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23. 11. 28.(화) 석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3년 11월 28일 오전 06: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보도자료담당 부서: 재난안전관리실 교량안전과 교량안전과장 조현석 02-2133-1940 강북일반교량팀장 성기선 02-2133-1967 북부도로사업소 시설보수과 북부도로사업소장 이도헌 02-944-5400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3쪽 시설보수과장 이화신 02-944-5403 서울시, 장위동~월계동 잇는 '장월교' 1등급 아치교로 재탄생…28일 전면 개통- 성북구 장위동~노원구 월계동 사이 위치 장월교 개축 완료 후 28일(화) 통행재개- 1970년 설치된 노후교량 철거하고 왕복 4차선, 40톤 중차량 견디는 1등교로신설- 2년여 공사 마치고 교각 없는 아치교로 재탄생…교량 아래 우이천 유수 흐름도개선□ 1970년 우이천 위에 지어진 '장월교'가 50여 년 만에 철거되고, 교각없는 아치교로 재탄생했다. 교량의 안전성은 물론 우이천의 유수흐름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울시는 성북구 장위동과 노원구 월계동을 연결하는 '장월교'를40톤의 중차량도 통행 가능한 1등급의 아치교로 새롭게 건설하여 11월28일(화) 오후 4시부터 통행을 전면 재개한다고 밝혔다. □ '장월교'는 서울의 지천인 우이천 위에 1970년에 건설된 길이40m의노후 교량이다. 2019년 정밀안전진단결과 상태평가 C등급으로판정되어 건설된 지 약 50년 만에 교량의 전면 철거와 개축이 결정됐다. - 2 - ○ 상태평가 C등급은 주요부재에 내구성, 기능성 저하방지를 위한보수나 보조부재에 보강이 필요한 상태를 뜻한다. □ 기존 장월교는 여름 장마철마다 교량을 받치고 있는 육중한 2개의교각이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 설계상32톤을 넘는 중차량은 통과할 수 없어 다른 도로로 우회해야 하는불편함도있었다. □ 공사는 2021년 11월에 착공해 올해 11월까지 2년 만에 완료됐다. 기존 노후 교량은 모두 철거했다. 교각을 두지 않는 단경간이면서도, 40톤의 중차량까지도 통행할 수 있는 1등교(DB-24)로 새롭게 건설했다.□ 미관을 고려한 아치교 형식에 경관 조명을 더해 자연형 하천인우이천과 어우러지도록 계획됐다. 보·차도는 기존 20m에서 23.7m로폭이확장돼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됐다. □ 최진석 서울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공사기간 중 통행의 불편을참고협조해 주신 시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시설물의체계적인 안전진단과 시의적절한 보수‧보강을 통해 시민이 안심할 수있는서울을 만들어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3 - 참고자료 장월교 위치도 및 전경 사진 □ 장월교 위치도 □ 공사 전·후 장월교 전경사진 ▴공사 전 ▴공사 후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특례시,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대상 지자체 최초 11년 연속 수상 (2) | 2023.11.28 |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대한민국 커뮤니케이션대상 수상…전국 지자체장 최초 (1) | 2023.11.28 |
서울시, 강남역 중앙정류소에 횡단보도 추가 설치…혼잡 개선·이동 편의 (0) | 2023.11.28 |
앤커, 노이즈 캔슬링 블루투스 헤드폰 ‘스페이스 원’ 출시 (1) | 2023.11.28 |
하만, 멀티-디바이스 및 멀티-룸 오디오 기술 플랫폼 ‘룬’ 인수 (0) | 2023.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