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고품질 공간정보로 재난관리 효율성 높인다

by dexxx 2023. 6. 8.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3. 6. 8.(목) 11:00 이후(6. 9.(금) 조간) / 배포 : 2023. 6. 8.(목) 고품질 공간정보로 재난관리 효율성 높인다 - 6월 8일 국토지리정보원-경상북도-경상북도경찰청 업무협약 체결- ‘디지털 대전환 경북’ 실현 위한 재난관리·스마트시티 분야 공간정보 활용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조우석)은 6월 8일 오후 4시 경북도청에서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 경상북도경찰청(청장 최주원)과 효율적인 재난관리와 국가공간정보 활용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협약은 공간정보를 활용한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스마트시티 분야 공간정보의 다양한 서비스 확대로 경북 디지털 대전환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으며, ㅇ 이번 협약을 통해 ▲국토위성영상 및 긴급 공간정보 등 재난분야 활용, ▲재난관리 공간정보 활용모델 구축·확산 및 성과 환류, ▲공간정보를활용한 스마트시티 분야 정보공유와 상호협력, ▲그 외 협업과제 발굴 및 정기적 교류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 경상북도 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협약은 재난 분야 활용뿐 아니라 교통, 복지, 환경 등 스마트시티 전 분야에 공간정보 활용의 기폭제가 될 것” 이라며, “국토지리정보원과 협력 및 자문을 통해 가상모형, 3차원 지도 활용 플랫폼 등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다양한 공간정보 협력사업을 발굴하여 디지털 경북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은 “재난관리 분야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생산하는 고품질의 공간정보가 국민의 안전을 위해 가장 가치 있게 활용될 수 있는 분야로, 적시에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재난관리용 공간정보를 지속제공할 것이며,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생산한 공간정보가 지자체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국토지리정보원 책임자 센터장 이호형 (031-210-2790) < 총괄 > 국토위성센터 담당자 시설연구관 양효진 (031-210-2765) < 공동 > 경상북도 메타버스과학국 책임자 과 장 김경숙 (054-880-2970) 정보통신과 담당자 팀 장 이대우 (054-880-2961) 경상북도경찰청 책임자 경 정 정선중 (054-824-2061) 경비과 담당자 경 감 이명근 (054-824-2561) - 2 - 참고 1 국토지리정보원-경상북도-경상북도경찰청 업무협약 개요□ 목 적 ㅇ 국토지리정보원 공간정보의 재난안전 분야 활용 활성화를위한우리원-경북도-경북경찰청 기관 간 업무협약 체결 □ 개 요 ㅇ 일시 및 장소 : 6.8(목) 16:00 / 경북도청 다목적홀 ㅇ 참가대상 : 국토지리정보원, 경상북도, 경상북도경찰청 ㅇ 협약내용 - 국토위성영상 및 긴급 공간정보 등 재난분야 활용 체계 구축- 재난관리 공간정보 활용모델 구축·확산 등 협력사업 추진- 공간정보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분야 정보공유 및 상호협력- 그 외, 협업과제 발굴 및 정기적 교류 체계 마련 등 □ 업무협약 추진경위 ㅇ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위치기준 확립 및 고품질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토 공간정보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핵심기관으로, ’21.10월부터 국토위성*을 운영하고 공간정보구축및 재난관리 등을 위해 국토위성영상을 제공·활용 중이다. * 국내 최초 공공수요 대응을 위해 개발된 위성으로, 흑백 50cm 및 컬러2m의해상도의 위성영상을 취득 가능한 위성 ㅇ 특히, 국토지리정보원은 국내외 재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20년부터긴급 공간정보*를 제공 중이며 올해의 경우 충남 홍성 산불, 경북영주산불 등 7개 대형산불에 대해 23개의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튀르키예 지진 복구 지원을 시작으로 국제 재난 대응기구인인터내셔널 차터(International Charter)에 가입하는 등 재난분야에공간정보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규모 재난 발생시, 위성·항공·드론 등으로 신속하게 재난현장을 촬영하고, 재난발생 전/중/후 영상과 고정밀 공간정보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서비스 - 3 - ㅇ 경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난발생 시점에 그 지점의 위성·항공영상, 가공정보(수치지형도, 인구·건물 통계)를 핫라인으로 제공받아재난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재난상황을 확인하고 신속한피해규모를 산정하며, 레이어 중첩기능을 활용한 2차 재난 상황관제에이용하는 등 재난분야에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적용·활용할예정이다. ㅇ 한편, 경북도와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난해부터 재난분야 공간정보활용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의하였으며, 경북도는 올해‘재난분야 위성활용 시범 지자체’로 지정되어, 「재난안전 스마트시티통합플랫폼* 2단계 사업」을 통해 온라인 기반의 신속한 공간정보공유 및 레이어 중첩 연계 작업도 포함하여 추진하였다. * 「경상북도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 체계적인 스마트 안전도시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영상, 사물인터넷(IoT)기반의경북 재난안전 통합시스템 - 재난안전 분야 분산된 데이터 활용과 제한된 상황관리를 통합 연계하여 시군, 도, 중앙· 유관기관에 활용지원 및 향후 AI·빅데이터 활용 기반 역할을 수행을 목적으로 함 - 4 - 참고 2 ‘긴급 공간정보’ 개요 및 제공 사례 □ 긴급 공간정보 서비스 개요 ㅇ (서비스 개념) 산불 등 재난상황 발생 시, 현장을 디지털형태로복원, 이를 관계기관에 신속(1~3일 이내) 배포하는 서비스 < 긴급 공간정보 서비스 개요 > ㅇ (데이터 형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관리 중인 과거 공간정보와재난 상황을 위성·항공 등으로 긴급 촬영한 영상정보가 융합된데이터< 긴급 공간정보 데이터 개요 > - 5 - □ 긴급 공간정보 제공 사례 ㅇ 충남 홍성군 산불(’23.4.2.(일)) - 산불 발생 후 위성영상을 신속하게 확보·처리하여 산불 발생전·후영상을 관계기관(행안부, 산림청, 충청남도 등)에 제공 < 발생 전(국토위성 1호, ’22.7.30. 촬영) > < 발생 후(국토위성 1호, ’23.4.9. 촬영) > (피해지역: 노란색) ㅇ 서울 인왕산 산불(종로구 부암동, ’23.4.2.(일)) - 산불 발생 후 위성영상을 신속하게 확보·처리하여 산불 발생전·후영상을 관계기관(행안부, 산림청, 서울특별시 등)에 제공 < 발생 전(국토위성 1호, ’22.10.19. 촬영) > < 발생 후(국토위성 1호, ’23.4.10. 촬영) > (피해지역: 노란색) - 6 - 참고 3 인터내셔널 차터 개요 및 운영 현황 □ 국제기구(International Charter) 운영 현황 ㅇ (개요) 전 세계 주요 재난에 대해 신속한 대응 및 분석 지원을위해국가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인터내셔널 차터’를 운영 중(2000~) - 유럽우주항공청(ESA), 미국지질조사국(USGS)를 중심으로 총 270개이상의위성을 활용, 약 780건에 재난에 대해 위성영상 및 분석정보제공ㅇ (차터 구성) 차터 멤버, 위성보유·운영기관, 재난정보 요청기관, 프로젝트 매니저, 재난분석 기관 등으로 구성 < 인터내셔널 차터 구성 및 주요역할 > 구분 주요 역할 차터 멤버 (Charter) ▪위성을 보유·운영 중인 국가기관으로 인터네셔널 차터 운영·관리기관▪ESA, USGS, KARI(항우연) 등 총 17개 기관으로 구성(국가별 1개기관) 위성보유·운영기관 (Data Contributor) ▪위성을 보유·운영 중인 기관으로 재난발생 시 위성영상 제공▪Maxar, AirBus, PLANET 등으로 구성 재난정보 요청기관 (Authorized User) ▪각 국가별 재난발생 시 재난정보 제공요청 수요를 차터에 제출▪국가별로 1개기관 가입이 가능하며 국내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가입프로젝트 매니저 (Project Manager) ▪재난 발생 시 해당 재난에 대한 위성영상 수집·분석 총괄 기관(한시적) 재난분석 기관 (Value Adder)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재난피해현황 등을 분석하는 기관 ㅇ (차터 운영) ‘재난정보 요청기관’에서 재난 발생 후 관련 정보제공요청 시 차터는 프로젝트 매니저를 선정 및 위성영상 촬영 수행- 이후, 프로젝트 매니저가 촬영된 위성영상 수집 및 재난분석기관선정을 통해 위성영상 및 분석결과를 ‘재난정보 요청기관’ 등에제공< 인터내서널 차터 운영 흐름도> - 7 - 참고 4 국토위성(1호, 2호) 개요 □ 사업개요 ㅇ (근거)「차세대중형위성 1단계* 개발사업계획」(‘14.12, 국가우주위) - 국토·농업·산림·수자원·재난 등 공공 부분 “국가 위성수요를고려한인공위성 독자 개발”을 목표로 차세대중형위성 시리즈 개발* *【1단계】1ㆍ2호(국토부) /【2단계】3호(과기부), 4호(농진청, 산림청), 5호(환경부) 《 참고 :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의 의의 》 ◯1 국내 최초의 중형위성으로서 기술 국산화율(본체 86%, 탑재체 98%)이 높음◯2 중형위성 표준 플랫폼 마련(1호기 플랫폼을 2, 4, 5호기에도 적용) ◯3 위성제작 핵심기술 민간이전(항공우주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 국토위성 개요 및 위성 제원 ㅇ (국토위성) 국토이용ㆍ자원관리, 재난 대응 및 국가공간정보활용을위해 과기부와 공동으로 500kg급 정밀지상관측 위성 2기개발- 과기부는 주관 부처로서 위성 본체 개발, 우리부는 위성 主활용부처로서 탑재체(광학카메라 해상도 : 흑백 0.5m, 컬러 2.0m) 개발담당ㅇ (기간/예산) ’15. 3.∼’24. 12. / 2,434억원(국토부 805억원, 과기부 1,629억원) ㅇ (개발주체) 1호기 항공우주연구원, 2호기 한국항공우주산업(주) * * 1호기는 ‘21.3월 발사 완료, 2호기는 위성 발사를 위해 발사대행업체 선정中구 분 개발 규격 위성체 형상 및 운영궤도임무수명 4년 해상도 흑백 0.5m급, 컬러 2.0m급* * 컬러 : 청색, 녹색, 적색, 근적외선 고도 / 관측폭 497.8km / 12km 이내 국토위성 공전주기 약 95분(15회 공전/일) 한반도 촬영주기 3~4일/1주 (1기당 약 100초 촬영) 한반도 전역촬영주기 6~12개월(구름 등 기상영향 고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