2(+1.9), 중국 1.2(△1.1), 일본 0.6(△14.9), 베트남 0.3(+17.4), 인도 0.3(+19.7), 멕시코 0.2(△11.2) 구분 2024년 4월 5월 6월 2분기↓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비중 화장품 603 +38.9 592 +34.4 569 +21.7 1,764 +31.4 6.0 플라스틱 제품 460 +14.7 457 +8.4 418 △5.4 1,335 +5.6 4.5 자동차 392 △9.9 420 △9.0 405 △16.1 1,217 △11.8 4.1 자동차부품 375 +7.2 369 +1.7 369 △1.5 1,112 +2.4 3.8 반도체제조용장비 325 +26.2 364 +33.2 392 +21.9 1,081 +26.8 3.7 합성수지 298 +16.1 302 +13.5 274 +10.5 873 +13.4 3.0 기타기계류 288 +20.8 286 +13.3 239 +21.3 813 +18.2 2.8 반도체 236 +10.7 232 +15.7 221 +1.8 689 +9.2 2.3 전자응용기기 213 △0.3 217 +1.3 234 △5.0 664 △1.5 2.3 기계요소 193 +1.0 200 △2.5 187 △10.2 579 △4.1 2.0 10대 소계 3,383 +13.1 3,438 +11.0 3,308 +3.2 10,128 +9.0 34.5 전체 합계 10,019 +10.1 9,952 +6.7 9,375 △1.3 29,346 +5.1 100.0 【 2분기 월별 상위 10대 품목 중소기업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 - 20 - 참고 6 ‘24년 2분기 10대 국가별 중소기업 수출 동향 ① (중국: 47.8억 달러, △3.9%) 화장품·플라스틱제품·기타기계류등주요품목이 감소하면서 대(對)중 수출은 ’22년 2분기 이후9분기연속 하락하며 수출비중도 지속 감소하는 추이 ※ 수출국 비중(%) : (‘22.2Q) 18.9 → (‘23.2Q) 17.8 → (‘24.2Q) 16.3 ※ 중국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3.2 → (’24.2Q) △3.9 * 對중국 수출액(억달러, %) : ('23.2Q) 49.7(△10.8) → ('24.2Q) 47.8(△3.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제조용장비 5.3(+45.1), 화장품 2.8(△9.5), 플라스틱 제품 2.3(△3.8), 합성수지 2.0(+8.4), 기타기계류 1.3(△33.8), 계측제어분석기 1.1(△32.6) ② (미국: 47.5억 달러, +17.0%) 화장품·자동차부품 등 포함한 수출상위15개 품목이 증가함에 따라 대(對)미 수출은 ’23년 3분기 이후4분기연속 증가하며 수출 비중 증가·역대 2분기 최고 실적 달성 ※ 수출국 비중(%) : (‘22.2Q) 14.6 → (‘23.2Q) 14.5 → (‘24.2Q) 16.2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4.2Q) 47.51위 → (‘22.2Q) 43.02위 → (‘23.2Q) 40.63위 * 對미국 수출액(억달러, %) : ('23.2Q) 40.6(△5.8) → ('24.2Q) 47.5(+17.0)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화장품 3.6(+62.3), 자동차부품 3.1(+7.2), 전력용기기 2.7(+69.6), 플라스틱 제품 2.6(+15.3), 기타기계류 2.0(+84.4) ③ (베트남: 29.3억 달러, +12.9%) ‘23년 4분기 이후 3분기 연이은 증가세를보이며 플라스틱제품(+13.6%)·반도체(+53.0%)·화장품(+39.8%) 등 상위5개 품목 모두 수출 호조세를 보이며 역대 2분기 4위 실적기록 * 對베트남 수출액(억달러, %) : ('23.2Q) 25.9(△13.0) → ('24.2Q) 29.3(+12.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플라스틱 제품 2.0(+13.6), 반도체 1.8(+53.0), 합성수지 1.7(+39.8), 편직물 1.3(+6.2), 기구부품 1.2(+22.2), 화장품 1.1(+32.3) ④ (일본: 23.5억 달러, △5.0%) 최대 수출 품목인 석유제품(14.4%)·화장품(+23.2%) 등 증가세에도 자동차부품, 플라스틱제품, 건설광산기계등대부분의 품목 감소로 ‘22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하락세 기록 ※ 일본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7.3 → (’24.2Q) △5.0 * 對일본 수출액(억달러, %) : ('23.2Q) 24.7(△6.2) → ('24.2Q) 23.5(△5.0)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석유제품 2.2(14.4), 화장품 1.8(23.2), 자동차부품 0.8(△8.0), 플라스틱 제품 0.7(△3.6), 해조류 0.5(+98.7), 주단조품 0.5(△25.5), 건설광산기계 0.4(△22.6) - 21 - ⑤ (홍콩: 11.3억 달러, +61.6%) 주요 수출 품목인 패션잡화5분기연속 (+1,968.7%)·반도체(+5.2%)·화장품(+39.6%) 등 수출 호조세로 10대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 기록, ‘23년 4분기 이후 3분기 연속 증가 ※ 홍콩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37.2 → (’24.2Q) +61.6 * 對홍콩 수출액(억달러, %) : ('23.2Q) 7.0(△9.0) → ('24.2Q) 11.3(+61.6)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패션잡화 3.2(+1,968.7), 반도체 1.5(+5.2), 금은및백금 1.5(+143.6), 화장품 1.1(+39.6), 컴퓨터 0.4(+22.7) ⑥ (인도: 8.7억 달러, +13.2%) 기타기계류(+92.5%)·철강판(+24.4%)·기타 석유화학제품(+123.7%)을 포함한 수출 상위 7개 품목이 수출 호조 세를 보이며, ‘24년 1분기 이후 2분기 연속 증가세 시현, 동시에 역대 동기 2위 실적 기록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2.2Q) 9.11위 → (‘24.2Q) 8.72위 → (‘23.2Q) 7.73위 ※ 인도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3.5 → (’24.2Q) +13.2 * 對인도 수출액(억달러, %) : ('23.2Q) 7.7(△15.9) → ('24.2Q) 8.7(13.2)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합금철선철및고철 0.5(△14.9), 기타기계류 0.4(+92.5), 합성수지 0.4(△12.1), 철강판 0.3(+24.4), 기타석유화학제품 0.3(+123.7), 반도체 0.2(+78.4) ⑦ (대만: 7.3억 달러, +12.9%) 반도체제조용장비(+92.5%)·화장품(+26.2%)· 반도체(+21.3%) 등 상위 25개 품목 중 대부분이 증가하며 ’24년 1분기 이후 2분기 연속 증가세 ※ 대만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2.2 → (’24.2Q) +12.9 * 對대만 수출액(억달러, %) : ('23.2Q) 6.5(△45.4) → ('24.2Q) 7.3(12.9)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제조용장비 1.1(+23.3), 화장품 0.4(+24.7), 반도체 0.3(+21.3), 레일및철구조물 0.2(+265.5), 합금철선철및고철 0.2(+155.3) ⑧ (멕시코: 7.0억 달러, +3.5%) 자동차부품(+1.3%), 산업용 전기기기(+14.8%) 등이 증가하며 ‘23년 1분기부터 6분기 연속 수출 증가, 2분기 역대 최고 실적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4.2Q) 7.01위 → (‘23.2Q) 6.752위 → (‘22.2Q) 6.723위 ※ 멕시코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7.7 → (’24.2Q) +3.5 * 對멕시코 수출액(억달러) : (‘23.2Q) 6.7(+0.4) → (’24.2Q) 7.0(+3.5)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자동차부품 1.0(+1.3), 산업용 전기기기 0.7(+14.8), 철강판 0.6(△22.4), 플라스틱제품 0.4 (△1.0), 금형 0.4(+54.7), 기타기계류 0.3(+40.5) - 22 - ⑨ (태국: 6.6억 달러, +9.5%) 상위 10대 품목 중 반도체를 제외한9개품목 모두 수출 호조세로 대부분의 품목이 증가세로 전환하면서9분기 만에 상승세 전환, 역대 2분기 최대 실적 기록 ※ 역대 2분기 기록(억달러) : (‘24.2Q) 6.61위 → (‘21.2Q) 6.32위 → (‘22.2Q) 6.23위 ※ 태국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0.5 → (’24.2Q) +9.5 * 對태국 수출액(억달러) : (‘23.2Q) 6.0(△3.1) → (’24.2Q) 6.6(+9.5)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반도체 0.6(△1.1), 철강판 0.5(+3.3), 해조류 0.4(+72.8), 화장품 0.4(+11.6), 플라스틱제품 0.2(+2.7) ⑩ (인도네시아: 6.5억 달러, +7.8%) 화장품(+89.6%)·자동차부품(+67.8%) 등 수출 상위 10개 품목 모두 증가하며 9분기 만에 상승세 전환 ※ 인도네시아 분기별 수출증감률(%): (’24.1Q) △12.1 → (’24.2Q) +7.8 * 對인도네시아 수출액(억달러, %) : ('23.2Q) 6.1(△10.7) → ('24.2Q) 6.5(7.8) * 품목별 수출액/증감률(억달러, %) : 편직물 0.4(+6.1), 합성수지 0.4(+70.0), 철강판 0.3(+4.8), 섬유및화학기계 0.3(+26.9), 화장품 0.2(+89.6), 자동차부품 0.2(+67.8) 【 2분기 월별 상위 10대 국가 중소기업 수출 현황 (단위 : 백만달러, %) 】 구분 2024년 4월 5월 6월 2분기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증감률 비중중국 1,564 △2.3 1,699 △2.4 1,516 △7.1 4,779 △3.9 16.3 미국 1,720 +28.5 1,517 +14.9 1,509 +7.9 4,746 +17.0 16.2 베트남 968 +19.0 1,034 +17.9 926 +2.6 2,928 +12.9 10.0 일본 764 +1.6 819 △4.2 768 △11.4 2,350 △5.0 8.0 홍콩 480 +104.1 347 +40.1 307 +40.2 1,134 +61.6 3.9 인도 284 +18.6 315 +17.9 271 +3.4 870 +13.2 3.0 대만 244 +17.3 239 +1.6 248 +21.5 732 +12.9 2.5 멕시코 234 +9.7 232 +2.4 232 △1.2 698 +3.5 2.4 태국 233 +16.9 225 +18.3 199 △5.4 657 +9.5 2.2 인도네시아 227 +20.1 224 +9.8 203 △4.9 653 +7.8 2.2 10대 소계 6,717 +16.0 6,651 +7.9 6,179 +0.6 19,546 +8.0 66.6 전체 합계 10,019 +10.1 9,952 +6.7 9,375 △1.3 29,346 +5.1 100.0 - 23 - 참고 7 수출 품목의 세부 품목 예시 품목명 (MTI 3단위) 세부품목 (수출신고서 예시) 플라스틱 제품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 플라스틱 접착제, 필름, 포장용기, 인테리어용 바닥재, 블라인드 등 자동차 부품 기어박스, 제동장치, 모터, 내연기관, 자동차용 판상 스프링 등 반도체제조용장비 반도체 소자 제조장비, 여과기, 청정기 등 화장품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용 화장품 등 합성수지 ABS수지, 실리콘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등 반도체 프로세스와 콘트롤러, 집적회로 및 개별소자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 철강판 착색아연도강판, 용융아연도강판, 철 및 비합금강냉연강판 등 자동차 승용차(DKD방식 : 현지재조립), 중고차 등 기계요소 밸브, 베어링, 스크류, 스프링 등 기타기계류 반도체 칩 본딩 장치, 이차전지 자동화 장비, 프레스, 분쇄기, 금속처리용 기계류 등 계측제어분석기 내연기관 특성 시험기, 반도체제조 전용 시험기, 광학식 측정기 등 전자응용기기 자동차 전장품, 화재경보기, 배터리 충전기, 실험용 살균기, 초음파영상진단기, 의료용전자기기 등 산업용전기기기 케이블, 전동기, 전원장치 등 의약품 자가진단키트, PCR 시약 및 키트 등 정밀화학원료 배터리 원료 무선통신기기 휴대폰, 휴대폰 부분품, 카메라 모듈 등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