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설 명절, 교통사고와 화재 등 안전에 주의하세요!

by dexxx 2024. 2. 5.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5
6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온라인) 2024. 2. 5.(월) 12:00 (지 면) 2024. 2. 6.(화) 조 간 설 명절, 교통사고와 화재 등 안전에 주의하세요!- 귀성‧귀경길 서두르지 말고, 피곤하면 쉬어가고 앞차와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 음식준비로 분주한 설, 조리 중 자리비우지 않고 화기주변 정리정돈 철저□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귀성․귀경길 교통사고와 집집마다 음식 장만 등으로 화기 사용이 많아지는 만큼 화재 안전에 각별한주의를 요청하였다. □ 도로교통공단과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올 설 명절 전후로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시기는 연휴 시작 전날인 2월 8일(목)이며, 주택화재는 본격적으로 음식을 준비하는 2월 9일(금) 설 전날로 분석되었다. □ 최근 5년(‘18~’22)간 설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를 분석해보면, 연휴 시작 전날이 평소(최근 5년 일평균 579건)보다 1.2배 정도 많은 710건발생하였고, 시간대는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18시경에 가장 많았다. < 최근 5년(‘18~’22)간 설 명절 전후 교통사고 현황 > (단위: 건) < 일평균 비교 > < 연휴전날 시간대별 > [출처: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 장거리를 가야하는 명절에는 대중교통 이용이 늘고 가족 단위로 이동하여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평소(최근 5년 일평균 579건)보다 다소 감소하지만 인명피해는 오히려 많아져 안전운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100건당 인명피해 : 최근 5년 전체 148명, 설 연휴 176명(1.2배 증가) - 2 - ○ 명절에는 장거리 운전이 많아지며 교통사고 위험도 높아지는데, 차량 운전시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킨다. -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이나 제동장치 등 차량을 점검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도 꼼꼼히 확인한다. - 차량 이동 시에는 전 좌석 안전띠(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특히 어린이는 아이 체형에 맞는 차량용 안전의자(Car seat)를 사용한다. - 또한, 도로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간 전광판 등을 통해 도로 통제 등교통정보를 확인하며 여유있게 운전하도록 한다. ※ (실시간 교통정보) 국가교통정보센터, 고속도로 교통정보, 한국도로공사 누리집 등 - 운전 중에는 앞차와의 안전거리를 잘 지키고, 졸립거나 피곤하면 휴게소와 졸음쉼터 등에서 충분히 쉰 후에 이동한다. - 명절에는 음주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비율도 평소보다 높아지는데, 음주를 했다면 모두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운전한다. 구 분 전 체 기 간 (최근 5년) 설 연 휴 음 주 운 전 음 주 운 전 교통사고(건) 1,056,368 82,289 (7.8%) 8,231 959 (11.7%) - 아울러, 추운 날씨에는 살얼음 등으로 도로가 미끄러울 수 있으니, 결빙이 발생하기 쉬운 다리 위나 고가도로, 터널‧지하차도, 급커브 구간 등에서는 속도를 줄여 안전운전 하여야 한다. □ 한편, 명절에는 음식 준비 등으로 집안에서의 화기 사용이 많아지면서 주택에서의 화재 위험도 높아진다. ○ 최근 5년간(’19 ~ ’23년) 설 연휴에 발생한 주택화재는 총 541건이며, 20명이 사망하고 55명이 화상과 연기 흡입 등으로 다쳤다. ※ 설연휴: ’19.2.4.~2.6., ’20.1.24.~1.26., ’21.2.11.~2.13., ‘22.1.31.~2.2., ’23.1.21.~1.23. - 이 중, 주택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날은 설 전날로 연간 일평균인 28.9건보다 10건 정도 많은 39건이 발생하였고, 설날은 37.6건, 다음날은 31.6건으로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단위: 건) < 설 명절 일자별 화재현황 > - 3 - ○ 설 명절에 발생하는 주택화재의 원인으로는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도 예방 가능한 사소한 부주의가 절반이 넘는 55%(298건)로 가장 많았고, 전기접촉 불량 등 전기적 요인 21%(111건), 노후․과열 등 기계적요인 8%(41건) 순으로 발생하였다. - 이러한 부주의 유형으로는 불씨 및 화원을 방치(24%, 71건)하거나 음식물 조리 중(23%, 69건) 자리비움 등으로 인한 부주의, 담배꽁초 관리 부주의(19%, 55건)와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을 불 가까이 두면서(13%, 38건) 발생하였다. < 최근 5년(‘19~’23)간 설 명절 주택화재 원인별 현황> (단위: 건) ※ 용접2, 빨래삶기1, 임야태우기1, 유류취급부주의1, 기타28 < 부주의 화재 상세 현황 > [출처: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 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취급이 많은 명절에는 다음과 같은 화재 예방수칙을 잘 지킨다. - 음식을 조리하기 전에는 주변을 정리 정돈하고, 조리 중에는 불을 켜 놓은 채 잠시라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주의한다. - 특히, 가스레인지의 연소기 근처에는 포장비닐이나 종이행주 등 불이 옮겨붙기 쉬운 가연물은 멀리두고 틈틈이 실내를 환기하는 것이 좋다. - 또한,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 할 때, 다른 용품과 문어발처럼 꽂아쓰면과열되어 위험하니 가급적이면 단독형 콘센트를 사용한다. □ 박명균 행정안전부 예방정책국장은 “해마다 명절에는 귀성‧귀경길에서의 교통사고와 음식 장만 등으로 인한 화재 등 안타까운 소식이 끊이지 않는데, 이번 설에는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고 예방하여 즐겁고 안전한 설 명절 되시길 바란다.”라고 하였다. - 4 - 담당 부서 행 정 안 전 부 책임자 과 장 박남기 (044-205-4510) <총 괄> 예방안전제도과 담당자 주무관 오영남 (044-205-4506) (화 재) 소 방 청 책임자 과 장 최홍영 (044-205-7470) 화재대응조사과 담당자 주무관 유창화 (044-205-7476) (교통사고) 도로교통공단 책임자 처 장 최석훈 (033-749-5260) 데이터융합처 담당자 과 장 황대곤 (033-749-5265) - 5 - 참고 1 최근 5년간(‘18∼‘22년) 설 연휴 전후 교통사고 현황[제공: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 연도별 / 일자별 (단위: 건)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일 평균연휴 전날 736 717 738 739 619 710 설 연 휴 첫째날 434 563 435 355 451 448 둘째날 ★341 494 ★347 ★288 361 366 셋째날 377 352 331 406 322 358 넷째날 334 ★346 442 335 ★253 432 다섯째날 - 346 - - 318 332 일 평균 382 439 403 365 341 374 연간 일 평균 595 629 573 557 539 579 ※ 설 연휴: ’18년(2/15~2/18), ’19년(2/2~2/6), ’20년(1/24~1/27), ’21년(2/11~2/14), ’22년(1/29~2/2) ★ 설날□ 시간대별 (단위: 건) 시 간 대 00~ 02~ 4~ 6~ 8~ 10~ 12~ 14~ 16~ 18~ 20~ 22~ 연 휴 전 날 교통사고(건) 157 63 72 176 284 359 341 452 437 580 382 246 인명피해(명) 267 90 105 236 398 520 459 626 628 835 565 355 연 휴 첫째날 교통사고(건) 153 107 81 84 126 237 280 243 240 288 236 163 인명피해(명) 249 163 135 115 203 418 468 378 403 438 362 266 설 날 교통사고(건) 74 41 30 56 87 149 222 202 179 205 189 141 인명피해(명) 129 53 58 97 183 361 580 464 387 365 371 252 □ 설 연휴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단위: 건, %) 구 분 최근 5년 전체기간 설 연휴 음 주 음 주 교통사고(건) 1,056,368 82,289 7.8% 8,231 959 11.7% 인명피해(명) 1,560,216 136,238 8.7% 14,442 1,835 12.7% - 6 - 참고 2 최근 5년간(‘19∼‘23년) 설 연휴 주택화재 현황[제공: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 최근 5년간 화재 현황 (단위: 건) 연 도 구 분 총 화재 건수 주택화재 건수 ‘19~’23 전체 화재 건수 193,999 52,795 일 평균 106.3 28.9 □ 최근 5년간 설 명절 화재 현황 (단위: 건) 연 도 구 분 총 화재 건수 주택화재 건수 전날 설날 다음날 전날 설날 다음날‘19~’23 설 명절 화재건수 593 550 571 195 188 158 일 평균 118.6 110.0 114.2 39.0 37.6 31.6 2019년 2.4.~2.6.(3일) 92 109 92 37 43 30 2020년 1.24.~1.26.(3일) 97 76 93 34 31 33 2021년 2.11.~2.13.(3일) 121 130 151 42 44 35 2022년 1.31.~2.2.(3일) 153 97 91 46 35 26 2023년 1.21.~1.23(3일) 130 138 144 36 35 34 ○ 설 명절 원인별 주택화재 (단위: 건) 구 분 부주의 전기적 기계적 방화 (의심) 가스 누출 제품 결함 화학적 기타 미상화 재 298 111 41 11 4 2 1 13 60 - 부주의로 인한 주택화재 상세현황 (단위: 건) 구 분 불 씨 화원방치 음식물 조리중 담배 꽁초 가연물 근접방치 기 기 사용설치 부주의 쓰레기소 각화 재 71 69 55 38 20 12 구 분 용접, 절단 연 마 빨래삶기 논, 임야 태우기 유 류 취급 중 기 타 부주의 화 재 2 1 1 1 28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