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통계청,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by Juneeeee 2023. 11. 29.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인구동향조사 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1. 29.(수) 12:00 배포 2023. 11. 29.(수) 08:30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담당 부서 사회통계국 책임자 과 장 임영일 (042-481-2250) 인구동향과 담당자 서기관 온누리 (2258) 출생통계 담당자 사무관 서주희 (2251) 사망통계 담당자 사무관 김경미 (2284) 혼인‧이혼 일 러 두 기 □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개요 ○ 다문화 인구란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정의를 준용하여 한국인과 결혼이민자 및 귀화‧인지에 의한 한국 국적 취득자로 이루어진 가족의 구성원을 의미함(※ 42쪽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작성 개요 참조) ○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는 우리나라 국민이 「통계법」과 「가족관계의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신고한 출생․사망․혼인․이혼 자료와 대법원 가족관계등록자료를 활용, 2008년 자료부터 작성함○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통계자료는 국가통계포털 KOSIS(http://kosis.kr)에 게시함 □ 이용상 주의 사항 ○ 본문 중 「출생기준 한국인」은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에의한 한국인, 「외국인」은 외국 국적자, 「귀화자」는 동법 제3조(인지에 의한 국적취득) 및 제4조(귀화에 의한 국적취득)에 의한 한국인을 의미함 혼인․이혼통계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외국인 아내)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의 혼인(이혼) ․(외국인 남편) 외국인 남자와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의 혼인(이혼) ․(귀화자) 남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라도 귀화자인 경우 출생통계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외국인 모) 출생기준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외국인 부) 외국인 부와 출생기준 한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귀화자) 부와 모 중 한쪽이 귀화자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 혼인․이혼은 신고연도, 출생․사망은 발생연도 기준으로 집계하여분석한 결과임 ○ 통계표 수치는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에 하위분류의 합이 상위분류의 값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비중은 각 항목의 미상을 제외하고 계산하였으며, 총수에 비중을 곱하여 세부 항목의 값으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 지역별 통계표에서 출생은 출생아의 주소지, 혼인․이혼은 부부 중 국내 주소지(단, 부부가 모두 국내 주소인 경우 남편의 주소지)를 기준으로 집계한 것임 ○ 출생은 시계열 정비를 통해 2018~2021년 출산순위 관련 자료가 일부변경되었음 목 차 □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결과 요약 · 1 □ 2022년 다문화 혼인 · 4 1. 혼인 건수 · 4 2. 다문화 유형별 혼인 · 5 3. 성·연령별 혼인 · 6 4. 종류(초․재혼)별 혼인 · 8 5. 평균 혼인 연령 · 9 6. 출신 국적별 혼인 · 11 7. 지역별 다문화 혼인 · 12 □ 2022년 다문화 이혼 · 13 1. 이혼 건수 · 13 2. 다문화 유형별 이혼 · 14 3. 평균 이혼 연령 및 미성년자녀 유무별 이혼 · 15 4.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이혼 · 16 5. 종류(협의․재판)별 이혼 · 17 6. 출신 국적별 이혼 · 18 7. 지역별 다문화 이혼 · 19 목 차 □ 2022년 다문화 출생 · 20 1. 출생아 수 및 성비 · 20 2. 출산 순위별 출생 · 21 3. 다문화 유형별 출생 · 22 4. 모(母)의 연령별 출산 · 23 5.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 · 24 6. 결혼생활 기간별 출생 · 25 7. 부모(父母)의 출신 국적별 출생 · 26 8. 지역별 다문화 출생 · 27 ◇ 참 고 ◎ 지역별 다문화 혼인․이혼․출생 비중 추이 · 28 □ 2022년 다문화 사망 · 29 1. 사망자 수 · 29 2. 성비 및 다문화 유형별 사망 · 30 □ 통계표 · 31 ◇ 부 록 ◎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작성 개요 · 42 - 1 - 2022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결과 요약 다문화 혼인(17,428건)은 전년대비 25.1%(3,502건) 증가 ○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의 비중은 9.1%, 전년대비 1.9%p 증가 ○ 다문화 혼인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66.8%), 외국인 남편(20.0%), 귀화자(13.2%) 순임- 전년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 비중은 4.7%p 증가, 귀화자 혼인은 2.8%p 감소< 다문화 혼인 추이 > < 다문화 혼인 유형별 비중 > ○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6.6세, 아내 29.9세로 전년대비남편은 1.6세 증가, 아내는 0.5세 감소 ○ 다문화 혼인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 연상부부가 74.5%로 가장 많고,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5.0%로 전년대비 10.2%p 증가 < 평균 초혼 연령, 2022년 > < 부부 연령차 비중, 2022년 > ○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23.0%), 중국(17.8%), 태국 (11.1%) 순임 - 전년대비 베트남의 비중은 9.4%p 증가, 중국과 태국의 비중은 각각 6.1%p, 0.3%p 감소 < 아내의 주요 국적별 혼인 건수 추이 > - 2 - 다문화 이혼(7,853건)은 전년대비 6.8%(571건) 감소 ○ 전체 이혼 중 다문화 이혼의 비중은 8.4%, 전년대비 0.1%p 증가 ○ 다문화 이혼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48.1%), 귀화자(35.0%), 외국인 남편(16.9%) 순임- 전년대비 외국인 남편, 귀화자와의 이혼 비중은 각각 0.6%p 증가, 외국인 아내와의이혼 비중은 1.2%p 감소 < 다문화 이혼 추이 > < 다문화 이혼 유형별 비중 > ○ 다문화 이혼을 한 남편의 평균 이혼 연령은 50.1세, 아내 41.3세로 전년대비 남편은 유사, 아내는 0.7세 증가 ○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10.0년으로 전년대비 0.6년 증가< 평균 이혼 연령, 2022년 > < 결혼생활 지속기간, 2021년, 2022년 > ○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중국(33.8%), 베트남(25.3%), 태국 (4.2%) 순임 - 전년대비 중국과 베트남의 비중은 각각 0.1%p, 2.3%p 감소, 태국의 비중은 0.7%p 증가 < 아내의 주요 국적별 이혼 건수 추이 > - 3 - 다문화 출생(12,526명)은 전년대비 12.5%(1,796명) 감소 ○ 전체 출생 중 다문화 출생의 비중은 5.0%, 전년대비 0.5%p 감소○ 다문화 출생의 유형은 외국인 모(61.0%), 외국인 부(20.0%), 귀화자(19.0%) 순임- 전년대비 외국인 모 및 귀화자는 각각 4.1%p, 0.4%p 감소, 외국인 부는 4.6%p 증가< 다문화 출생 추이 > < 다문화 출생 유형별 비중 > ○ 다문화 모의 연령별 출산은 30대 초반이 36.1%로 가장 많고, 30대 후반26.4%, 20대 후반 21.5% 순임 ○ 다문화 출생에서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 전년대비 1.0세 증가< 모의 연령별 출생아 비중, 2012년, 2022년 > < 모의 평균 출산연령, 2021년, 2022년 > ○ 다문화 출생에서 외국인 및 귀화자 모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 (28.2%), 중국(16.3%), 태국(5.4%) 순임 - 전년대비 베트남, 중국의 비중은 각각 7.5%p, 0.5%p 감소, 태국의 비중은 1.0%p 증가 < 모의 주요 국적별 출생아 수 추이 > - 4 - 2022년 다문화 혼인 1. 혼인 건수 2022년 다문화 혼인은 17,428건으로 전년대비 25.1%(3,502건) 증가○ 2022년 다문화 혼인은 17,428건으로 전년(13,926건)보다 3,502건(25.1%) 증가함- 2022년 전체 혼인은 19만 2천 건으로 전년보다 0.4%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혼인은 25.1%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컸음 ○ 전체 혼인에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9.1%로 전년보다 1.9%p 증가함[표 1] 다문화 혼인 건수 및 전체 혼인 중 다문화 비중, 2020-2022년(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혼인 건수 213,502 192,507 191,690 16,177 13,926 17,428 197,325 178,581 174,262 (비중) 100.0 100.0 100.0 7.6 7.2 9.1 92.4 92.8 90.9 전년 대비 증 감 -25,657 -20,995 -817 -8,544 -2,251 3,502 -17,113 -18,744 -4,319 증감률 -10.7 -9.8 -0.4 -34.6 -13.9 25.1 -8.0 -9.5 -2.4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 다문화 혼인 건수 및 전체 혼인 중 다문화 비중 추이, 2012-2022년 - 5 - 2. 다문화 유형별 혼인 외국인 아내(66.8%), 외국인 남편(20.0%), 귀화자(13.2%) 순으로 많음○ 외국인 아내의 혼인이 11,649건으로 가장 많고, 외국인 남편은 3,479건, 귀화자는 2,300건 순으로 많음 - 외국인 아내의 혼인은 전년대비 34.7%, 외국인 남편은 13.7%, 귀화자는 3.5% 증가함 ○ 외국인 아내의 비중은 전년보다 4.7%p 증가한 반면, 외국인 남편의 비중은 2.0%p, 귀화자의 비중은 2.8%p 각각 감소함 [표 2] 다문화 혼인 유형별 규모 및 비중, 2020-2022년 (단위: 건, %) 2020 2021 2022 전년대비비중 비중 비중 증감 증감률다문화 16,177 100.0 13,926 100.0 17,428 100.0 3,502 25.1 외국인 아내1) 10,737 66.4 8,645 62.1 11,649 66.8 3,004 34.7 외국인 남편2) 3,024 18.7 3,059 22.0 3,479 20.0 420 13.7 귀화자3) 2,416 14.9 2,222 16.0 2,300 13.2 78 3.5 1) 외국인 아내: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 + 외국인 여자의 혼인 2) 외국인 남편: 외국인 남자 +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의 혼인 3) 귀화자: 남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라도 귀화자인 경우 [그림 2] 다문화 혼인 유형별 비중, 2012년, 2021년, 2022년 - 6 - 3. 성·연령별 혼인 가. 남편 남편의 다문화 혼인 연령은 45세 이상이 31.2%로 가장 많음○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경우 45세 이상의 비중이 31.2%로 가장 많고, 30대 초반(19.3%), 30대 후반(17.1%)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40대 이상, 30대 후반 및 19세 이하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20대 및 30대 초반의 비중은 감소함 - 다문화 혼인 남편 중 외국인 또는 귀화자는 19세 이하, 20대 초반, 30대 후반, 40대 초반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함- 다문화 혼인 남편 중 출생기준 한국인은 40대 이상에서 비중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함 [표 3] 남편의 혼인 연령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4) 외국인․귀화자2) 출생기준 한국인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92,507 191,690 13,926 17,428 4,612 5,147 9,314 12,281 178,581 174,26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1 0.1 0.1 0.1 0.1 0.1 0.1 0.1 0.1 0.1 20~24세 2.2 2.1 3.7 3.0 5.5 5.7 2.8 1.9 2.1 2.0 25~29세 21.3 19.6 16.9 13.5 21.8 20.3 14.5 10.7 21.6 20.2 30~34세 36 35.7 21.8 19.3 29.8 29.3 17.9 15.2 37.1 37.3 35~39세 18.6 18.9 17.1 17.1 17.2 19.8 17.0 16.0 18.7 19.1 40~44세 7.7 8.5 12.7 15.7 8.1 9.3 15.0 18.4 7.3 7.8 45세이상 14.1 15 27.7 31.2 17.5 15.6 32.7 37.8 13.1 13.4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남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로 다문화 혼인에 해당되지만, 남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3] 남편의 혼인 연령별 비중, 2022년 - 7 - 나. 아내 아내의 다문화 혼인 연령은 30대 초반이 24.6%로 가장 많음○ 다문화 혼인을 한 아내의 경우 30대 초반이 24.6%로 가장 많고, 20대 후반(24.0%), 30대 후반(14.9%)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19세 이하, 20대 초반, 30대 후반 및 40대 초반의 비중은 증가, 나머지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함 - 다문화 혼인 아내 중 외국인 또는 귀화자는 19세 이하, 20대 초반, 30대 후반 비중이 증가, 나머지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함 - 다문화 혼인 아내 중 출생기준 한국인은 30대 및 40대 초반에서 비중이증가, 나머지 연령대의 비중은 감소함 [표 4] 아내의 혼인 연령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4) 외국인․귀화자2) 출생기준 한국인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92,507 191,690 13,926 17,428 10,768 13,860 3,158 3,568 178,581 174,26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4 0.5 1.1 3.1 1.3 3.8 0.4 0.3 0.4 0.3 20~24세 5.2 5.3 11.9 14.3 13.3 16.7 7.1 5.3 4.7 4.4 25~29세 33.0 30.8 26.0 24.0 25.2 23.2 28.4 27.2 33.6 31.5 30~34세 32.1 33.5 25.1 24.6 23.8 22.6 29.6 32.6 32.7 34.4 35~39세 12.6 12.9 14.5 14.9 14.2 14.5 15.4 16.4 12.5 12.7 40~44세 5.4 5.7 7.8 7.8 8.0 7.8 7.1 7.7 5.2 5.5 45세이상 11.2 11.3 13.7 11.3 14.2 11.5 11.9 10.6 11.0 11.3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로 다문화 혼인에 해당되지만, 여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4] 아내의 혼인 연령별 비중, 2022년 - 8 - 4. 종류(초․재혼)별 혼인 남편과 아내 모두 초혼이 57.3%로 가장 높음 ○ 다문화 혼인 중 남편과 아내 모두 초혼인 비중은 57.3%로 가장 높고, 모두 재혼(18.0%), 아내만 재혼(13.6%), 남편만 재혼(11.1%) 순으로 높음○ 다문화 혼인 중 남편과 아내 모두 초혼인 비중은 전년대비 2.0%p 증가, 모두 재혼인 비중은 전년보다 2.0%p 감소함 [표 5] 혼인종류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91,834 190,570 13,253 16,309 178,581 174,26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남편(초)+아내(초) 77.8 77.8 55.3 57.3 79.5 79.7 남편(초)+아내(재) 6.1 6.0 15.0 13.6 5.4 5.2 남편(재)+아내(초) 3.7 3.9 9.7 11.1 3.3 3.2 남편(재)+아내(재) 12.4 12.3 20.0 18.0 11.8 11.8 * 혼인종류 미상 제외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5] 혼인종류별 비중, 2022년 [표 6] 다문화 혼인 중 남편과 아내의 유형 및 혼인종류별 비중, 2021-2022년(단위: 건, %) 남편 아내 외국인․귀화자1) 출생기준 한국인2) 외국인․귀화자1) 출생기준 한국인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4,348 4,741 8,905 11,568 10,279 13,068 2,974 3,24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남편(초)+아내(초) 58.2 57.7 53.9 57.1 49.4 52.6 75.6 75.9 남편(초)+아내(재) 18.1 19.0 13.5 11.4 17.1 14.7 7.7 9.3 남편(재)+아내(초) 5.6 5.9 11.7 13.3 10.8 12.3 6.0 6.5 남편(재)+아내(재) 18.1 17.4 20.9 18.2 22.7 20.4 10.7 8.3 * 혼인종류 미상 제외 1) 외국인․귀화자: 혼인 당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배우자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혼인에 해당되지만, 혼인 당사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 9 - 5. 평균 혼인 연령 다문화 평균 초혼 연령은 남편 36.6세, 아내 29.9세 ○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6.6세로 전년보다 1.6세 증가, 아내의 평균 초혼 연령은 29.9세로 전년보다 0.5세 감소함 - 다문화 혼인을 한 남녀 간의 평균 초혼 연령 차이는 6.7세로 전년보다2.1세 증가함 ○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재혼 연령은 49.7세, 아내는 40.4세로 전년보다 남편은 0.3세 증가, 아내는 0.6세 감소함 [표 7] 평균 혼인 연령, 2021-2022년 (단위: 세)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외국인․귀화자2) 출생기준 한국인3) 혼인4)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초혼 연령 남편 33.4 33.7 35.1 36.6 33.2 33.2 36.1 38.1 33.2 33.5 아내 31.1 31.3 30.5 29.9 29.9 29.1 31.9 32.4 31.1 31.4 남녀 연령차 2.3 2.5 4.6 6.7 3.3 4.1 4.2 5.7 2.1 2.1 재혼 연령 남편 50.7 51.0 49.4 49.7 46.7 45.8 50.3 50.7 50.8 51.3 아내 46.5 46.8 41.0 40.4 40.5 40.0 44.9 43.1 47.4 47.9 남녀 연령차 4.2 4.2 8.4 9.3 6.2 5.8 5.4 7.6 3.5 3.4 * 연령미상 및 혼인종류 미상 제외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혼인 당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배우자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혼인에 해당되지만, 혼인 당사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6] 평균 혼인 연령, 2022년 <평균 초혼 연령> <평균 재혼 연령> - 10 - 연령차는 10세 이상 남편 연상이 35.0%로 가장 많음 ○ 다문화 혼인에서 남편 연상부부가 74.5%로 가장 많고, 아내 연상이 19.1%, 동갑이 6.4%를 차지함 -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5.0%로 전년보다 10.2%p 증가함○ 다문화 혼인은 남편 10세 이상 연상 부부의 비중이 특히 높음 [표 8] 부부 연령차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혼인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92,507 191,690 13,926 17,428 178,581 174,26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남 편 연 상 소 계 64.3 64.7 71.4 74.5 63.7 63.7 1~2세 23.9 23.5 13.7 12.0 24.7 24.6 3~5세 24.1 23.9 17.4 14.6 24.6 24.8 6~9세 11.1 10.9 15.6 12.8 10.8 10.7 10세이상 5.1 6.4 24.8 35.0 3.6 3.6 동갑 15.1 14.8 7.5 6.4 15.7 15.7 아 내 연 상 소 계 20.6 20.5 21.0 19.1 20.5 20.6 1~2세 12.6 12.5 8.9 8.5 12.9 13.0 3~5세 5.6 5.6 6.8 6.2 5.5 5.6 6~9세 1.8 1.8 3.6 3.0 1.7 1.7 10세이상 0.5 0.5 1.8 1.4 0.4 0.4 1) 다문화 혼인: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혼인: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7] 부부 연령차별 비중, 2022년 - 11 - 6. 출신 국적별 혼인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23.0%), 중국(17.8%), 태국(11.1%)순으로 많음 ○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또는 귀화자 남편의 출신 국적은 미국이 8.0%로 가장 많고, 중국(6.5%), 베트남(3.4%)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비중은 미국과 중국의 각각 1.3%p, 2.0%p 감소, 베트남은 0.3%p 증가하였고, 건수로는 미국과 베트남은 각각 93건, 156건 증가, 중국은 54건 감소함 ○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또는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베트남이 23.0%로 가장 많고, 중국(17.8%), 태국(11.1%)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비중은 베트남은 9.4%p 증가, 중국과 태국은 각각 6.1%p, 0.3%p 감소하였고, 건수로는 베트남과 태국은 각각 2,118건, 343건증가, 중국은 220건 감소함 [표 9] 출신 국적별 혼인 건수 및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남편 2021 비중 2022 비중 아내 2021 비중 2022 비중건수 13,926 100.0 17,428 100.0 건수 13,926 100.0 17,428 100.0 국 적 * 한국 9,314 66.9 12,281 70.5 국 적 * 한국 3,158 22.7 3,568 20.5 외국1) 4,612 33.1 5,147 29.5 외국1) 13,063 77.3 10,768 79.5 미국 1,305 9.4 1,398 8.0 베트남 1,883 13.5 4,001 23.0 중국 1,180 8.5 1,126 6.5 중국 3,324 23.9 3,104 17.8 베트남 445 3.2 601 3.4 태국 1,593 11.4 1,936 11.1 캐나다 226 1.6 313 1.8 미국 496 3.6 645 3.7 영국 112 0.8 166 1.0 일본 729 5.2 615 3.5 호주 77 0.6 153 0.9 필리핀 326 2.3 576 3.3 캄보디아 85 1.0 138 0.8 캄보디아 225 1.6 549 3.2 일본 145 0.6 133 0.8 러시아 362 2.6 298 1.7 대만 87 0.6 81 0.5 대만 279 2.0 213 1.2 프랑스 86 0.6 70 0.4 몽골 195 1.4 192 1.1 기타 864 6.2 968 5.6 기타 1,356 9.7 1,731 9.9 * 국적미상 제외 1) 귀화자는 귀화 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혼인 당시 외국 국적으로 분류 [그림 8] 출신 국적별 혼인 비중, 2022년 - 12 - 7. 지역별 다문화 혼인 다문화 혼인 비중은 제주가 가장 높고, 세종, 대전 순으로 낮음○ 다문화 혼인 건수는 경기(5,127건), 서울(3,422건), 인천(1,080건) 순으로 많음- 다문화 혼인 건수는 전년대비 모든 시도에서 증가함 ○ 각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0.8%), 충남(10.6%), 전남(10.4%) 순으로 높고, 세종(5.7%), 대전(6.8%), 울산(6.9%) 순으로 낮음[표 10] 지역별* 혼인 건수 및 다문화 비중, 2020-2022년 (단위: 건, %) 전 체(A) 다문화 혼인(B) 다문화 비중(B/A)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년대비 2020 2021 2022 증감 증감률 전 국** 213,502 191,507 191,690 16,177 13,926 17,428 3,502 25.1 7.6 7.2 9.1 서 울 45,709 37,928 36,730 3,482 3,112 3,422 310 10.0 9.3 8.2 9.3 부 산 12,292 11,221 10,782 694 614 755 141 23.0 7.0 5.5 7.0 대 구 8,455 7,402 7,621 506 474 600 126 26.6 7.9 6.4 7.9 인 천 11,798 11,080 11,075 979 887 1,080 193 21.8 9.8 8.0 9.8 광 주 5,626 4,964 4,981 355 274 355 81 29.6 7.1 5.5 7.1 대 전 6,024 5,450 5,739 341 278 391 113 40.6 6.8 5.1 6.8 울 산 4,758 4,109 4,056 295 215 278 63 29.3 6.9 5.2 6.9 세 종 1,867 1,644 1,686 66 69 96 27 39.1 5.7 4.2 5.7 경 기 58,800 55,619 55,310 4,771 4,341 5,127 786 18.1 9.3 7.8 9.3 강 원 5,923 5,670 5,632 416 317 432 115 36.3 7.7 5.6 7.7 충 북 6,747 5,946 6,272 519 440 630 190 43.2 10.0 7.4 10.0 충 남 8,605 8,120 8,141 773 649 859 210 32.4 10.6 8.0 10.6 전 북 6,142 5,397 5,485 530 378 568 190 50.3 10.4 7.0 10.4 전 남 6,417 6,249 6,268 519 436 654 218 50.0 10.4 7.0 10.4 경 북 9,159 8,262 8,325 746 493 802 309 62.7 9.6 6.0 9.6 경 남 12,100 10,662 10,693 879 661 972 311 47.0 9.1 6.2 9.1 제 주 3,024 2,686 2,759 266 208 297 89 42.8 10.8 7.7 10.8 * 부부 중 국내주소지 기준 집계 (부부가 모두 국내주소인 경우 남편의 주소지 기준), ** 전국은 국외 포함 - 13 - 2022년 다문화 이혼 1. 이혼 건수 2022년 다문화 이혼은 7,853건으로 전년대비 6.8%(571건) 감소○ 2022년 다문화 이혼은 7,853건으로 전년(8,424건)보다 571건(-6.8%) 감소함- 2022년 전체 이혼(9만 3천 건)은 전년보다 8.3% 감소하였으며, 다문화이혼은 6.8% 감소, 2012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 추세임 ○ 전체 이혼에서 다문화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8.4%로 전년(8.3%)보다 0.1%p 증가함 [표 11] 다문화 이혼 건수 및 전체 이혼 중 다문화 비중, 2020-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이혼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이혼 건수 106,500 101,673 93,232 8,685 8,424 7,853 97,815 93,249 85,379 (비중) 100.0 100.0 100.0 8.2 8.3 8.4 91.8 91.7 91.6 전년 대비 증 감 -4,331 -4,827 -8,441 -1,183 -261 -571 -3,148 -4,566 -7,870 증감률 -3.9 -4.5 -8.3 -12.0 -3.0 -6.8 -3.1 -4.7 -8.4 1) 다문화 이혼: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9] 다문화 이혼 건수 및 전체 이혼 중 다문화 비중 추이, 2012-2022년 - 14 - 2. 다문화 유형별 이혼 외국인 아내(48.1%), 귀화자(35.0%), 외국인 남편(16.9%) 순으로 많음○ 외국인 아내의 이혼이 3,777건으로 가장 많고, 귀화자는 2,752건, 외국인 남편은 1,324건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은 9.1%, 외국인 남편과의 이혼은 3.2%, 귀화자와의 이혼은 5.2% 감소함 ○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 비중은 1.2%p 감소한 반면, 외국인 남편, 귀화자와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0.6%p 증가함 [표 12] 다문화 이혼 유형별 규모 및 비중, 2020-2022년 (단위: 건, %) 2020 2021 2022 전년대비비중 비중 비중 증감 증감률다문화 8,685 100.0 8,424 100.0 7,853 100.0 -571 -6.8 외국인 아내1) 4,176 48.1 4,154 49.3 3,777 48.1 -377 -9.1 외국인 남편2) 1,321 15.2 1,368 16.2 1,324 16.9 -44 -3.2 귀화자3) 3,188 36.7 2,902 34.4 2,752 35.0 -150 -5.2 1) 외국인 아내: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 + 외국인 여자의 이혼 2) 외국인 남편: 외국인 남자 +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의 이혼 3) 귀화자: 남녀 모두 또는 어느 한쪽이라도 귀화자인 경우 [그림 10] 다문화 이혼 유형별 비중, 2012년, 2021년, 2022년 - 15 - 3. 평균 이혼 연령 및 미성년자녀 유무별 이혼 다문화 평균 이혼 연령은 남편 50.1세, 아내 41.3세 ○ 다문화 이혼을 한 남편의 평균 이혼 연령은 50.1세로 전년과 유사, 아내의 평균 이혼 연령은 41.3세로 전년보다 0.7세 증가함 - 다문화 이혼을 한 남녀 간의 평균 이혼 연령의 차이는 8.9세로,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평균 이혼 연령 차이 2.8세보다 6.1세 높음 [표 13] 평균 이혼 연령, 2021-2022년 (단위: 세) 전 체 다문화 이혼1) 출생기준 한국인 외국인․귀화자 간의 이혼4) 2) 출생기준 한국인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남편 50.1 49.9 50.1 50.1 47.4 47.2 51.1 51.3 50.2 49.9 아내 46.8 46.6 40.6 41.3 39.3 40.1 46.5 46.4 47.3 47.1 * 연령미상 제외 1) 다문화 이혼: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이혼 당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배우자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이혼에 해당되지만, 이혼 당사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1] 평균 이혼 연령, 2022년 미성년자녀가 있는 부부의 이혼 비중은 38.9%로 전년보다 증가 ○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 중 미성년자녀가 있는 비중은 38.9%로 출생기준한국인 간의 미성년자녀가 있는 비중 43.6%보다 낮음 [표 14] 미성년자녀 유무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이혼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99,053 90,078 8,071 7,472 90,982 82,60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미성년자녀 있음 41.6 43.2 36.3 38.9 42.0 43.6 미성년자녀 없음 58.4 56.8 63.7 61.1 58.0 56.4 * 미성년자녀 유무 미상 제외 1) 다문화 이혼: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 16 - 4.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이혼 평균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10.0년, 전년대비 0.6년 증가 *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실제 이혼까지의 동거기간 ○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의 결혼생활 지속기간은 5년 미만이 31.8%로 가장 많고, 10년 이상~15년 미만(23.6%), 5년 이상~10년 미만(22.1%) 순으로 많음- 다문화 이혼 중 결혼생활 지속기간 5년 미만의 비중은 2012년 53.7%에서 2022년 31.8%까지 감소하였으나,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17.4%)보다는높은 수준임 [표 15]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년) 전 체 다문화 이혼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01,673 93,232 8,424 7,853 93,249 85,379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5년 미만 18.8 18.6 33.8 31.8 17.4 17.4 1년미만 2.7 2.7 5.9 4.8 2.4 2.5 1~3년미만 8.4 7.9 16.7 13.7 7.7 7.3 3~5년미만 7.7 8.0 11.2 13.3 7.4 7.5 5년이상~10년미만 17.1 18.0 22.8 22.1 16.5 17.6 10년이상~15년미만 14.3 14.8 24.1 23.6 13.4 14.0 15년이상~20년미만 11.1 12.0 13.2 15.2 10.9 11.7 20년이상 38.7 36.7 6.2 7.3 41.7 39.4 평균 결혼생활 기간 17.3 17.0 9.4 10.0 18.0 17.7 1) 다문화 이혼: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2]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비중, 2022년 - 17 - 5. 종류(협의․재판)별 이혼 다문화 이혼 중 협의이혼 비중은 55.5%, 재판이혼은 44.5% 차지○ 다문화 이혼을 한 부부 중 협의이혼 비중은 55.5%, 재판이혼은 44.5% 차지함- 협의이혼의 비중은 전년보다 1.8%p 증가함 ○ 다문화 이혼의 협의이혼 비중은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협의이혼 비중(79.4%)보다 23.9%p 낮음 [표 16] 이혼종류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전 체 다문화 이혼1)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101,635 93,181 8,386 7,802 93,249 85,379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협 의 77.9 77.4 53.7 55.5 80.1 79.4 재 판 22.1 22.6 46.3 44.5 19.9 20.6 * 이혼종류 미상 제외 1) 다문화 이혼: 남녀 어느 한쪽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간의 이혼: 남녀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3] 이혼종류별 비중, 2022년 [표 17] 다문화 이혼 중 남편과 아내 유형 및 이혼종류별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남편 아내 외국인․귀화자1) 출생기준 한국인2) 외국인․귀화자1) 출생기준 한국인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건수* 2,233 2,226 6,153 5,576 6,929 6,394 1,457 1,40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협 의 52.4 55.4 54.2 55.6 55.0 56.8 47.4 49.7 재 판 47.6 44.6 45.8 44.4 45.0 43.2 52.6 50.3 * 이혼종류 미상 제외 1) 외국인․귀화자: 이혼 당사자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배우자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이혼에 해당되지만, 이혼 당사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 18 - 6. 출신 국적별 이혼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은 중국(33.8%), 베트남(25.3%), 태국(4.2%) 순으로 많음 ○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 출신의 남편 국적은 중국이 13.0%로 가장 많고, 일본(3.6%), 미국(3.3%)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비중은 중국 0.2%p 감소, 일본은 유사, 미국은 0.1%p 증가하였고, 건수로는 중국은 93건, 일본은 18건, 미국은 9건 감소함 ○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 출신의 아내 국적은 중국이 33.8%로 가장 많고, 베트남(25.3%), 태국(4.2%) 순으로 많음 - 전년대비 비중은 중국과 베트남은 각각 0.1%p, 2.3%p 감소, 태국은 0.7%p 증가하였고, 건수로는 중국과 베트남은 각각 198건, 336건 감소, 태국은 34건 증가함 [표 18] 출신 국적별 이혼 건수 및 비중, 2021-2022년 (단위: 건, %) 남편 2021 비중 2022 비중 아내 2021 비중 2022 비중건수 8,423 100.0 7,852 100.0 건수 8,423 100.0 7,852 100.0 국 적 * 한국 6,164 73.2 5,591 71.2 국 적 * 한국 1,481 17.6 1,442 18.4 외국1) 2,259 26.8 2,261 28.8 외국1) 6,942 82.4 6,410 81.6 중국 1,116 13.2 1,023 13.0 중국 2,853 33.9 2,655 33.8 일본 304 3.6 286 3.6 베트남 2,319 27.5 1,983 25.3 미국 269 3.2 260 3.3 태국 292 3.5 326 4.2 베트남 148 1.8 184 2.3 필리핀 324 3.8 294 3.7 캐나다 52 0.6 46 0.6 캄보디아 244 2.9 213 2.7 대만 32 0.4 36 0.5 일본 151 1.8 165 2.1 호주 21 0.2 33 0.4 미국 148 1.8 151 1.9 파키스탄 37 0.4 32 0.4 우즈베키스탄 115 1.4 102 1.3 영국 26 0.3 26 0.3 몽골 97 1.2 85 1.1 캄보디아 11 0.1 26 0.3 캐나다 70 0.8 66 0.8 기타 243 2.9 309 3.9 기타 329 3.9 370 4.7 * 국적미상 제외 1) 귀화자는 귀화 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이혼 당시 외국 국적으로 분류 [그림 14] 출신 국적별 이혼 비중, 2022년 - 19 - 7. 지역별 다문화 이혼 다문화 이혼 비중은 서울, 제주가 높고, 세종, 대구는 낮음 ○ 지역별 다문화 이혼 건수는 경기(2,315건)․서울(1,358건)․인천(550건) 순임- 다문화 이혼 건수는 강원(12.9%), 제주(7.7%) 2개 시도는 증가, 세종(-31.6%), 광주(-22.6%) 등 15개 시도는 감소함 ○ 각 지역별로 다문화 이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서울(10.0%), 제주(9.6%), 경기(9.1%) 순으로 높고, 세종(4.7%), 대구(5.9%), 광주(6.1%) 순으로 낮음[표 19] 지역별* 이혼 건수 및 다문화 비중, 2020-2022년 (단위: 건, %) 전 체(A) 다문화 이혼(B) 다문화 비중(B/A)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년대비 2020 2021 2022 증감 증감률 전 국** 106,500 101,673 93,232 8,685 8,424 7,853 -571 -6.8 8.2 8.3 8.4 서 울 16,667 15,398 13,569 1,538 1,454 1,358 -96 -6.6 9.2 9.4 10.0 부 산 6,567 6,321 5,592 427 400 345 -55 -13.8 6.5 6.3 6.2 대 구 4,386 4,150 3,715 259 264 218 -46 -17.4 5.9 6.4 5.9 인 천 7,078 6,892 6,152 583 597 550 -47 -7.9 8.2 8.7 8.9 광 주 2,626 2,596 2,379 187 186 144 -42 -22.6 7.1 7.2 6.1 대 전 3,036 2,783 2,512 200 192 165 -27 -14.1 6.6 6.9 6.6 울 산 2,475 2,442 2,180 170 158 154 -4 -2.5 6.9 6.5 7.1 세 종 610 630 552 30 38 26 -12 -31.6 4.9 6.0 4.7 경 기 28,491 27,769 25,339 2,438 2,431 2,315 -116 -4.8 8.6 8.8 9.1 강 원 3,384 3,194 3,147 206 194 219 25 12.9 6.1 6.1 7.0 충 북 3,540 3,309 3,298 288 296 265 -31 -10.5 8.1 8.9 8.0 충 남 5,058 4,858 4,596 431 433 414 -19 -4.4 8.5 8.9 9.0 전 북 3,789 3,770 3,398 333 318 287 -31 -9.7 8.8 8.4 8.4 전 남 3,935 3,795 3,597 376 382 301 -81 -21.2 9.6 10.1 8.4 경 북 5,602 5,139 4,957 439 393 391 -2 -0.5 7.8 7.6 7.9 경 남 7,457 7,086 6,610 590 529 525 -4 -0.8 7.9 7.5 7.9 제 주 1,771 1,512 1,603 168 143 154 11 7.7 9.5 9.5 9.6 * 부부 중 국내주소지 기준 집계 (부부가 모두 국내주소인 경우 남편의 주소지 기준), ** 전국은 국외 포함 - 20 - 2022년 다문화 출생 1. 출생아 수 및 성비 2022년 다문화 출생아는 12,526명으로 전년대비 12.5%(1,796명) 감소○ 2022년 다문화 출생아는 12,526명으로 전년(14,322명)보다 1,796명(-12.5%) 감소함- 2022년 전체 출생이 24만 9천 명으로 전년보다 4.4% 감소한 데 비해, 다문화 부모의 출생아는 12.5%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컸음- 전체 출생에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로 전년보다 0.5%p 감소함○ 다문화 출생아 중 남아는 6,410명, 여아는 6,116명, 성비(여아 100명당 남아)는104.8명으로,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의 출생성비 104.7명보다 높음[표 20] 다문화 출생아 수 및 출생성비, 2020-2022년 (단위: 명, %, 여아 100명당 남아 수)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출생아 수 272,337 260,562 249,186 16,421 14,322 12,526 253,226 244,144 234,051 비 중 100.0 100.0 100.0 6.0 5.5 5.0 93.0 93.7 93.9 전년 대비 증 감 -30,339 -11,775 -11,376 -1,518 -2,099 -1,796 -28,448 -9,082 -10,093 증감률 -10.0 -4.3 -4.4 -8.5 -12.8 -12.5 -10.1 -3.6 -4.1 남 아 139,362 133,516 127,454 8,265 7,322 6,410 129,763 125,164 119,731 여 아 132,975 127,046 121,732 8,156 7,000 6,116 123,463 118,980 114,320 출생성비 104.8 105.1 104.7 101.3 104.6 104.8 105.1 105.2 104.7 * 부모 국적 미상(기아, 영아사망 등) 포함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5] 다문화 출생아 수 및 전체 출생 중 다문화 비중 추이, 2012-2022년 - 21 - 2. 출산 순위별 출생 다문화 출생 중 첫째아의 비중은 52.9%로 전년대비 0.7%p 감소○ 다문화 출생 중 첫째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52.9%로 가장 높았고, 둘째아는33.2%, 셋째아 이상은 13.8%를 차지함 - 다문화 출생 중 첫째아 및 둘째아의 비중은 전년보다 각각 0.7%p, 0.5%p 감소한 반면 셋째아 이상의 비중은 1.1%p 증가함 ○ 다문화 출생 중 첫째아 및 둘째아의 비중은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의 첫째아 둘째아보다 각각 5.5%p, 0.7%p 낮으나, 셋째아 이상 비중은 6.1%p 높음[표 21]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2020-2022년 (단위: 명, %)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출 생 아 수 계* 272,337 260,562 249,186 16,421 14,322 12,526 253,226 244,144 234,051 첫째아 149,211 145,039 144,951 9,325 7,682 6,629 138,197 136,057 136,662 둘째아 97,828 92,521 83,933 5,128 4,822 4,160 92,200 87,315 79,285 셋째아 이상 25,177 22,913 20,215 1,967 1,818 1,733 22,829 20,772 18,104 비 중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첫째아 54.8 55.7 58.2 56.8 53.6 52.9 54.6 55.7 58.4 둘째아 35.9 35.5 33.7 31.2 33.7 33.2 36.4 35.8 33.9 셋째아 이상 9.2 8.8 8.1 12.0 12.7 13.8 9.0 8.5 7.7 * 출산 순위 미상 포함 ** 출산 순위 미상 제외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6] 출산 순위별 비중 추이, 2012년, 2022년 <다문화 부모>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2012년 2022년 - 22 - 3. 다문화 유형별 출생 외국인 모(61.0%), 외국인 부(20.0%), 귀화자(19.0%) 순으로 많음○ 외국인 모의 출생아수는 7,637명으로 가장 많았고, 외국인 부(2,505명), 귀화자(2,384명) 순임 - 외국인 모, 귀화자 유형의 다문화 출생아 수는 전년보다 각각 18.1%, 14.4%감소한 반면, 외국인 부는 13.2% 증가함 ○ 외국인 모 및 귀화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보다 각각 4.1%p, 0.4%p감소한 반면, 외국인 부의 비중은 4.6%p 증가함 [표 22] 다문화 출생 유형별 규모 및 비중, 2020-2022년 (단위: 명, %) 2020 2021 2022 전년대비비중 비중 비중 증감 증감률다문화 출생 16,421 100.0 14,322 100.0 12,526 100.0 -1,796 -12.5 외국인 모1) 10,996 67.0 9,325 65.1 7,637 61.0 -1,688 -18.1 외국인 부2) 2,162 13.2 2,212 15.4 2,505 20.0 293 13.2 귀화자3) 3,263 19.9 2,785 19.4 2,384 19.0 -401 -14.4 1) 외국인 모: 출생기준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2) 외국인 부: 외국인 부와 출생기준 한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3) 귀화자: 부와 모 중 한쪽이 귀화자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그림 17] 다문화 출생 유형별 비중, 2012년, 2021년, 2022년 - 23 - 4. 모(母)의 연령별 출산 모(母)의 연령별 출산은 30대 초반이 36.1%, 30대 후반이 26.4% 차지○ 다문화 출생에서 모의 연령별 출생아 비중은 30대 초반이 36.1%로가장 높았고, 30대 후반 26.4%, 20대 후반 21.5% 순임 - 다문화 부모 중 외국인 또는 귀화자 모의 연령 비중은 30대 초반 34.8%, 20대 후반 24.2%, 30대 후반 23.8% 순으로 높음 - 다문화 부모 중 출생기준 한국인 모의 연령 비중은 30대 초반이 41.0%, 30대 후반 36.4%, 20대 후반 11.1% 순으로 높음 [표 23] 모의 연령별 출생아 비중, 2021-2022년 (단위: 명, %)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외국인․귀화자 부모4) 모2) 출생기준 한국인 모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출생아수* 260,449 249,098 14,320 12,523 12,026 9,935 2,294 2,588 244,139 234,051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9세이하 0.2 0.2 0.6 0.2 0.7 0.2 0.0 0.2 0.1 0.1 20~24세 2.9 2.4 14.4 9.6 16.9 11.8 1.6 1.2 2.1 1.9 25~29세 17.6 15.9 23.2 21.5 25.2 24.2 12.7 11.1 17.2 15.6 30~34세 44.3 45.8 34.1 36.1 32.9 34.8 40.1 41.0 45.0 46.6 35~39세 29.3 29.2 23.0 26.4 20.3 23.8 37.3 36.4 29.7 29.4 40~44세 5.6 6.3 4.5 5.9 3.8 4.9 8.0 9.6 5.7 6.3 45세이상 0.1 0.1 0.2 0.3 0.2 0.3 0.3 0.5 0.1 0.1 * 모의 연령미상 제외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모: 모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모: 부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출생에 해당되지만, 모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8] 모의 연령별 출생아 비중, 2012년, 2022년 - 24 - 5.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 다문화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세, 전년대비 1.0세 증가○ 다문화 출생에서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첫째아가 32.0세, 둘째아가 32.3세, 셋째아 이상이 34.2세임 -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 모두 모의 연령이 전년보다 증가함○ 다문화 출생에서 모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첫째아 평균 출산연령은 31.1세, 둘째아는 31.7세, 셋째아는 34.0세로 모두 전년보다 증가함 - 다문화 부모 중 출생기준 한국인 모인 경우, 첫째아는 34.3세로 전년보다 증가한 반면, 둘째아는 35.2세, 셋째아 이상은 36.0세로 전년보다 감소함[표 24] 모의 평균 출산연령, 2021-2022년 (단위: 세)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4) 외국인․귀화자 모2) 출생기준 한국인 모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전 체 33.4 33.5 31.4 32.4 30.8 31.8 34.4 34.7 33.5 33.6 첫째아 32.6 32.8 30.6 32.0 29.8 31.1 33.8 34.3 32.7 32.9 둘째아 34.1 34.2 31.8 32.3 31.3 31.7 35.3 35.2 34.2 34.3 셋째아 이상 35.5 35.6 33.7 34.2 33.5 34.0 36.6 36.0 35.7 35.8 * 연령미상 제외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모: 모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모: 부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출생에 해당되지만, 모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19] 출산 순위별 모의 평균 출산연령, 2022년 - 25 - 6. 결혼생활 기간별 출생 출산까지 결혼생활 기간*은 평균 4.1년으로 전년대비 0.3년 증가* 법적인 결혼(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출산까지의 기간 ○ 다문화 부모의 출산까지의 결혼생활 기간은 4.1년으로 전년보다 0.3년 증가함- 출산 순위별 부모의 결혼생활 기간은 첫째아가 3.1년, 둘째아4.8년, 셋째아 이상이 6.7년임 ○ 다문화 부모의 첫째아 출산까지 결혼생활 기간이 2년 미만인 비중은 39.1%로 전년보다 10.1%p 감소함 - 외국인 또는 귀화자 모인 경우, 결혼생활 기간 2년 미만의 첫째아 출산 비중은 41.6%이며 전년보다 10.5%p 감소함 [표 25] 출산 순위별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2021-2022년 (단위: 년)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4) 외국인․귀화자 모2) 출생기준 한국인 모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전 체 3.7 3.7 3.8 4.1 3.8 4.1 4.1 4.3 3.7 3.7 첫째아 2.4 2.5 2.7 3.1 2.6 2.9 3.3 3.6 2.4 2.5 둘째아 4.9 5.0 4.7 4.8 4.5 4.7 5.4 5.2 4.9 5.0 셋째아 이상 7.3 7.4 6.5 6.7 6.5 6.7 7.0 6.7 7.4 7.4 * 결혼생활 기간 미상 제외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모: 모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모: 부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출생에 해당되지만, 모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4)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표 26] 첫째아 출산시 부모의 결혼생활 기간 비중, 2021-2022년 (단위: 명, %) 전 체 다문화 부모1)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4) 외국인․귀화자 모2) 출생기준 한국인 모3)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2021 2022 출생아 수* 140,199 138,243 7,544 6,470 6,112 4,829 1,432 1,641 132,641 131,74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2년 미만 52.4 50.0 49.2 39.1 52.1 41.6 36.9 31.7 52.6 50.6 2~3년 30.7 30.9 31.6 34.8 31.7 36.0 31.3 31.3 30.7 30.8 4~5년 10.9 12.2 10.4 14.8 8.7 12.8 18.0 20.7 10.9 12.1 6~9년 5.1 5.9 6.6 8.7 5.3 7.1 12.4 13.3 5.0 5.8 10년 이상 0.9 0.9 2.1 2.7 2.3 2.6 1.4 2.9 0.8 0.8 * 결혼생활 기간 미상 제외 1) 다문화 부모: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외국인․귀화자 모: 모가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3) 출생기준 한국인 모: 부는 외국인 또는 귀화자로 다문화 출생에 해당되지만, 모는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4) 출생기준 한국인 부모: 부모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 26 - 7. 부모(父母)의 출신 국적별 출생 외국인 및 귀화자 모(母)의 국적 비중은 베트남(28.2%), 중국(16.3%), 태국·일본(5.4%) 순임 ○ 외국 출신 부(父)의 국적 비중은 미국이 7.4%로 가장 높고, 중국(6.8%), 베트남(3.9%) 순임 - 전년대비 비중은 대부분의 국적에서 증가하였으나, 출생아 수는 중국, 베트남 등에서 감소함 ○ 외국 출신 모(母)의 국적 비중은 베트남이 28.2%로 가장 높고, 중국(16.3%), 태국·일본(5.4%) 순임 - 전년대비 비중 및 출생아수는 태국, 일본, 미국 등은 증가, 베트남, 중국, 필리핀 등은 감소함 [표 27] 출생아 부모의 출신 국적별 출생아 수 및 비중, 2021-2022년(단위: 명, %) 부 2021 비중 2022 비중 모 2021 비중 2022 비중출생아 수 14,322 100.0 12,526 100.0 출생아 수 14,322 100.0 12,526 100.0 국 적 * 한국 10,633 74.3 8,688 69.4 국 적 * 한국 2,295 16.0 2,588 20.7 외국1) 3,682 25.7 3,836 30.6 외국1) 12,006 84.0 9,923 79.3 미국 826 5.8 928 7.4 베트남 5,103 35.7 3,529 28.2 중국 934 6.5 851 6.8 중국 2,400 16.8 2,044 16.3 베트남 554 3.9 490 3.9 태국 627 4.4 681 5.4 캐나다 216 1.5 299 2.4 일본 602 4.2 678 5.4 일본 138 1.0 139 1.1 필리핀 740 5.2 640 5.1 캄보디아 104 0.7 112 0.9 캄보디아 591 4.1 475 3.8 영국 104 0.7 112 0.9 미국 397 2.8 410 3.3 기타 806 5.6 905 7.2 기타 1,546 10.8 1,466 11.7 * 국적미상 제외 1) 귀화자는 귀화 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출산 당시 외국 국적으로 분류 [그림 20] 출생아 부모의 출신 국적별 비중, 2022년 - 27 - 8. 지역별 다문화 출생 다문화 출생 비중은 전남․충남․제주 순으로 높고, 세종이 낮음○ 지역별 다문화 출생아 수는 경기(3,925명), 서울(2,106명), 인천(864명) 순임- 전년대비 울산(-32.8%), 경북(-26.4%), 전북(-23.1%) 등 17개 시도 모두 다문화 출생아 수가 감소함 ○ 각 지역별로 다문화 출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남(6.8%), 충남·제주(6.3%), 인천(6.0%) 순으로 높고, 세종(2.7%)이 낮음 [표 28] 지역별 출생아 수 및 다문화 비중, 2020-2022년 (단위: 명, %) 전 체(A) 다문화 출생(B) 다문화 비중(B/A)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전년대비 2020 2021 2022 증감 증감률 전 국 272,337 260,562 249,186 16,421 14,322 12,526 -1,796 -12.5 6.0 5.5 5.0 서 울 47,445 45,531 42,602 2,609 2,322 2,106 -216 -9.3 5.5 5.1 4.9 부 산 15,058 14,446 14,134 741 646 566 -80 -12.4 4.9 4.5 4.0 대 구 11,193 10,661 10,134 589 470 428 -42 -8.9 5.3 4.4 4.2 인 천 16,040 14,947 14,464 1,046 900 864 -36 -4.0 6.5 6.0 6.0 광 주 7,318 7,956 7,446 387 377 314 -63 -16.7 5.3 4.7 4.2 대 전 7,481 7,414 7,677 370 313 264 -49 -15.7 4.9 4.2 3.4 울 산 6,617 6,127 5,399 366 287 193 -94 -32.8 5.5 4.7 3.6 세 종 3,468 3,570 3,209 116 96 87 -9 -9.4 3.3 2.7 2.7 경 기 77,737 76,139 75,323 4,685 4,246 3,925 -321 -7.6 6.0 5.6 5.2 강 원 7,835 7,357 7,278 433 388 327 -61 -15.7 5.5 5.3 4.5 충 북 8,607 8,190 7,452 574 504 399 -105 -20.8 6.7 6.2 5.4 충 남 11,950 10,984 10,221 841 730 643 -87 -11.9 7.0 6.6 6.3 전 북 8,165 7,475 7,032 626 502 386 -116 -23.1 7.7 6.7 5.5 전 남 9,738 8,430 7,888 767 641 538 -103 -16.1 7.9 7.6 6.8 경 북 12,873 12,045 11,311 897 758 558 -200 -26.4 7.0 6.3 4.9 경 남 16,823 15,562 14,017 1,036 881 703 -178 -20.2 6.2 5.7 5.0 제 주 3,989 3,728 3,599 338 261 225 -36 -13.8 8.5 7.0 6.3 - 28 - 참고 지역별 다문화 혼인․이혼․출생 비중 추이 - 29 - 2022년 다문화 사망 1. 사망자 수 2022년 다문화 사망자는 2,992명으로 전년대비 18.4% 증가 ○ 다문화 사망자는 2,992명으로 전년(2,528명)보다 464명(18.4%) 증가함- 2022년 전체 사망은 37만 3천 명으로 전년보다 17.4% 증가하였고, 다문화 사망은 18.4% 증가함 ○ 전체 사망에서 다문화 사망이 차지하는 비중은 0.8%로 전년과 유사함* 한국인과 가족관계가 있는 외국인 사망자 포함 [표 29] 사망자 수, 2020-2022년 (단위: 명, %) 전 체 다문화 가족 내 사망1) 출생기준 한국인 가족 내 사망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계 305,207 317,940 373,265 2,377 2,528 2,992 302,830 315,412 370,273 비 중 100.0 100.0 100.0 0.8 0.8 0.8 99.2 99.2 99.2 전년 대비 증 감 9,893 12,733 55,325 123 151 464 9,770 12,582 54,861 증감률 3.3 4.2 17.4 5.5 6.4 18.4 3.3 4.2 17.4 1) 다문화 가족 내 사망: 사망자 본인 또는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가족 내 사망: 사망자 본인 및 가족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그림 21] 다문화 사망자 수 및 전체 사망 중 다문화 비중 추이, 2012-2022년 - 30 - 2. 성비 및 다문화 유형별 사망 다문화 사망자는 출생기준 한국인이 64.9% ○ 2022년 다문화 사망자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 수)는 233.3명으로 출생기준한국인 가족 내 사망자 성비(110.7명)보다 높은 편임 [표 30] 사망자 성비, 2020-2022년 (단위: 명, %, 여자 100명당 남자 수) 전 체 다문화 가족 내 사망1) 출생기준 한국인 가족 내 사망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남 자 165,256 172,082 196,597 1,647 1,725 2,041 163,609 170,357 194,556 여 자 139,863 145,802 176,592 642 747 875 139,221 145,055 175,717 성 비* (남/여) 118.2 118.0 111.3 256.5 230.9 233.3 117.5 117.4 110.7 * 성별 미상 제외 1) 다문화 가족 내 사망: 사망자 본인 또는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가족 내 사망: 사망자 본인 및 가족 모두 출생기준 한국인인 경우 ○ 다문화 사망에서 출생기준 한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64.9%로 가장 높았고, 귀화자는 24.2%, 외국인이 10.9% 차지함 [표 31] 다문화 유형별 사망자 수, 2012-2022년 (단위: 명, %) 년도 전 체 다문화1) 가족 내 한국인 출생기준 한국인2) 외국인3) 귀화자4) 가족 내2012 267,332 1,605 1,304 (81.2) 111 (6.9) 190 (11.8) 265,727 2013 266,396 1,558 1,265 (81.2) 139 (8.9) 154 (9.9) 264,838 2014 267,804 1,598 1,345 (84.2) 112 (7.0) 141 (8.8) 266,206 2015 276,029 1,744 1,391 (79.8) 134 (7.7) 219 (12.6) 274,285 2016 280,976 1,866 1,514 (81.1) 149 (8.0) 203 (10.9) 279,110 2017 285,683 2,002 1,618 (80.8) 149 (7.4) 235 (11.7) 283,681 2018 298,978 2,202 1,500 (68.1) 158 (7.2) 544 (24.7) 296,776 2019 295,314 2,254 1,509 (66.9) 204 (9.1) 541 (24.0) 293,060 2020 305,207 2,377 1,574 (66.2) 259 (10.9) 544 (22.9) 302,830 2021 317,940 2,528 1,664 (65.8) 260 (10.3) 604 (23.9) 315,412 2022 373,265 2,992 1,942 (64.9) 326 (10.9) 724 (24.2) 370,273 1) 다문화 사망: 사망자 본인 또는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2) 출생기준 한국인: 출생기준 한국인 사망자 중에서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3) 외국인: 외국인 사망자 중에서 가족이 출생기준 한국인 또는 귀화자인 경우 4) 귀화자: 사망자가 귀화자인 경우 - 31 - 통 계 표 Ⅰ. 총괄 1. 다문화 인구동태건수 · 32 2. 다문화 인구동태 구성비 및 전년대비 증감 · 32 Ⅱ. 다문화 혼인 1. 유형별 혼인 · 33 2. 성·연령별 혼인 · 33 3. 평균 혼인 연령 · 34 4. 출신 국적별 혼인 · 34 5. 지역별 다문화 혼인 · 35 Ⅲ. 다문화 이혼 1. 유형별 이혼 · 35 2. 평균 이혼 연령 · 35 3.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이혼 · 36 4. 출신 국적별 이혼 · 37 5. 지역별 다문화 이혼 · 37 Ⅳ. 다문화 출생 1. 유형별 출생 · 38 2. 연령별 출생아 비중 · 38 3. 출생아 수 및 성비 · 39 4.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 · 39 5. 출산까지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 39 6. 부모의 출신 국적별 출생 · 40 7. 지역별 다문화 출생 · 40 Ⅴ. 다문화 사망 1. 사망자 수 및 성비 · 41 - 32 - Ⅰ. 총괄 1. 다문화 인구동태건수 (단위: 명(건)) 전 체 다문화 출생 사망* 혼인 이혼 출생 사망 혼인 이혼2010 470,171 255,405 326,104 116,858 20,312 1,506 35,098 14,319 2011 471,265 257,396 329,087 114,284 22,014 1,557 30,695 14,450 2012 484,550 267,221 327,073 114,316 22,908 1,605 29,224 13,701 2013 436,455 266,257 322,807 115,292 21,290 1,558 26,948 13,482 2014 435,435 267,692 305,507 115,510 21,174 1,598 24,387 12,902 2015 438,420 275,895 302,828 109,153 19,729 1,744 22,462 11,287 2016 406,243 280,827 281,635 107,328 19,431 1,866 21,709 10,631 2017 357,771 285,534 264,455 106,032 18,440 2,002 21,917 10,307 2018 326,822 298,820 257,622 108,684 18,079 2,202 23,773 10,254 2019 302,676 295,110 239,159 110,831 17,939 2,254 24,721 9,868 2020 272,337 304,948 213,502 106,500 16,421 2,377 16,177 8,685 2021 260,562 317,680 192,507 101,673 14,322 2,528 13,926 8,424 2022 249,186 372,939 191,690 93,232 12,526 2,992 17,428 7,853 * 외국인 제외 2. 다문화 인구동태 구성비 및 전년대비 증감 (단위: 명(건), %) 전체대비 구성비 전년대비 증감 전년대비 증감율 출생 사망 혼인 이혼 출생 사망 혼인 이혼 출생 사망 혼인 이혼2010 4.3 0.6 10.8 12.3 1,288 168 1,236 666 6.8 12.6 3.7 4.9 2011 4.7 0.6 9.3 12.6 1,702 51 -4,403 131 8.4 3.4 -12.5 0.9 2012 4.7 0.6 8.9 12.0 894 48 -1,471 -749 4.1 3.1 -4.8 -5.2 2013 4.9 0.6 8.3 11.7 -1,618 -47 -2,276 -219 -7.1 -2.9 -7.8 -1.6 2014 4.9 0.6 8.0 11.2 -116 40 -2,561 -580 -0.5 2.6 -9.5 -4.3 2015 4.5 0.6 7.4 10.3 -1,445 146 -1,925 -1,615 -6.8 9.1 -7.9 -12.5 2016 4.8 0.7 7.7 9.9 -298 122 -753 -656 -1.5 7.0 -3.4 -5.8 2017 5.2 0.7 8.3 9.7 -991 136 208 -324 -5.1 7.3 1.0 -3.0 2018 5.5 0.7 9.2 9.4 -361 200 1,856 -53 -2.0 10.0 8.5 -0.5 2019 5.9 0.8 10.3 8.9 -140 52 948 -386 -0.8 2.4 4.0 -3.8 2020 6.0 0.8 7.6 8.2 -1,518 123 -8,544 -1,183 -8.5 5.5 -34.6 -12.0 2021 5.5 0.8 7.2 8.3 -2,099 151 -2,251 -261 -12.8 6.4 -13.9 -3.0 2022 5.0 0.8 9.1 8.4 -1,796 464 3,502 -571 -12.5 18.4 25.1 -6.8 - 33 - Ⅱ. 다문화 혼인 1. 유형별 혼인 (단위: %) 계 외국인 아내1) 외국인 남편2) 귀화자3) 2012 100.0 68.6 21.9 9.6 2013 100.0 65.4 23.3 11.2 2014 100.0 63.6 24.1 12.3 2015 100.0 62.6 22.9 14.6 2016 100.0 65.7 19.4 15.0 2017 100.0 65.0 19.6 15.4 2018 100.0 67.0 18.4 14.6 2019 100.0 69.3 17.2 13.5 2020 100.0 66.4 18.7 14.9 2021 100.0 62.1 22.0 16.0 2022 100.0 66.8 20.0 13.2 1) 외국인 아내: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 + 외국인 여자의 혼인 2) 외국인 남편: 외국인 남자 +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의 혼인 3) 귀화자: 남자 또는 여자 어느 한쪽이 귀화자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성·연령별 혼인 (단위: %) 남편 계* 19세이하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세 이상2012 100.0 0.1 2.7 12.4 18.2 21.5 19.6 25.5 2013 100.0 0.1 2.8 14.0 20.0 20.2 19.0 23.9 2014 100.0 0.1 3.2 15.1 21.5 19.2 17.8 23.0 2015 100.0 0.2 3.0 15.3 21.8 19.1 18.0 22.7 2016 100.0 0.1 2.8 14.0 20.4 19.2 18.9 24.6 2017 100.0 0.1 2.8 14.1 19.4 19.5 17.7 26.4 2018 100.0 0.1 2.7 13.6 19.3 19.6 17.8 26.9 2019 100.0 0.1 2.6 13.0 17.8 19.5 17.5 29.5 2020 100.0 0.1 3.2 15.2 19.4 17.9 15.7 28.6 2021 100.0 0.1 3.7 16.9 21.8 17.1 12.7 27.7 2022 100.0 0.1 3.0 13.5 19.3 17.1 15.7 31.2 * 연령미상 제외 (단위: %) 아내 계* 19세이하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세이상2012 100.0 9.4 21.4 24.8 17.3 9.3 7.2 10.6 2013 100.0 8.0 20.3 27.2 18.7 9.1 7.1 9.6 2014 100.0 6.3 18.7 28.4 20.7 9.5 6.8 9.7 2015 100.0 6.0 18.7 29.8 21.2 9.3 6.2 8.8 2016 100.0 7.0 18.9 28.2 21.4 9.8 5.9 8.9 2017 100.0 6.3 18.0 27.7 21.9 10.7 6.1 9.4 2018 100.0 6.3 18.0 27.6 22.3 11.2 5.6 8.9 2019 100.0 6.9 17.1 25.8 22.7 11.7 6.1 9.7 2020 100.0 4.3 14.6 26.0 24.5 12.9 6.6 11.1 2021 100.0 1.1 11.9 26.0 25.1 14.5 7.8 13.7 2022 100.0 3.1 14.3 24.0 24.6 14.9 7.8 11.3 * 연령미상 제외 - 34 - 3. 평균 혼인 연령 (단위: 세)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초혼 남편 36.0 35.5 35.2 35.4 36.0 36.1 36.4 36.8 36.0 35.1 36.6 아내 26.9 27.2 27.8 27.9 27.8 28.1 28.3 28.4 29.2 30.5 29.9 연령차 9.1 8.3 7.4 7.5 8.2 8.0 8.1 8.4 6.8 4.6 6.7 재혼 남편 47.4 47.3 47.4 47.4 47.5 47.9 47.8 48.6 48.6 49.4 49.7 아내 40.7 40.0 39.8 39.3 38.7 39.0 38.5 39.1 39.6 41.0 40.4 연령차 6.7 7.3 7.6 8.1 8.8 8.9 9.3 9.5 9.0 8.4 9.3 * 연령미상 제외 4. 출신 국적별 혼인 (단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남 편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71.0 68.5 67.3 66.9 69.9 69.1 70.7 72.9 70.7 66.9 70.5 외국 29.0 31.5 32.7 33.1 30.1 30.9 29.3 27.1 29.3 33.1 29.5 미국 5.5 6.6 7.2 7.3 6.4 6.4 6.2 6.1 7.0 9.4 8.0 중국 9.2 9.2 9.5 9.7 9.9 10.2 9.4 8.2 8.4 8.5 6.5 베트남 0.6 1.0 1.2 1.9 2.6 2.7 2.5 2.6 3.1 3.2 3.4 캐나다 1.7 1.8 2.0 2.1 1.8 2.0 1.7 1.5 1.6 1.6 1.8 영국 0.7 0.7 0.8 0.9 0.9 0.8 0.8 0.8 0.9 0.8 1.0 기타 11.3 12.2 12.0 11.2 8.5 8.8 8.7 7.9 8.3 9.6 8.9 아 내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22.2 23.5 24.4 23.3 19.8 20.0 18.8 17.7 19.2 22.7 20.5 외국 77.8 76.5 75.6 76.7 80.2 80.0 81.2 82.3 80.8 77.3 79.5 베트남 23.2 22.6 20.9 23.1 27.9 27.7 30.0 30.4 23.5 13.5 23.0 중국 29.9 29.0 29.5 27.9 26.9 25.0 21.6 20.3 21.7 23.9 17.8 태국 1.1 1.1 1.8 2.5 3.3 4.7 6.6 8.3 10.7 11.4 11.1 미국 2.0 2.6 2.9 3.0 2.8 2.8 2.7 2.7 2.9 3.6 3.7 일본 4.5 4.5 5.5 4.6 3.9 3.9 4.2 3.7 4.7 5.2 3.5 기타 17.1 16.7 15.0 15.6 15.4 15.9 16.1 16.9 17.3 19.7 20.4 * 귀화자는 귀화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혼인 당시 외국국적으로 분류, 국적미상 제외 - 35 - 5. 지역별* 다문화 혼인 (단위: 건,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년대비증감 증감률전 국** 29,224 26,948 24,387 22,462 21,709 21,917 23,773 24,721 16,177 13,926 17,428 3,502 25.1 서 울 6,252 5,859 5,443 5,007 4,818 4,711 4,891 5,018 3,482 3,112 3,422 310 10.0 부 산 1,531 1,456 1,230 1,160 1,089 1,058 1,151 1,216 694 614 755 141 23.0 대 구 975 882 733 747 780 743 883 930 506 474 600 126 26.6 인 천 1,471 1,381 1,225 1,155 1,232 1,243 1,487 1,488 979 887 1,080 193 21.8 광 주 614 549 494 459 472 488 525 577 355 274 355 81 29.6 대 전 583 554 535 513 510 470 548 537 341 278 391 113 40.6 울 산 560 483 457 462 474 451 506 531 295 215 278 63 29.3 세 종 47 61 61 67 74 95 92 116 66 69 96 27 39.1 경 기 7,021 6,549 6,051 5,720 5,838 6,092 6,605 6,905 4,771 4,341 5,127 786 18.1 강 원 703 605 551 452 478 519 574 650 416 317 432 115 36.3 충 북 826 757 689 661 693 682 811 798 519 440 630 190 43.2 충 남 1,286 1,098 992 921 895 1,038 1,185 1,176 773 649 859 210 32.4 전 북 1,093 952 806 772 717 744 766 800 530 378 568 190 50.3 전 남 1,105 1,077 822 755 808 759 809 886 519 436 654 218 50.0 경 북 1,335 1,136 1,033 1,002 1,052 1,043 1,120 1,175 746 493 802 309 62.7 경 남 1,598 1,405 1,271 1,240 1,280 1,292 1,299 1,385 879 661 972 311 47.0 제 주 389 372 320 305 370 392 443 448 266 208 297 89 42.8 * 부부 중 국내주소지 기준 집계(부부가 모두 국내주소인 경우 남편의 주소지 기준), **전국은 국외 포함Ⅲ. 다문화 이혼 1. 유형별 이혼 (단위: %) 계 외국인 아내1) 외국인 남편2) 귀화자3) 2012 100.0 56.1 19.9 23.9 2013 100.0 54.4 18.5 27.0 2014 100.0 52.2 18.0 29.8 2015 100.0 48.8 17.8 33.5 2016 100.0 50.6 14.9 34.4 2017 100.0 48.2 14.2 37.6 2018 100.0 48.0 14.5 37.5 2019 100.0 47.1 15.6 37.3 2020 100.0 48.1 15.2 36.7 2021 100.0 49.3 16.2 34.4 2022 100.0 48.1 16.9 35.0 1) 외국인 아내: 출생기준 한국인 남자 + 외국인 여자의 이혼 2) 외국인 남편: 외국인 남자 + 출생기준 한국인 여자의 이혼 3) 귀화자: 남자 또는 여자 어느 한쪽이 귀화자 또는 남녀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평균 이혼 연령 (단위: 세)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남편 47.2 47.2 47.7 48.4 48.5 48.7 49.4 49.7 49.9 50.1 50.1 아내 37.5 37.4 38.0 38.7 38.8 38.9 39.3 39.9 40.1 40.6 41.3 * 연령미상 제외 - 36 - 3. 결혼생활 지속기간별 이혼 (단위: %, 년) 계* 5년미만 5-10년 미만 10-15년 미만 15-20년 미만 20년 이상 평균 결혼생활1년미만 1-2년 3-4년 기간남 편 외국인 ․ 귀화자 2012 100.0 6.8 19.7 20.1 35.2 9.0 3.7 5.5 6.9 2013 100.0 6.8 19.3 18.9 35.8 9.7 4.4 5.1 7.0 2014 100.0 6.1 16.1 18.6 36.8 11.8 4.6 6.0 7.6 2015 100.0 5.9 17.7 14.7 35.8 14.2 5.8 5.8 7.8 2016 100.0 5.6 16.0 15.8 34.6 15.3 5.6 7.2 8.3 2017 100.0 6.4 15.4 15.1 32.8 19.3 4.5 6.5 8.3 2018 100.0 4.8 14.5 13.5 31.1 21.3 6.4 8.4 9.3 2019 100.0 5.5 15.5 12.8 27.6 21.1 8.2 9.3 9.7 2020 100.0 5.4 16.1 12.8 27.7 19.0 7.9 11.2 9.8 2021 100.0 3.8 15.6 14.7 25.1 17.9 12.1 10.8 10.2 2022 100.0 4.7 14.2 15.4 24.6 17.7 11.7 11.7 10.4 출생 기준 한국인 2012 100.0 16.7 22.7 16.6 35.9 5.0 1.7 1.3 4.9 2013 100.0 15.6 21.1 15.2 37.2 7.1 2.1 1.8 5.4 2014 100.0 13.5 17.6 15.5 39.2 10.1 2.3 1.8 6.0 2015 100.0 8.9 17.2 14.5 40.4 13.8 3.5 1.8 6.6 2016 100.0 9.5 14.5 12.5 39.4 18.5 3.5 2.1 7.1 2017 100.0 8.5 13.6 11.1 37.7 22.6 4.4 2.1 7.6 2018 100.0 8.6 14.0 10.6 33.3 26.1 5.4 2.1 7.9 2019 100.0 8.6 14.4 9.3 30.6 27.0 7.9 2.3 8.3 2020 100.0 8.8 15.5 9.4 25.4 27.0 10.6 3.2 8.6 2021 100.0 6.7 17.1 9.9 21.9 26.3 13.6 4.5 9.1 2022 100.0 4.9 13.5 12.4 21.1 25.9 16.6 5.5 9.9 아 내 외국인 ․ 귀화자 2012 100.0 16.3 22.9 16.8 35.8 4.9 1.8 1.5 5.0 2013 100.0 15.1 21.4 15.7 36.6 7.0 2.2 2.1 5.5 2014 100.0 13.1 17.9 16.1 38.8 9.8 2.3 2.1 6.0 2015 100.0 8.7 17.8 14.8 39.8 13.2 3.5 2.1 6.6 2016 100.0 9.1 15.1 13.2 39.0 17.7 3.4 2.5 7.1 2017 100.0 8.3 14.0 11.8 37.5 21.6 4.3 2.6 7.6 2018 100.0 8.2 14.5 11.2 33.4 24.9 5.1 2.7 7.9 2019 100.0 8.3 14.9 9.9 30.7 25.8 7.4 3.0 8.3 2020 100.0 8.5 15.7 10.0 26.3 25.7 9.8 3.9 8.7 2021 100.0 6.4 17.3 10.7 22.8 25.3 12.5 5.0 9.1 2022 100.0 5.0 14.1 13.3 22.1 24.6 15.2 5.8 9.7 출생 기준 한국인 2012 100.0 6.2 18.6 20.2 35.6 10.1 3.9 5.3 7.0 2013 100.0 6.4 17.3 18.0 37.8 11.0 4.6 4.9 7.3 2014 100.0 5.6 14.6 17.1 37.7 13.7 5.2 6.1 7.9 2015 100.0 5.5 15.3 13.3 36.3 16.9 6.6 6.1 8.2 2016 100.0 5.6 13.3 14.1 34.2 18.1 7.2 7.5 8.8 2017 100.0 6.6 14.2 13.5 31.2 23.2 5.2 6.2 8.6 2018 100.0 4.6 12.3 11.7 29.3 25.1 8.6 8.4 9.9 2019 100.0 5.2 13.6 11.6 25.6 23.8 10.6 9.7 10.2 2020 100.0 5.4 15.1 11.5 24.3 21.0 10.6 12.1 10.3 2021 100.0 3.6 13.6 13.7 22.9 18.4 16.1 11.7 10.9 2022 100.0 4.3 12.0 13.4 22.0 19.1 15.2 14.0 11.4 * 결혼생활 지속기간 미상 제외 - 37 - 4. 출신 국적별 이혼 (단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남 편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74.6 74.8 74.4 73.4 76.1 76.3 75.0 74.1 74.4 73.2 71.2 외국 25.4 25.2 25.6 26.6 23.9 23.7 25.0 25.9 25.6 26.8 28.8 중국 10.7 11.4 11.8 12.8 12.8 12.7 12.9 13.2 12.8 13.2 13.0 일본 10.2 8.9 8.6 7.9 4.8 4.3 4.8 4.5 3.9 3.6 3.6 미국 1.7 1.9 1.9 2.1 2.2 2.1 2.5 2.8 2.9 3.2 3.3 베트남 0.1 0.1 0.2 0.3 0.6 0.6 0.8 1.1 1.4 1.8 2.3 캐나다 0.4 0.4 0.4 0.3 0.5 0.5 0.5 0.6 0.4 0.6 0.6 기타 2.3 2.5 2.7 3.2 3.0 3.5 3.5 3.7 4.2 4.4 5.9 아 내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21.0 19.6 19.0 18.8 16.0 15.2 16.1 17.1 16.4 17.6 18.4 외국 79.0 80.4 81.0 81.2 84.0 84.8 83.9 82.9 83.6 82.4 81.6 중국 47.0 45.5 44.3 44.6 44.5 41.8 39.9 37.8 34.9 33.9 33.8 베트남 17.8 19.8 20.3 20.9 23.3 26.0 26.1 26.5 28.6 27.5 25.3 태국 1.0 1.1 0.9 0.9 1.1 1.4 1.6 1.9 2.8 3.5 4.2 필리핀 3.8 4.3 4.7 4.4 4.0 3.8 3.9 3.9 4.2 3.8 3.7 캄보디아 1.5 1.5 1.8 2.1 2.8 3.0 3.3 3.1 3.1 2.9 2.7 기타 7.9 8.2 9.0 8.3 8.3 8.8 9.1 9.7 10.0 10.8 12.0 * 귀화자는 귀화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이혼 당시 외국국적으로 분류, 국적미상 제외 5. 지역별* 다문화 이혼 (단위: 건,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년대비증감 증감률전 국** 13,701 13,482 12,902 11,287 10,631 10,307 10,254 9,868 8,685 8,424 7,853 -571 -6.8 서 울 3,005 2,879 2,720 2,304 2,136 1,982 1,933 1,823 1,538 1,454 1,358 -96 -6.6 부 산 707 678 630 487 492 483 516 512 427 400 345 -55 -13.8 대 구 368 430 397 325 331 341 307 320 259 264 218 -46 -17.4 인 천 883 814 752 699 695 649 642 674 583 597 550 -47 -7.9 광 주 275 300 277 248 221 202 238 212 187 186 144 -42 -22.6 대 전 263 260 249 235 222 218 217 234 200 192 165 -27 -14.1 울 산 252 236 240 202 222 233 204 183 170 158 154 -4 -2.5 세 종 18 27 34 36 33 42 34 41 30 38 26 -12 -31.6 경 기 3,456 3,369 3,125 2,963 2,841 2,790 2,833 2,768 2,438 2,431 2,315 -116 -4.8 강 원 338 328 319 248 260 247 257 264 206 194 219 25 12.9 충 북 361 405 401 352 308 351 358 335 288 296 265 -31 -10.5 충 남 531 580 596 539 554 503 453 476 431 433 414 -19 -4.4 전 북 501 545 514 442 447 356 404 332 333 318 287 -31 -9.7 전 남 536 501 536 469 481 509 466 424 376 382 301 -81 -21.2 경 북 586 586 557 494 538 521 520 479 439 393 391 -2 -0.5 경 남 735 731 760 668 653 664 637 606 590 529 525 -4 -0.8 제 주 163 163 173 170 133 160 189 166 168 143 154 11 7.7 * 부부 중 국내주소지 기준 집계(부부가 모두 국내주소인 경우 남편의 주소지 기준), **전국은 국외 포함 - 38 - Ⅳ. 다문화 출생 1. 유형별 출생 (단위: %) 계 외국인 모1) 외국인 부2) 귀화자3) 2012 100.0 72.0 12.7 15.3 2013 100.0 70.0 14.0 16.0 2014 100.0 67.1 14.9 18.1 2015 100.0 65.2 15.2 19.6 2016 100.0 64.1 15.6 20.3 2017 100.0 63.6 15.5 21.0 2018 100.0 62.8 15.3 21.9 2019 100.0 64.2 13.4 22.3 2020 100.0 67.0 13.2 19.9 2021 100.0 65.1 15.4 19.5 2022 100.0 61.0 20.0 19.0 1) 외국인 모: 출생기준 한국인 부와 외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2) 외국인 부: 외국인 부와 출생기준 한국인 모로부터의 출생 3) 귀화자: 부와 모 중 한쪽이 귀화자 또는 부모 모두 귀화자인 경우 2. 연령별 출생아 비중 <모(母)연령별> (단위: %) 계* 19세이하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세이상2012 100.0 2.6 28.2 31.0 25.1 10.6 2.4 0.1 2013 100.0 2.4 25.7 30.5 27.1 11.6 2.5 0.1 2014 100.0 1.9 23.1 30.9 28.8 12.5 2.7 0.1 2015 100.0 1.3 20.1 31.6 30.0 14.2 2.5 0.2 2016 100.0 1.1 18.5 31.1 31.3 15.4 2.5 0.1 2017 100.0 0.9 17.9 30.0 32.0 16.1 2.9 0.1 2018 100.0 1.2 16.8 28.7 32.5 17.3 3.5 0.1 2019 100.0 1.3 16.5 26.9 33.6 18.1 3.4 0.2 2020 100.0 1.6 16.7 24.9 33.4 19.3 3.9 0.2 2021 100.0 0.6 14.4 23.2 34.1 23.0 4.5 0.2 2022 100.0 0.2 9.6 21.5 36.1 26.4 5.9 0.3 * 연령미상 제외 < 부(父)연령별 > (단위: %) 계* 19세이하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세이상2012 100.0 0.0 0.7 6.2 17.6 28.6 30.5 16.4 2013 100.0 0.0 0.7 6.2 17.9 27.1 30.0 18.1 2014 100.0 0.0 0.7 6.5 19.8 25.7 28.6 18.6 2015 100.0 0.0 0.7 6.8 19.9 24.7 27.8 20.1 2016 100.0 0.0 0.7 7.1 20.3 24.8 25.8 21.2 2017 100.0 0.0 0.7 6.5 19.5 24.8 25.1 23.4 2018 100.0 0.0 0.8 6.6 18.5 24.7 24.1 25.2 2019 100.0 0.0 0.6 6.2 18.3 24.9 23.8 26.2 2020 100.0 0.0 0.5 6.1 17.5 24.7 23.5 27.6 2021 100.0 0.0 0.6 5.6 19.0 25.8 22.1 26.9 2022 100.0 0.0 0.6 5.8 20.8 26.3 21.7 24.7 * 연령미상 제외 - 39 - 3. 출생아 수 및 성비 (단위: 명, %, 여아 100명당 남아 수) 전 체* 다문화 부모 비중 남아 여아 출생성비2012 484,550 22,908 4.7 11,745 11,163 105.2 2013 436,455 21,290 4.9 10,838 10,452 103.7 2014 435,435 21,174 4.9 10,686 10,488 101.9 2015 438,420 19,729 4.5 10,158 9,571 106.1 2016 406,243 19,431 4.8 9,927 9,504 104.5 2017 357,771 18,440 5.2 9,492 8,948 106.1 2018 326,822 18,079 5.5 9,191 8,888 103.4 2019 302,676 17,939 5.9 9,194 8,745 105.1 2020 272,337 16,421 6.0 8,265 8,156 101.3 2021 260,562 14,322 5.5 7,322 7,000 104.6 2022 249,186 12,526 5.0 6,410 6,116 104.8 * 부모 국적 미상 포함 4.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 (단위: 세) 전 체* 다문화 모의 평균 출산연령*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2012 31.6 28.5 27.7 29.3 32.0 2013 31.8 28.9 28.0 29.7 32.0 2014 32.0 29.3 28.4 30.0 32.2 2015 32.2 29.7 29.0 30.1 31.9 2016 32.4 30.0 29.2 30.5 32.3 2017 32.6 30.2 29.3 30.9 32.2 2018 32.8 30.4 29.5 31.2 32.6 2019 33.0 30.6 29.6 31.4 33.0 2020 33.1 30.7 29.6 31.7 33.5 2021 33.4 31.4 30.6 31.8 33.7 2022 33.5 32.4 32.0 32.3 34.2 * 연령미상 제외 5. 출산까지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단위: 년) 전 체* 다문화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첫째아 둘째아 셋째아 이상2012 3.4 2.9 1.8 4.1 6.4 2013 3.4 3.1 1.9 4.3 6.6 2014 3.4 3.2 2.0 4.3 6.7 2015 3.4 3.4 2.1 4.4 6.5 2016 3.4 3.4 2.1 4.5 6.6 2017 3.4 3.5 2.2 4.5 6.5 2018 3.5 3.5 2.3 4.7 6.5 2019 3.6 3.5 2.3 4.7 6.6 2020 3.6 3.5 2.3 4.6 6.4 2021 3.7 3.8 2.7 4.7 6.5 2022 3.7 4.1 3.1 4.8 6.7 * 결혼생활 기간 미상 제외 - 40 - 6. 부모의 출신 국적별 출생 (단위: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부 (父)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82.9 80.7 78.4 77.1 75.3 74.8 74.5 75.4 76.4 74.3 69.4 외국* 17.1 19.3 21.6 22.9 24.7 25.2 25.5 24.6 23.6 25.7 30.6 미국 3.7 4.1 5 4.9 5.1 5.5 5.5 4.3 4.8 5.8 7.4 중국 5.2 5.7 6.4 6.7 7.9 7.5 7.6 8 7 6.5 6.8 베트남 0.2 0.4 0.8 1.5 1.8 2.8 2.9 3.5 3.6 3.9 3.9 캐나다 1.4 1.5 1.6 1.6 1.8 1.8 1.7 1.4 1.3 1.5 2.4 일본 1.8 2.0 1.9 1.9 1.7 1.5 1.3 1.0 1.0 1.0 1.1 캄보디아 0.0 0.0 0.0 0.1 0.1 0.2 0.3 0.5 0.6 0.7 0.9 영국 0.5 0.5 0.6 0.7 0.6 0.6 0.6 0.6 0.5 0.7 0.9 기타 4.3 5.0 5.3 5.4 5.7 5.3 5.6 5.3 4.9 5.6 7.2 모 (母) 다문화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한국 13.2 14.4 15.5 15.8 16.2 16.0 15.9 14.0 13.7 16.0 20.7 외국* 86.8 85.6 84.5 84.2 83.8 84.0 84.1 86.0 86.3 84.0 79.3 베트남 34.6 33.9 31.9 32.6 32.3 34.7 35.6 38.2 38.8 35.7 28.2 중국 25.6 23.8 24.4 23.5 24.2 22.0 20.7 19.9 17.7 16.8 16.3 태국 0.9 0.9 0.9 1.2 1.5 1.8 2.4 3.1 4.2 4.4 5.4 일본 4.0 3.8 4.3 4.0 3.9 3.9 3.8 3.8 4.0 4.2 5.4 필리핀 8.0 9.1 8.7 8.4 7.6 7.3 6.9 6.1 6.0 5.2 5.1 캄보디아 5.3 4.8 4.5 4.2 4.0 4.0 4.1 4.1 4.0 4.1 3.8 미국 1.5 1.7 2.0 2.4 2.4 2.2 2.2 2.1 2.2 2.8 3.3 기타 7.0 7.6 7.8 7.7 7.7 8.0 8.1 8.6 9.4 10.8 11.7 * 귀화자는 귀화이전 출신 국적, 외국인은 출산 당시 외국국적으로 분류, 국적미상 제외 7. 지역별 다문화 출생 (단위: 명, %)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전년대비증감 증감률전 국 22,908 21,290 21,174 19,729 19,431 18,440 18,079 17,939 16,421 14,322 12,526 -1,796 -12.5 서 울 4,227 3,789 4,052 3,745 3,633 3,288 3,097 3,053 2,609 2,322 2,106 -216 -9.3 부 산 1,154 1,138 1,112 1,020 1,031 937 921 850 741 646 566 -80 -12.4 대 구 721 722 697 645 677 695 643 691 589 470 428 -42 -8.9 인 천 1,176 1,137 1,180 1,080 1,120 1,046 1,122 1,139 1,046 900 864 -36 -4.0 광 주 560 535 546 447 433 451 444 449 387 377 314 -63 -16.7 대 전 566 551 494 482 497 452 400 423 370 313 264 -49 -15.7 울 산 447 440 437 406 400 419 355 358 366 287 193 -94 -32.8 세 종 69 60 61 62 98 81 113 108 116 96 87 -9 -9.4 경 기 5,540 5,262 5,256 5,022 4,998 4,834 4,851 4,804 4,685 4,246 3,925 -321 -7.6 강 원 696 632 555 525 473 431 435 441 433 388 327 -61 -15.7 충 북 752 692 666 658 669 624 629 614 574 504 399 -105 -20.8 충 남 1,201 1,106 1,087 976 940 931 918 929 841 730 643 -87 -11.9 전 북 1,096 957 976 880 877 751 769 726 626 502 386 -116 -23.1 전 남 1,363 1,193 1,083 1,001 903 921 774 849 767 641 538 -103 -16.1 경 북 1,366 1,274 1,191 1,070 1,059 1,016 961 970 897 758 558 -200 -26.4 경 남 1,636 1,459 1,441 1,357 1,291 1,243 1,294 1,185 1,036 881 703 -178 -20.2 제 주 338 343 340 353 332 320 353 350 338 261 225 -36 -13.8 - 41 - Ⅴ. 다문화 사망 1. 사망자 수 및 성비 (단위: 명, %) 전 체* 다문화 사망* 성비** 비중 남자 여자 2012 267,332 1,605 0.6 1,196 353 338.8 2013 266,396 1,558 0.6 1,131 360 314.2 2014 267,804 1,598 0.6 1,189 346 343.6 2015 276,029 1,744 0.6 1,220 466 261.8 2016 280,976 1,866 0.7 1,331 476 279.6 2017 285,683 2,002 0.7 1,424 524 271.8 2018 298,978 2,202 0.7 1,528 632 241.8 2019 295,314 2,254 0.8 1,530 648 236.1 2020 305,207 2,377 0.8 1,647 642 256.5 2021 317,940 2,528 0.8 1,725 747 230.9 2022 373,265 2,992 0.8 2,041 875 233.3 * 성별 미상 포함 ** 성별 미상 제외 - 42 - 부록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작성 개요 1. 목적 ○ 다문화 사회의 통합 및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 수립과 평가의 기초자료로 다문화 혼인, 이혼, 출생, 사망 통계를 작성 2. 작성근거 ○ 통계법 제24조의2 제4항(인구동태통계) 및 통계법 제17조 제1항에 의한지정통계(승인번호 제101003호, 인구동향조사) 3. 기초자료 ○ 「통계법」과 「가족관계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의 읍․면․동 및 시․구에 제출된 인구동향조사 신고서와 대법원 가족관계등록자료를활용하여 작성 4. 작성대상 ○ 귀화․인지에 의한 국적 취득자와 외국 국적자가 포함된 ‘다문화가족’의 ‘인구(개인)’별 혼인, 이혼, 출생, 사망 사건 - 다문화 가족의 개념은 다문화가족지원법(제2조)을 적용 - 가족의 포괄 범위는 대법원 가족관계등록 범위를 차용하여 혼인, 혈연가족 뿐 아니라 1인도 포함 ○ 다만, 현 제도상 자료의 불완전성으로 외국인 개인이나 외국인만으로 구성된 가족에서 발생하는 동태 사건 등은 제외하여 집계 * 사망사건은 ①귀화․인지에 의한 국적취득자 ②배우자가 한국 국적자인 외국 국적자 ③출생시 한국 국적자 중에서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이 귀화․인지에의한 국적 취득자 또는 외국 국적자인 경우를 대상으로 함 - 43 - <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작성 대상 범위 > 남편 · 부(父) 출생기준 한국인 귀화자 외국인 아내 · 모(母) 출생기준 한국인 다문화 대상 제외 귀화자 다 문 화 인 구 동 태 작 성 대 상 외국인 인구 동태대상 제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