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4. 1. 31.(수) 11:00 이후(2. 1.(목) 조간) / 배포 : 2024. 1. 31.(수) 제3회 녹색건축 최우수 지자체…‘부산·울산·서울’ -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대상 3개 부문 평가… 지역주도의 녹색건축 확산 기대□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녹색건축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녹색건축 평가는 건물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연간 지자체의 녹색건축관련 노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3개 부문에 대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 녹색건축 평가 개요 > ㅇ (대상) 전국 광역자치단체 17개 ㅇ (부문) 녹색건축물 확산, 건물에너지 성능, 정책 이행도 ㅇ (지표) ①녹색건축물 도입율 ②그린리모델링 도입율 ③건물에너지성능 달성도 ④건물에너지성능 노력도 ⑤건물 신재생 비중 ⑥인적역량 ⑦예산비중 ⑧정책기반 ⑨우수사례ㅇ (방법) 각 부문 내 지표별 산식에 의한 정량평가(①∼⑧) 및 정성평가(⑨) ㅇ (등급) 부문별 3등급*(우수, 보통, 미흡) 부여, 부문별 최우수 지자체 표기 * 부문별 점수 비교를 통해 상위 5곳과 하위 5곳에 우수, 미흡 부여하고 나머지는 보통 부여□ 평가 결과, ‘녹색건축물 확산’ 부문에서는 부산광역시가, ‘건물에너지 성능’ 부문에서는 울산광역시가, ‘정책 이행도’ 부문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최우수지자체로 선정되었고, ㅇ 서울특별시의 “유리커튼월 가이드라인”이 최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 지자체별 녹색건축 평가 결과서와 평가 데이터 등의 상세 정보는 2월 1일부터 녹색건축포털 누리집(그린투게더, www.greentogether.go.kr)에서확인할 수 있다. □ 국토교통부 이우제 건축정책관은,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지자체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녹색건축 평가결과가 지역주도의 녹색건축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2 - 담당 부서 (총괄) 건축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연희 (044-201-3768) 녹색건축과 담당자 사무관 허재성 (044-201-4094) - 3 - < 제3회 지자체 녹색건축 평가 부문별 결과(등급) > 시도 녹색건축물확산 건물에너지성능 정책이행도서울 우수 보통 우수(1등) 부산 우수(1등) 보통 보통 대구 우수 우수 보통 인천 우수 우수 보통 광주 보통 우수 우수 대전 보통 우수 미흡 울산 미흡 우수(1등) 미흡 세종 보통 미흡 우수 경기 미흡 보통 보통 강원 보통 보통 우수 충북 보통 미흡 미흡 충남 미흡 미흡 미흡 전북 미흡 보통 우수 전남 보통 미흡 보통 경북 미흡 보통 보통 경남 보통 보통 미흡 제주 우수 미흡 보통 * 우수(5곳), 보통(7곳), 미흡(5곳) 참고 1 제3회 지자체 녹색건축 평가 결과 ※ 대용량 파일 별첨 - 4 - 참고 2 부문별 평가 결과 □ 녹색건축물 확산 부문 ㅇ 녹색건축물 확산은 녹색건축물인증 도입율(신축) 및 그린리모델링도입율(기축) 지표를 활용하여 공공, 민간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 도입율은 녹색건축물 및 그린리모델링 건물 수가 아닌, 연면적으로 산정 - 녹색건축물확산 부문에서는 부산이 녹색건축물인증 도입율 107점(1위), 그린리모델링 도입율 64점(13위)으로 종합 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다. □ 건물에너지성능 부문 ㅇ 건물에너지성능(BEPI, Building Energy performance Indicator)은 단위면적당, 인당 에너지사용량 지표 기반 기준년도*(’18년) 대비 달성도, 전년도대비 노력도로 평가하고, 건물신재생 비중도 포함하여 평가하였다. * ’18년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정점으로, 감축목표 설정을 위한 기준년도로활용- 건물에너지성능 부문에서는 울산이 BEPI달성도 85점(1위), BEPI노력도76점(6위), 건물 신재생 비중 67점(12위)으로 종합 최우수 지자체에선정되었다. - 5 - * 17개 지자체 평균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kWh/m2 ) 및 인당 에너지사용량(kWh/인) ’18년 : 167kWh/m2 , 7,203kWh/인, ’22년 : 163kWh/m2 , 7,598kWh/인 (출처 : 건물에너지사용량통계데이터(한국부동산원), 주민등록인구현황통계) □ 정책이행도 부문 ㅇ 녹색건축정책 추진 이행도는 녹색건축 활성화 정책 수립 및이행을위한 전담인력 확보 수준(인적역량),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해투입되는 예산의 규모(예산비중), 녹색건축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한조례마련 수준(정책기반), 녹색건축 우수사례 등 4개 세부 지표를활용하여 평가하였다. - 정책이행도 부문에서는 서울이 인적역량 95점(1위), 예산비중65점(10위), 정책기반 72점(공동 5위), 우수사례 89점(공동 1위)로 종합최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었다. - 6 - 참고 3 녹색건축 최우수사례 (서울) □ 우수사례명 ㅇ 서울시 유리커튼월 가이드라인 □ 우수사례 내용 ㅇ 유리커튼월 건축물의 현안 문제 대응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①에너지 절감 방안 ②빛반사 저감 방안 ③조류충돌 저감 방안□ 우수사례 결과 ㅇ 분석내용(에너지부문) - 유리커튼월 건물 에너지부하 문제 해결을 위한 관리요소 4가지를(①벽면율 ②SHGC ③차양장치 ④열관류율) 도출하고, 개선방향 제시<에너지부문 가이드라인 적용 예>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2023년 교통문화지수 결과 발표 (1) | 2024.01.31 |
---|---|
국토교통부, 전세사기 지원대책, 한 곳에서 한 번에 “신청” 가능해진다 (0) | 2024.01.31 |
국토교통부, 강희업 대광위원장, “광역콜버스 확대로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할 것” (1) | 2024.01.31 |
국토교통부, 진현환 제1차관,“공공주택 14만호 연내 신속히 공급” (0) | 2024.01.30 |
국토교통부, 설 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안 국무회의 통과 (0) | 2024.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