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보도시점 | 배포즉시 | 배포 | 2024. 4. 15.(월) 09:00 |
2024년 3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 |
- 수출 566억 달러, 3.1% 증가하며 6개월 연속 증가 - 무역수지 43억 달러 흑자로 10개월 연속 흑자 기록 |
1 ’24. 3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3.1% 증가한 566억 달러, 수입은 12.3% 감소한 523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43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023년 | 2024년 | |||
3월 | 1~3월 | 2월 | 3월 | 1~3월 | |
수 출 (전년동기대비) |
54,882 (△14.0) |
151,216 (△12.8) |
52,423 (4.9) |
56,572 (3.1) |
163,766 (8.3) |
수 입 (전년동기대비) |
59,636 (△6.5) |
174,044 (△2.2) |
48,085 (△13.2) |
52,281 (△12.3) |
154,723 (△11.1) |
무역수지 | -4,753 | -22,827 | 4,338 | 4,291 | 9,043 |
- 3월 수출(3.1%)은 반도체 등 주요품목 수출 호조로 6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월별 수출입 전년대비 증감률(%) | 3월 수출액(억 달러) |
|
|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반도체(전년동월대비 증감률 34.5%)ㆍ석유제품(3.3%)ㆍ선박(107.2%)ㆍ가전제품(14.3%) 등은 증가한 반면, 승용차(△5.7%)ㆍ무선통신기기(△2.6%) 등은 감소하였다.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미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11.6%)ㆍ중국(0.4%)ㆍ베트남(4.4%)ㆍ대만(20.0%)ㆍ싱가포르(16.8%) 등은 증가하였고, 유럽연합(△6.7%)ㆍ일본(△12.0%)ㆍ중동(△15.2%) 등은 감소하였다.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석유제품(전년동월대비 증감률 13.1%)․메모리 반도체(39.2%)․가전제품(2.5%) 등은 증가하였고, 원유(△12.8%)․기계류(△6.5%)․의류(△9.2%) 등은 감소하였다.
(소비재 9.5% 감소) 가전제품(2.5%)ㆍ소고기(9.7%) 등은 증가하였고, 의류(△9.2%)ㆍ승용차(△21.8%) 등은 감소하였다.
(원자재 18.4% 감소) 석유제품(13.1%)ㆍ의약품(11.8%) 등은 증가하였고, 원유(△12.8%)ㆍ가스(△37.6%)ㆍ석탄(△40.5%) 등은 감소하였다.
(자본재 3.5% 감소) 메모리 반도체(39.2%)ㆍ정밀기기(1.8%) 등은 증가하였고, 기계류(△6.5%)ㆍ제조용 장비(△28.5%)ㆍ무선통신기기(△2.3%)ㆍ컴퓨터 주변기기(△5.3%) 등은 감소하였다.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싱가포르(전년동월대비 증감률 5.9%)ㆍ캐나다(0.2%) 등은 증가하였고, 중국(△13.6%)ㆍ중동(△10.0%)ㆍ미국(△10.5%)ㆍ유럽연합(△4.8%)ㆍ일본(△2.1%) 등은 감소하였다.
2 수출입 특이사항
○ 3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566억 달러로,
6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7월] △16.2 → [8월] △8.1 → [9월] △4.4 → [10월] 4.9 → [11월] 7.3 → [12월] 5.0 → [’24.1월] 18.2 → [2월] 4.9 → [3월] 3.1
○ 수출 중량은 전월 감소(△2.9%)에서 증가(7.1%)로 전환되었다.
○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0.4%)이 증가로 전환한 가운데, 미국은 8개월 연속 증가(11.6%) 하였다.
* 중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6월] △0.8 → [7월] △2.7 → ... → [’23.6월] △19.0 → [7월] △24.9 → [8월] △19.8 → [9월] △17.6 → [10월] △9.6 → [11월] △0.3 → [12월] △3.0 → [’24.1월] 16.2 → [2월] △2.5 → [3월] 0.4
* 미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7월] △7.9 → [8월] 2.4 → [9월] 9.0 → [10월] 17.1 → [11월] 24.7 → [12월] 20.7 → [’24.1월] 27.1 → [2월] 9.2 → [3월] 11.6
○ 반도체 수출은 5개월 연속 증가한 반면, 승용차는 2개월 연속 감소하였다.
* 반도체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7월] △33.8 → [8월] △21.2 → [9월] △14.6 → [10월] △4.8 → [11월] 10.8 → [12월] 19.0 → [’24.1월] 52.8 → [2월] 63.0 → [3월] 34.5
* 승용차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7월] 15.7 → [8월] 28.1 → [9월] 9.0 → [10월] 21.0 → [11월] 22.9 → [12월] 19.1 → [’24.1월] 24.8 → [2월] △8.2 → [3월] △5.7
○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1.9% 하락하였다.
* 수입단가(달러($)/배럴) : [’23.12월] 88.5 → [’24.1월] 82.6 → [2월] 83.3 → [3월] 83.7
수입단가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12월]△4.9 → [’24.1월]△4.0 → [2월]△3.6 → [3월]△1.9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5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담당 부서 | 정보데이터정책관 | 책임자 | 과 장 | 김기동 | (042-481-7760) |
정보데이터기획담당관 | 담당자 | 사무관 | 이민영 | (042-481-7845) | |
주무관 | 이기영 | (042-481-7878) |
2024년 3월 수출입현황 및 무역수지 [상세] |
1 | 수출 현황 |
□〔총 괄〕전년 동월 대비 3.1% 증가한 566억 달러 기록
ㅇ 반도체(34.5%)․석유제품(3.3%)․선박(107.2%)․가전제품(14.3%)․액정디바이스(30.3%) 등은 증가, 승용차(△5.7%)․자동차 부품(△7.5%)․무선통신기기(△2.6%) 등은 감소
ㅇ 미국(11.6%)․중국(0.4%)․베트남(4.4%)․대만(20.0%)․호주(17.3%) 등 증가, 유럽연합(△6.7%)․일본(△12.0%)․중동(△15.2%) 등 감소
< 월별 수출액 및 증감률 >
![](https://blog.kakaocdn.net/dn/ALaRK/btsGBPKRqYG/uy0CMtheYUmvchcn934skK/img.png)
ㅇ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7.1% 증가한 1,682만 톤
(단위 : 만 톤,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3 | ’23.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4.1 | 2 | 3 |
중량 | 18,864 | 1,571 | 1,504 | 1,604 | 1,564 | 1,518 | 1,570 | 1,548 | 1,633 | 1,563 | 1,673 | 1,712 | 1,576 | 1,682 |
(증감률) | 1.4 | △3.5 | 1.7 | △3.6 | 10.1 | △5.3 | △7.3 | 0.2 | 14.2 | 4.3 | 4.6 | 14.7 | △2.9 | 7.1 |
* 순중량 기준 (포장, 용기 물량 제외)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통상자원부, 4월 수출상황 긴급점검, 중동 리스크 최소화 (0) | 2024.04.15 |
---|---|
조달청, 2024년도 25조원 규모 국가물품 감사 실시 (0) | 2024.04.15 |
관세청, 2024년 3월 수출입 운송비용 현황 (0) | 2024.04.15 |
관세청, 전국 단위 면세점 축제 열린다 (0) | 2024.04.15 |
해수부, 60개 항만하역장에 재해예방시설을 설치하여 항만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0) | 2024.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