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3. 10. 29.(일) 11:00 이후(10. 30.(월) 조간) / 배포 : 2023. 10. 27.(금) 세종 ‘스마트’ ·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업단지 지정 - 충청권(세종·충주시) 국가산단 조성… 중부내륙권 융복합 클러스터 디딤돌□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10월 30일(월)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업단지를 지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ㅇ 국가산업단지(이하 국가산단)는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산업을 고도화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대규모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90년 1월부터 ’23년 10월까지 총 48개의 산단이 지정되었다. □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275만㎡)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과 연계한 첨단 소재‧부품산업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ㅇ ’29년 완공을 목표로 공동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세종도시교통공사가 내년 사업에 착수하여 ’26년 상반기에 착공할 계획이다.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의 조성으로 8,206억원의 경제유발 효과와 5,916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업단지(224만㎡)는 첨단바이오‧정밀의료산업융복합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ㅇ ’29년 완공을 목표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내년 사업에 착수하여 ’26년 상반기에 착공할 계획이다. 충주기업도시와 연계하여 7,500억원의 경제유발 효과와 4,000여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교통부 김정희 국토정책관은 “충청권에 조성되는 세종 스마트 국가산단과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단은 행정수도와 신성장 첨단산업이 연계되는 중부내륙권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디딤돌이자 국가균형발전의 주춧돌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2 - 담당 부서 국토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기용 (044-201-3674) 산업입지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신경창 (044-201-3700) - 3 - 참고 1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현황 ※대용량 파일 별첨구 분 현 황 위 치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일원 면 적 2,753,229㎡ 사 업 비 16,170억원 사업기간 ’23 ~ ’29년 유치업종 소재산업(의료, 비금속), 부품산업(금속, 전자‧전기, 자동차) 등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 위 치 도 조 감 도 - 4 - 참고 1-1 소재‧부품산업 □ 소재·부품 산업 ㅇ 소재 및 부품은 최종재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중간재의 일종으로사전적으로 소재는 어떤 것을 만드는데 바탕이 되는 재료, 부품은 기계 따위의 어떤 부분에 쓰이는 물품 즉 부분품으로 정의함 ㅇ 소재 및 부품은 그 자체로는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고 다른 중간재와의 결합을 통해서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최종재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로 작용 - 5 - 참고 2 충주 바이오헬스 국가산업단지 현황 구 분 현 황 위 치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 완오리, 본리 일원 면 적 2,241,017㎡ 사 업 비 5,190억원 사업기간 ’23 ~ ’29년 유치업종 바이오+ICT융합(의료용 물질, 정밀의료, 전자부품, 연구개발업 등) 사업시행자 한국토지주택공사 위 치 도 조 감 도 - 6 - 참고 2-1 바이오헬스산업 □ 바이오헬스 산업 정의 ㅇ 바이오기술을 기반으로 생물체의 기능과 정보를 활용하여 질병 예방, 진단 및 치료, 건강 증진에 필요한 유용 물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산업* * 바이오 메디컬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로 구분 □ 바이오헬스 산업 특징 ㅇ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 시대에 잠재력이 큰 유망 신산업으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지식집약형 산업에 해당 ㅇ 연구 개발에 장기간·고비용 소요되나, 우수한 연구개발(R&D) 성과는 확실한 시장에서의 비교 우위와 즉각적인 성공으로 연결 ㅇ 글로벌 바이오헬스 시장 규모는 약 2,600조원으로 추산, 국민 건강과 양질의 고소득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여 주요 선진국 적극 투자 ⇨ 제2의 반도체 산업, 국가 핵심전략 산업으로 성장 기대 □ 바이오헬스 산업 범위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바이오 메디컬 신약 진단 첨단 재생의료 바이오 메디컬 산업기반기술* - 항체·단백질·화합물 신약 - 유전자 치료제 - 백신 - 게놈정보기반 진단키트 - 단백질기반 진단키트 - 항원항체기반 진단키트 - 대사체기반 진단키트 - 세포치료제 - 조직공학치료제 - 바이오 인공장기 - 라이브러리 기반 고효율 스크리닝 - 구조기반 드럭 디자인- 바이오생산시스템 등디지털 헬스케어 지능형 건강관리 산업 개인용 헬스케어기기 산업 POCT 현장진단기기 산업** · 홈 헬스케어 - 가정용 건강정보 측정기기 - 건강정보 저장관리, 건강데이터 분석, 건강관리 서비스 · 모바일 헬스케어 · 공공 헬스케어 · 웨어러블 헬스케어 - 운동량 분석기기, 심박수·혈압 측정 기기, 체지방 분석기기 등 · 개인용 의료기기 · 뷰티기기 - 뷰티케어 디바이스, 화장품 등 · 휴대형 체외진단기기 - 면역·분자 진단기기 - 유전체 분석기기, 혈당 측정기기 등· 휴대형 영상진단기기 - 광학영상·초음파·x-ray진단기기- 소형 내시경, 체열 영상 검사기기* 바이오 메디컬 신산업 제품군 후보물질의 발굴부터 제품 제조까지 관련된 기반 기술로서 기존의 발굴 및 제조기술이 아닌 혁신적 기술 ** 휴대형 진단기기와 같이 환자가 있는 현장에서 신속하게 질병을 진단하는 의료기기 산업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23년 ‘청소년이 바라는 지역정책 간담회’ 성료 (0) | 2023.10.29 |
---|---|
국토교통부, 리츠 자율성 높이고 투자자 보호는 두텁게 (0) | 2023.10.29 |
국토교통부, 자율차 임시운행허가도 ‘빠르고 간편하게’ (1) | 2023.10.29 |
KG 모빌리티, 2023년 3분기 10년 만에 흑자 전환 (0) | 2023.10.27 |
바디프랜드, 로보워킹 테크놀로지 ‘사이클 모드’ 특허 등록 (0) | 2023.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