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4. 3. 19.(화) 11:00 이후(3. 20.(수) 조간) / 배포 : 2024. 3. 19.(화) 국립도시건축박물관, 화성성역의궤 확보- 조선시대 건축도시 기술의 총아, 박물관이 수집한 첫 보물급 유물 - 화성성역의궤 등 주요 소장품 선보이는 사전 기획전시 연내 개최 계획 □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6년 개관예정인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의 소장· 전시용 자료로 ‘화성성역의궤’를 확보했다. ㅇ 화성성역의궤는 1794년부터 1796년까지 신도시 화성(華城) 성곽의 축조과정을 충실하게 엮은 9개의 책이다. 이번에 국립도시건축박물관에서 확보한 의궤는 국내에 전해지는 온전한 완질* 중 하나이다. *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립중앙박물관, 연세대학교 박물관에서 각각 소장 중이며, 모두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됨 ㅇ 해당 의궤는 설계도, 시공법, 각종 설비·기계와 함께 노동자 임금, 근무일, 거주지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건축·도시 측면의 사료적 가치가 높다. 1997년 수원화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데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 국토교통부는 국립도시건축박물관의 다양한 핵심 전시물 확보에 노력해 왔다. 향후 화성성역의궤 등과 같은 주요 유물을 테마 전시자료및국내외 주요 기관 간 상호교류의 마중물로 활용할 예정이다. ㅇ 현재까지 확보한 약 2천여 점의 소장품에 대한 연구·해석 작업을 거쳐, 국내외 주요 기관과 함께 화성성역의궤를 포함한 주요 유물을 선보이는기획전시전을 연내 개최할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이우제 건축정책관은 “우리부는 지금까지 건축도시 관련 약 2천여 점의 소장품을 확보하였다”면서, “앞으로도 내실 있는 기획과 충실한자료수집을 통해 박물관의 성공적 개관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2 - 담당 부서 건축정책관 책임자 팀장 김용수 (044-201-4836) 건축문화경관과 담당자 주무관 김은경 (044-201-3780) - 3 - 참고 화성성역의궤 개요 ㅇ 공사의 계획, 운영과정, 참여자, 소요경비, 자재, 공법, 도면 등화성축조의 전모가 상세하게 기록된 종합보고서 * (보물지정) 서울대규장각(1901-1호), 국립중앙박물관(1901-7호), 연세대학교(1901-8호) - (주요내용) 축성과 관련된 기본계획서, 공문서, 규정, 기술자명단, 경비의 예·결산, 설계도, 공법 등 세부도면 등 - (편찬) 1796.11月 초고가 완성된 후 금속활자, 도판 작업을거쳐1801년(순조1년) 인쇄본으로 154부가 제작·배포됨 - (사료적 가치) 18세기 정조시대의 시대상을 살펴볼 수 있으며성곽축성법 등 당대 건축술과 운반수단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 화성 신도시 ㅇ 정조가 수원도호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하고 관아와 민가를 팔달산으로옮겨 조성한 신도시로 1784년 착수하여 1796년 완공 - (규모·형태) 둘레는 5,744m, 면적은 1.3㎢에 달하며 동쪽은 평지, 서쪽은팔달산이 걸쳐있는 평산성의 형태 - (주요시설) 행궁, 성곽, 도로, 교량, 수문, 시장 등 도시기반시설, 저수지, 국영농장 등 농업생산시설, 암문, 봉돈, 포루 등 군사시설 - (참여자) 도시설계 정약용, 사업책임 채제공, 기타 숙련공 1,800여명 - (총사업비) 87만여 냥 (약 600억원)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24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안) 열람 (1) | 2024.03.19 |
---|---|
국토교통부, 오래된 우리 동네가 살기 좋아집니다 (1) | 2024.03.19 |
고양특례시, 2024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 열람·의견접수 (1) | 2024.03.19 |
고양시, 지하철 3호선 대체 교통수단 투입 등 긴급조치 (1) | 2024.03.19 |
고양특례시, 지방자치단체 적극행정 종합평가 우수기관 선정 (0) | 2024.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