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세계적인 탄소중립도시 전문가 한자리에

by 플래닛디 2023. 5. 23.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 1 - 보도시점 : 2023. 5. 23.(화) 11:00 이후(5. 24.(수) 조간) / 배포 : 2023. 5. 23.(화) 세계적인 탄소중립도시 전문가 한자리에- 5월 26일 부산 벡스코에서 탄소중립도시 국제 콘퍼런스 개최- 네덜란드·덴마크 등 탄소중립 선도도시의 정책 및 사례 공유의 장□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5월 26일 벡스코에서 ‘글로벌 기후 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한 도시의 도전’이라는 주제로 탄소중립도시 국제 콘퍼런스(이하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5.24.~5.27.)의 일환으로 올해 처음 추진되는 이번 국제 콘퍼런스는 주요 선진국의 탄소중립도시 추진현황을 공유하고탄소중립도시로서 기후위기에 대응하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미국, 덴마크, 네덜란드의 기업, 학계, 정부 전문가가탄소중립도시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세계적인 도시의 혁신적인 사례를발표하고, 국내 전문가들과 열띤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ㅇ 해양기술 기업 오셔닉스의 최고기술경영자 마테오 피에트로벨리의 해상도시 시범사업인 ‘오셔닉스 부산 프로젝트’ 소개를 시작으로,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교수 킴 노만 안데르센과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시(市) 수석고문 엘레인 뮐더가 탄소중립도시 추진사례에 대해 발표한다. □ 모든 발표·토론 내용에 대해 한국어-영어 동시통역이 제공되며, 기후산업, 스마트시티 등에 관심이 있는 국민 누구나 무료로 참석이 가능하다.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누리집(www.wce.or.kr)을 통해 실시간 온라인 참여도 가능 □ 국토교통부 길병우 도시정책관은 “이번 행사는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 세계 도시의 대응 방안과 기술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면서, “국토부는 앞으로도 7월 OECD 라운드 테이블, 9월 월드스마트시티엑스포 등을 통해 국제적인 지식교류의 장을 만들고 확대하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도시정책관 책임자 과 장 윤영중 (044-201-4845) 도시경제과 담당자 사무관 이용관 (044-201-4842) 보도자료 - 2 - 참고 1 탄소중립도시 국제 콘퍼런스 포스터 - 3 - 참고 2 탄소중립도시 국제 콘퍼런스 참여 연사 및 패널□ 참여 연사 사진 이름(국적) 소속 및 직책 전문가 활동내역 비고[도시사례 1] 해상도시 시범모델 오셔닉스 시티 (Floating cities: creating habitat solutions that adapt to climate change) 마테오 피에트로벨리 Matteo Pietrobelli (미국) 오셔닉스 최고기술경영자 (CTO) ▪세계 최초 해상도시 시범모델, ‘오셔닉스 부산’ 프로젝트 추진 ▪회복탄력성 있고 지속가능한 부유식 공동체 세계 최초 시범모델 제안 ▪지속가능한 해상도시의 설계와 건설을 추구하는 블루테크 기업 오셔닉스의 최고 기술경영자 현장참여[도시사례 2] 코펜하겐의 탄소중립 :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성공스토리(Carbon Neutrality in Copenhagen: Innovative Ideas and Success Stories) 킴 노만 안데르센 Kim Normann Andersen (덴마크) 코펜하겐 경영대학원 IT프로그램 교수 ▪코펜하겐 경영대학원 IT프로그램 교수 ▪2021 스마트시티 탑 어젠다 전문지 참여 (디지털 선도 국가인 덴마크와 한국에서 스마트 시티와 안전, 지속가능성 그리고 회복력에 대한 대응) 현장참여[도시사례 3] 건강한 위트레흐트시의 개발(How to develop a healthy Utrecht) 엘레인 뮐더 Erlijn Mulder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시 수석고문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지역 도시개발 및 국제 교류 담당 온라인참여□ 패널 사진 이름 소속 및 직책 전문가 활동내역 비고사회 및 토론(1인) 조대연 국토교통과학 기술진흥원 전문위원 ▪(전) KAIA 스마트시티사업단 단장 ▪(전) KAIA 신사업추진단장 현장참여토론자(5인) : 발제자 3인 + 토론자 2인 송재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제위원장, 기후 변화위원장 ▪(현) 대통령직속 국가기후환경회의 국제협력 위원회 전문위원 ▪(현) 국가스마트도시위원회 위원 현장참여정주철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현) 부산대 스마트시티혁신인재육성사업단장 ▪(현) 부산대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책임자 ▪(현) 부산대 녹색융합기술 인재양성 지원 사업 부단장 ▪(현)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현장참여 - 4 - 참고 3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요(WCE) □ (행사목적) 부산(벡스코)에서 부산 엑스포 주제와 연계한 기후에너지분야대규모 행사 개최를 통해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적극 지원ㅇ 탄소중립 관련 산업계 역동적 대응 공유 및 국제적 논의의 장마련을통해 기후산업 선도 및 新성장동력화 도모 □ (일시·장소) ’23.5.24(수) ~ 27(토), 부산 벡스코 □ (주관·주최) 산업부, 외교부, 환경부, 국토부, 해수부, 과기부, 행안부, 중기부, 탄녹위, 금융위, 엑스포 유치위, 부산시, 대한상의, 무역협회, 코트라, 에너지공단등□ (행사주제) 기후위기를 넘어, 지속 가능한 번영으로 가는 길□ (프로그램(안)) 관련행사 통합개최* 등을 통해 국가 대표급 행사로추진 * 관련 행사 : (통합개최) 산업부 에너지대전·탄소중립 EXPO·탄소중립 컨퍼런스, 환경부 GGHK, 부산시 ENTECH, (협조) 과기부·국토부·환경부·해수부 컨퍼런스·전시회 등 ㅇ (사전행사) 5.24(수) 18:00~20:00, 주요 인사 환영리셉션 ㅇ (개막식) 5.25(목) 오전 10:30~11:40, 환영사·기념사·기조연설·토론등ㅇ (콘퍼런스) 5.25(목)~27(토) 벡스코 컨벤션홀 * 서밋 순차진행- (비즈니스서밋) 한국 대표 CEO들이 참석하는 비즈니스리더라운드테이블과 미래사업방향(저탄소E·ESG경영)을 논의하는 심화세션진행- (도시서밋) 주요국 시장들이 참석하는 기후산업 대표도시라운드테이블과 탄소중립도시세션 진행 - (리더스서밋) 기후위기 관련 국제기구·국가 정상 등이 참석하여기후위기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기후·해양 리더스서밋 진행ㅇ (전시회) 5.25(목)~27(토) 벡스코 제1·2전시장(500여개 기업) - 미래모빌리티관(국토·산업부) : 수소모빌리티, 전기차 자율주행등- 청정에너지관(에너지대전)(산업부) : 태양광, 풍력, SMR 등 - 에너지효율관(에너지대전)(산업부) : 고효율제품, 기술 등 - 탄소중립관(탄소중립EXPO)(산업부) : 연·원료대체, CCUS 등 - 5 - - 엑스포홍보관(유치위등) :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홍보 - 정책금융관(금융위) : 기후산업 관련 금융상품 및 서비스 홍보- 기후환경기술관((과기·해수부, 부산시(ENTECH)) : 기후·해양환경· 친환경 기술 및 성과 등 - 부대행사 : 수출 상담회(GGHK)(산업·환경부), 원자력 청정수소국제비즈니스 포럼(산업부), 기후미래포럼(과기부) 등 ㅇ (연계행사) 5.25(목),26(금) 양일간 14:00~18:00, NYT A New Climate * ①해안 회복력, ②에너지전환, ③녹색 교통수단을 주제로 기조연설, 담화, 토론 등 진행ㅇ (폐막식) 5.27(토) 18:00~21:30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 드림콘서트* * ’95년부터 시작, 관객 3.5만명 예상, K팝 최정상급 출연 예정 <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프로그램(안) > 프로그램 일자 시간 주요 내용(안) 장소1. 사전행사 24(수) 1800~2000 주요인사 환영리셉션 파라다이스호텔2. 개막식 25(목) 1030~1140 환영사·기념사·기조연설·개막공연 등 오디토리움3. 컨 퍼 런 스 비즈니스 서밋 25(목) 1200~1330 비즈니스 리더 라운드테이블 컨벤션홀1500~1700 저탄소에너지 세션 26(금) 1000~1200 ESG 경영 세션 도시서밋 1400~1530 도시시장 라운드테이블 1530~1700 탄소중립도시 세션 리더스서밋 27(토) 1400~1500 해양보전과 기후변화 1500~1600 더 나은 해양을 향한 해운 탈탄소화 4. 전시회 (부대행사 포함) 25(목) ~ 27(토) 청정E관, E효율관(정책금융관 포함), 탄소중립관, 미래모빌리티관, 엑스포홍보관 제1전시장기후·환경기술관(친환경관+기후기술관) 제2전시장GGHK, 원자력 청정수소 국제포럼, 기후미래포럼 등 각 전시장5. 연계행사 25(목), 26(금) 1400~1800 New York Times A New Climate 컨벤션홀6. 폐막식 27(토) 1800~2130 드림콘서트 아시아드경기장<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전시회 구성 > 제1전시장 제2전시장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