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 10. 4.(수) 11:00 < 10.4.(수) 석간 > 배포 2023. 10. 3.(화) 2023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최대 신고·도착금액 달성- 신고 239.5억 달러(전년 동기 대비 +11.3%), 도착 139.2억 달러(+20.2%) 기록 2023년 3분기(1~9월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1.3% 증가한 239.5억 달러를 기록하여, 3분기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하였다. 도착금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0.2% 증가하여 역대 최대인 139.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 연도별 3분기(1~9월 누적) 신고금액 추이: ('19) 134.9억 달러 → ('20) 128.9억 달러 → ('21) 182.1억 달러 → ('22) 215.2억 달러 → ('23) 239.5억 달러 【업종별】제조업은 전년 동기 대비 15.7% 증가한 90.2억 달러, 서비스업은9.0% 증가한 138.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제조업에서는 전기‧전자(33.2억 달러, +27.0%), 화공(30.1억 달러, +61.1%) 등의 업종이, 서비스업은 금융‧보험(74.0억 달러, +107.2%), 숙박‧음식점(3.1억 달러, +228.5%) 등의 업종이 전년보다증가하였다. 【국가별】미국과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투자는 각각 전년도 대형 M&A투자의기저효과로 다소 감소한 51.9억 달러(△27.2%), 9.3억 달러(△10.5%), EU, 중화권은각각 전년보다 증가한 40.0억 달러(+38.1%), 22.3억 달러(+49.9%)를 기록하였다. 【유형별】공장 또는 사업장을 설립하여 직접 운영하기 위한 그린필드 투자는미국(50.5억 달러, +2.8%), EU(21.4억 달러, +38.9%), 중화권(20.1억 달러, +43.3%), 일본(8.3억 달러, +16.1%) 등 주요국 투자 증가에 힘입어 총 167.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4% 증가하였고, 기업 지분 인수 또는 합병 등을 목적으로 하는 인수합병(M&A) 투자는 71.6억 달러로 5.5% 다소 감소하였다. 【평가】위와 같은 역대 최대실적 달성은 글로벌 투자 불확실성으로 주요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감소한 상황에서 달성한 괄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전략산업 분야의 그린필드 투자가 다수 유입되어 국내 산업의 공급망 강화 및 신규 고용창출 등 긍정적 효과가기대된다. 금번 역대 최대실적은 대통령 순방 세일즈 성과와 규제완화 등 기업친화적 정책기조 등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된다. 담당 부서 투자정책관 책임자 과 장 엄재영 (044-203-4080) 투자유치과 담당자 사무관 전종형 (044-203-4089) - 2 - 붙 임 2023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상세 동향 Ⅰ. 총괄 □ (실적) 연간 3분기(1~9월 누적) 기준 역대 최대 신고·도착금액 달성ㅇ (금액) 신고 239.5억불(+11.3%), 도착 139.2억불(+20.2%) * 3분기(7~9월)만의 실적은 신고 68.6억불(역대 2위), 도착 54.9억불(역대 1위) ㅇ (건수) 신고 2,522건(+1.1%), 도착 1,940건(△6.8%) < 신고금액, 건수 > < 도착금액, 건수 > □ (평가) 신고·도착 모두 역대 최대실적 달성으로 외투 모멘텀 확대·가속화ㅇ 글로벌 투자 불확실성으로 미국, 중국 등의 외투가 감소*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외국인투자 규모는 꾸준히 확대 * 對미국 FDI(美 상무부 발표) : ('22.上) 2,146.6억불 → ('23.上) 1,813.7억불(△15.5%) 對중국 FDI(中 상무부 발표) : ('22.上) 1,123.5억불 → ('23.上) 980.0억불(△12.8%) ㅇ 첨단전략산업 국내 수요기업 투자 확대에 힘입어 관련 외국기업의 투자가다수 유입된 것이 제조업 분야 투자의 역대 최대실적 기록 요인으로 분석ㅇ 한국의 안정된 투자 환경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신뢰가 신규투자 역대 최대실적 기록으로 연결 * 신규투자 : 117.7억불(+17.3%), 증액투자 : 112.3억불(+2.4%) ㅇ △대통령 순방 세일즈(美, EU 순방 계기 '23년 31.4억불), △기업친화적 정책기조(규제혁신, 인센티브 강화) 등 투자유치 노력이 실적 달성에 기여 * 규제혁신 : 투자가(기술창업) 비자 연장, 산단 입주제한 완화, 현금지원 사전심사 도입 등인센티브 강화 : 국가첨단전략기술 설비투자 세액공제 확대, 현금지원 최대한도 적용 등 - 3 - Ⅱ. 세부 동향(신고기준, 업종별 · 국가별 · 유형별 · 자금별 · 지역별) 1. 업종별 □ (금액) 제조업(90.2억불, +15.7%, 비중 37.7%), 서비스업(138.0억불, +9.0%, 비중 57.6%), 기타업종(11.3억불, +7.0%, 비중 4.7%) 모두 증가 * 기타업종 : 1차 산업(농·축·수산·광업), 전기가스·수도·환경정화업 등 < 업종별 신고금액 (단위 : 백만불) > < 업종별 신고건수 (단위 : 건) > < 업종별 FDI 비중 > ㅇ (제조업) 90.1억불(전년동기比 +15.7%, 비중 37.7%) < '22년 신고금액 > < '23년 신고금액 > - (증가업종) 전기·전자(33.2억불, +27.0%), 화공(30.1억불, +61.1%), 의약(2.9억불, +86.8%), 비금속 광물(0.9억불, +886.6%) 등 - (감소업종) 기계장비·의료정밀(7.3억불, △20.1%), 식품(3.3억불, △64.0%), 섬유·직물·의류(0억불, △100%) - 4 - ㅇ (서비스업) 138.0억불(전년동기比 +9.0%, 비중 57.6%) < '22년 신고금액 > < '23년 신고금액 > - (증가업종) 금융·보험(74.0억불, +107.2%), 숙박·음식점(3.1억불, +228.5%), 사업지원·임대(1.4억불, +906.3%) 등 - (감소업종) 도·소매(16.2억불, △25.9%), 정보통신(15.3억불, △49.2%), 운수·창고(5.4억불, △35.9%) 등 □ (건수) 제조업(313건, +6.8%), 서비스업(2,093건, +0.4%) 증가, 기타업종(116건, △1.7%)은 전년동기 대비 감소 2. 국가별 ※ 이번 외국인직접투자 동향부터 발표되는 통계가 EU는 영국을 제외한 27개국으로, 중화권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를 제외한 중국, 홍콩, 대만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금액) 미국(51.9억불, △27.2%, 비중 21.7%), 일본(9.3억불, △10.5%, 비중 3.9%)은 감소, EU(40.0억불, +38.1%, 비중 16.7%), 중화권(22.3억불, +49.9%, 비중 9.3%), 기타 국가(116.0억불, +29.4%, 비중 48.5%)는 증가 < 국가별 신고금액 (단위 : 백만불) > < 국가별 신고건수 (단위 : 건) > - 5 - ㅇ (미국) 51.9억불(전년동기比 △27.2%*, 비중 21.7%) * 전년도 대형투자(18.0억불, 제조업·M&A)에 의한 기저효과 - (업종별) 제조업(29.3억불, △1.7%), 서비스업(22.5억불, △45.1%) 모두 감소 - (유형별) 그린필드(50.5억불, +2.8%) 증가, M&A(1.4억불, △93.9%) 감소ㅇ (EU) 40.0불(전년동기比 +38.1%, 비중 16.7%) - (업종별) 제조업(11.8억불, +180.9%), 서비스업(24.0억불, +36.1%) 모두 증가 - (유형별) 그린필드(21.4억불, +38.9%), M&A(18.6억불, +37.2%) 모두 증가ㅇ (중화권) 22.3억불(전년동기比 +49.9%, 비중 9.3%) - (업종별) 제조업(10.3억불, +8.1%), 서비스업(11.9억불, +177.8%) 모두 증가 - (유형별) 그린필드(20.1억불, +43.3%), M&A(2.1억불, +165.0%) 모두 증가ㅇ (일본) 9.3억불(전년동기比 △10.5%*, 비중 3.9%) * 전년도 대형투자(2.5억불, 서비스업·M&A)에 의한 기저효과 - (업종별) 제조업(4.7억불, +9.3%) 증가, 서비스업(4.6억불, △25.0%) 감소 - (유형별) 그린필드(8.3억불, +16.1%) 증가, M&A(1.0억불, △69.6%) 감소ㅇ (기타 국가) 116.0억불(전년동기比 +29.4%, 비중 48.5%) - (업종별) 제조업(34.1억불, +13.1%), 서비스업(75.0억불, +30.1%) 모두 증가 - (유형별) 그린필드(67.5억불, +25.9%), M&A(48.5억불, +34.8%) 모두 증가□ (건수) 중화권(697건, +43.1%), EU(236건, +16.8%), 일본(146건, +19.7%)은 증가, 미국(295건, △25.9%), 기타 국가(1,148건, △10.7%)는 감소 3. 유형별 □ (금액) 그린필드(167.9억불, +20.4%, 비중 70.1%) 증가, M&A(71.6억불, △5.5%, 비중 29.9%) 감소 < 유형별 신고금액 (단위 : 백만불) > < 유형별 신고건수 (단위 : 건) > - 6 - ㅇ (그린필드) 167.9억불(전년동기比 +20.4%)로, 제조업(76.3억불, +80.9%) 증가, 서비스업(81.9억불, △5.9%) 감소 ㅇ (M&A) 71.6억불(전년동기比 △5.5% )로, 제조업(13.9억불, △61.2%) 감소, 서비스업(56.2억불, +41.6%) 증가 □ (건수) 그린필드(2,305건, +0.9%), M&A(216건, +2.4%) 모두 증가 4. 자금별 □ (금액) 신규투자(117.7억불, +17.3%, 비중 49.2%), 증액투자(112.3억불, +2.4%, 비중 46.9%) 모두 증가 * 신규투자 : 법인 또는 기업이 새로 발행하는 주식등을 취득 증액투자 : 이미 발행한 주식 또는 지분을 취득, 미처분이익잉여금 재투자 장기차관 : 외국투자가 또는 모기업 등이 기업에게 대부하는 5년 이상의 차관< 자금별 신고금액 (단위 : 백만불) > < 자금별 신고건수 (단위 : 건) > ㅇ (신규투자) 117.7억불(전년동기比 +17.3%)로 제조업(42.1억불, △19.8%) 감소, 서비스업(69.7억불, +54.9%) 모두 증가 ㅇ (증액투자) 112.3억불(전년동기比 +2.4%)로 제조업(41.8억불, +86.0%) 증가, 서비스업(65.2억불, △18.1%) 감소 □ (건수) 신규투자(1,609건, +4.0%) 증가, 증액투자(838건, △1.8%) 감소 - 7 - 5. 지역별 ※ 수도권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비수도권 : 이외 14개 시·도 □ (금액) 수도권(152.2억불, +21.6%, 비중 63.6%) 증가, 비수도권(48.5억불, △23.5%, 비중 20.3%) 감소 * 미정(38.8억불) : 투자지역을 정하지 않고 신고한 경우 < 지역별 신고금액 (단위 : 백만불) > < 지역별 신고건수 (단위 : 건) > ㅇ (수도권) 152.2억불(전년동기比 +21.6%), 제조업(37.5억불, +97.2%), 서비스업(111.4억불, +6.9%) 모두 증가 ㄱ * 서울(114.9억불, +29.0%), 인천(3.9억불, △15.6%), 경기(33.4억불, +6.3%) ㅇ (비수도권) 48.5억불(전년동기比 △23.5%)로 제조업(37.8억불, △15.4%), 서비스업(8.3억불, △28.5%) 모두 감소 * 증가 시·도 : 경북(12.58억불, +406.6%), 울산(5.48억불, +189.3%), 경남(4.69억불, +154.4%), 광주(3.78억불, +1,554.2%), 대전(3.07억불, +1,060.3%), 세종(1.38억불, +3,834.1%), 강원(0.28억불, +208.0%) * 감소 시·도 : 전북(8.61억불, △54.8%), 전남(2.47억불, △62.7%), 충남(2.12억불, △34.1%), 부산(1.71억불, △61.2%), 충북(1.62억불, △86.8%), 제주(0.45억불, △95.7%), 대구(0.26억불, △55.0%) □ (건수) 수도권(1,716건, △10.8%) 감소, 비수도권(485건, +16.3%) 증가 - 8 - Ⅲ. 2023년 3분기 주요 외투 주요 사례(3억불 이상 상위 22개건) 구분 투자기업 금 액 (억불) 업종 유형 주요 내용 계 102.8 그린필드 : 53.1억불 M&A : 49.7억불 1 ○○社 10억불 이상 서비스 (금융·보험) M&A PEF(사모펀드) 2 ○○社 서비스 (금융‧보험) M&A 보안기업 지분인수 3 ○○社 10억불 미만 ~ 5억불 이상 제조 (화공) M&A 산업용특수가스기업 지분인수4 ○○社 서비스 (금융·보험) M&A 폴리이미드 필름 업체 인수5 ○○社 서비스 (금융·보험) M&A PEF(사모펀드) 6 ○○社 서비스 (도·소매) 그린필드 이차전지 전구체 생산시설 7 ○○社 5억불 미만 ~ 3억불 이상 제조 (화공) 그린필드 암모니아·수소 터미널, 크래킹시설8 ○○社 서비스 (금융·보험) M&A PEF(사모펀드) 9 ○○社 제조 (금속) 그린필드 자동차 업종 투자협력 강화10 ○○社 제조 (전기·전자) 그린필드 수소 사업 확장·고도화 11 ○○社 제조 (전기·전자) 그린필드 반도체 패키징 시설 12 ○○社 제조 (전기·전자) 그린필드 이차전지 생산공장 확장 13 ○○社 서비스 (정보통신) 그린필드 콘텐츠 제작·유통 14 ○○社 전기수도 그린필드 해상풍력 발전단지 15 ○○社 서비스 (금융‧보험) M&A PEF(사모펀드) 16 ○○社 제조 (화공) 그린필드 암모니아·수소 터미널, 크래킹시설17 ○○社 제조 (운송용 기계) 그린필드 조선해양기업 지분인수 18 ○○社 서비스 (금융·보험) 그린필드 전자상거래기업 인수 19 ○○社 서비스 (부동산) 그린필드 부동산 투자 20 ○○社 제조 (기계장비) 그린필드 풍력터빈 핵심부품 생산시설21 ○○社 제조 (식품) 그린필드 감미료 생산시설 22 ○○社 서비스 (금융·보험) 그린필드 모기업의 한국 자회사 지분 확대 - 9 - ㅇ 본 동향 자료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국인직접투자통계시스템(INSC)과 (사) 외국인직접투자연구센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자료를 바탕으로 2023년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을 분석한 자료입니다. * 업종 분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및 외국인직접투자통계시스템(INSC)을 따름ㅇ 본 자료는 2023년 9월 30일까지의 잠정적 실적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일부 수치는 추후 변경이 가능합니다. ㅇ 산업통상자원부의 외국인직접투자 동향은 매 분기 발표되며, 2023년 전체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자료는 2024년 1월 초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건설, 한남3구역 재정비 위해 세계적인 건축·설계기업 MVRDV와 협업한다 (0) | 2023.10.04 |
---|---|
한화솔루션, 정기 임원인사 단행 (0) | 2023.10.04 |
금호타이어, 대형카고 전륜용 ‘KXA17’ 등 신제품 출시 (0) | 2023.10.04 |
LG전자 협력사의 제조 경쟁력 지원 나선다 (0) | 2023.10.04 |
GS25, 아이스딸기탕후루 단독 출시 (0) | 2023.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