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서울시,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 개최결과

by dexxx 2025. 6. 5.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 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0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 자료담당 부서: 도시공간본부 도시계획과 도시계획과장 이광구 02-2133-8305 도시계획혁신 팀장 김학선 02-2133-8326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2쪽 도시공간포털 (도시계획위원회) http://urban.seoul.go.kr/ 상단<알림마당> → 위원회 2025년 제9차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개최결과□ 금일 처리 안건 : 총 5건 ○ 원안가결 : 2건 ○ 수정가결 : 3건 ※ 자문, 보류, 보고 안건은 보도자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 안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관부서에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 심의결과 1부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 상정안건【 2025. 6. 4 (수) 14:00 】 ▣ 총 5건 (원안가결 2, 수정가결 3) 연번 안 건 명 개 요 심의결과 비고1 <주택정책과> 재건축 추진 14개 아파트, 신속통합 기획(재개발)토지 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지정(안) ○ 위 치 : 재건축 추진 14개소(강남구, 송파구), 신통기획 11개소(2,239,774.7㎡) ○ 내 용 :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지정 심의 - (재지정) 재건축 추진 14개소(강남구, 송파구) 1,390,708.0㎡ - (지 정)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선정지 11개소 849,066.7㎡ 원 안 가 결 <신규상정> 부동산제도팀팀장 : 유병민담당 : 전창수(2133-7032) 2 <주거정비과> 목2동 232번지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 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안), 엄지마을 관리형 주거환경개선 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변경)(안) ○ 위 치 : 양천구 목2동 232번지 일대(22,315㎡) ○ 내 용 : 목2동 232일대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안), 엄지마을 관리형 주거환경개선구역 및 정비계획 결정(변경)(안) 수 정 가 결 <신규상정> 재개발관리팀팀장 : 장도영담당 : 고동우(2133-7188) 3 <도시재창조과> 용도지역 변경, 내자·필운구역 제2-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변경 결정 ○ 위 치 : 종로구 내자동 81번지 일대(13,285.34㎡) ○ 내 용 : 용도지역 변경, 내자·필운구역 제2-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변경 결정 수 정 가 결 <재상정> 도시재창조계획팀팀장 : 장수진담당 : 김종민(2133-4648) 4 <시설계획과> 도시계획시설(학교) 세부시설조성계획 결정(변경)(안) ○ 위 치 : 마포구 상수동 72-1번지(94,508㎡) ○ 내 용 : 홍익대학교 5구역 내 혁신성장시설(뉴홍익) 신축 - 구역계획 변경(외부활동구역 → 상징경관구역) 및 용적률 완화 수 정 가 결 <신규상정> 교육문화계획팀팀장 : 김응철담당 : 윤효진(2133-8412) 5 <시설계획과> 도시계획시설(전 기공급설비) 결정(안) ○ 위 치 : 용산구 보광동 일원(4,182㎡) ○ 내 용 : 한남5 재정비촉진계획 상 보광변전소 이설에 따라 기존 가공송전선로를 터널형 송전선로로 지중화 원 안 가 결 <신규상정> 공공시설정책팀팀장 : 고경곤담당 : 유민종(2133-8407) - 3 -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0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담당 부서: 주택실 주택정책과 주택정책과장 사창훈 02-2133-7010사진 없음 □ 사진 있음▣ 쪽수: 4쪽 부동산제도팀장 유병민 02-2133-7030강남·송파 재건축 아파트 14곳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투기차단 총력- 6.4.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통과… ’26년 6.22.까지 1년간재지정- 강남구 대치동 등 10개 단지 0.77㎢, 송파구 잠실동 4개 단지 0.66㎢재지정-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선정지 11곳은 ‘신규 지정’ 투기 방지… 6.17.부터1년간발효- 토지거래허가구역, 주거지역은 6㎡, 상업지역 15㎡ 초과거래시 구청장허가필요□ 서울시가 강남·송파 재건축 아파트와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선정지를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부동산 투기를 방지한다. □ 서울시는 6월 4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강남·송파구재건축 추진 아파트 14곳을 2026년 6월 22일까지 1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 강남3구, 용산구아파트에 대한 지정 이후 이번 달 22일 만료를 앞두고, 개발 기대감에따른투기 수요 유입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조치다. □ 대상 지역은 강남구 대치동, 삼성동, 청담동 10개 단지와 송파구잠실동 4개 단지 총 14개 단지로, 면적은 1.43㎢에 달한다. ○ 구체적으로 ▴대치동 개포우성1,2차(88,760.6㎡), 선경(78,636.2㎡), 미도(195,080.4㎡), 쌍용1차(47,659.0㎡), 쌍용2차(24,484.4㎡), 우성1 - 4 - 차(29,874.0㎡), 은마(243,552.6㎡) ▴삼성동, 청담동진흥(51,035.5㎡), ▴청담동 현대1차(7,004.1㎡), ▴잠실동 주공5단지(353,077.0㎡), 우성1·2·3차(120,354.0㎡), 우성4차(31,631.0㎡), 아시아선수촌(158,424.8㎡)이다. □ 아울러 서울시는 지난 4월 28일 2차 후보지 선정위원회에서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11개 구역(0.85㎢)도 신규로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 대상지는 금천구 독산동 380 일대(121,830.6㎡) ▴영등포구 신길동 3922일대(33,896.7㎡) ▴용산구 청파동1가 97-35 일대(49,210.8㎡) ▴양천구 신정동 922 일대(84,186.6㎡) ▴은평구 응암동 675 일대(40,696.4㎡) ▴관악구 신림동 610-200 일대(196,841.0㎡) ▴신림동119-1 일대(16,899.0㎡) ▴도봉구 쌍문동 26 일대(39,499.8㎡) ▴성북구 장위동 219-90 일대(131,226.4㎡) ▴장위동 224-12 일대(110,641.8㎡) ▴정릉동 710-81 일대(24,137.6㎡)이다. □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주거지역 6㎡, 상업지역 15㎡를초과하는 토지 지분에 대한 소유권이나 지상권 이전·설정 계약시해당구청장의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지가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투기적인거래가성행하는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 또는 재지정하고주택시장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을 통해 부동산 투기에대한철저한 방지와 실수요자의 유입으로 안전한 부동산시장을 만들어나갈것”이라고 말했다. - 5 - 붙임 1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지정 내용 1) (재지정) 잠·삼·대·청 재건축 14개 아파트 ㅇ 지정기간: 2025. 6.23.~2026. 6.22.(1년) ㅇ 지정범위: 변경없음(‘아파트’ 용도 한정, 1,429,573.6㎡) - 대치 미도 아파트(신속통합기획 재건축) 상가 포함 전체 지정 ㅇ 허가대상면적: 법령 상 기준 면적의 10% 적용 ※ 예시: 주거지역 6㎡, 상업지역 15㎡, 공업지역 15㎡, 녹지지역 20㎡ 2) (지정)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 선정지 11개소 ㅇ 지정기간: 2025.6.17.~2026.8.30. - 허가구역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다른 구역 지정기간에 맞춰 종료기간 설정 ㅇ 지정범위: 사업 경계로 한정(849,066.7㎡) ㅇ 허가대상면적: 법령 상 기준 면적의 10% 적용 ※ 예시: 주거지역 6㎡, 상업지역 15㎡, 공업지역 15㎡, 녹지지역 20㎡ - 6 - 붙임 2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및 지정 위치 잠·삼·대·청 재건축 14개 아파트 신속통합기획 주택재개발(11개소) - 7 -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 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 자료담당 부서: 주택실 주거정비과 주거정비과장 김유식 02-2133-7190 재개발관리팀장 장도영 02-2133-7186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3쪽 '신통기획' 목2동 232번지 일대, 용왕산 조화이룬 586세대 공급 본격화- 목2동 232번지 일대 주택재개발사업 정비구역 지정·정비계획 결정(안) ‘수정가결’ - 신속통합기획 완료 113곳 중 74번째 정비계획 결정… 가이드라인수립후1년만에확정-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적용, 보정계수 반영…사업성 개선 주택공급확대□ 양천구 목2동 232번지 일대가 ‘신속통합기획’ 가이드라인 수립 후1년만에정비계획이 확정돼 재개발이 빨라진다. 용왕산과 조화를 이룬586세대단지 조성으로 목동 구시가지의 정비사업이 탄력받을 전망이다. □ 서울시는 6월 4일 열린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목2동 232번지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수정가결’ 했다고 밝혔다. □ 대상지는 노후한 단독·다세대주택이 혼재돼 있고, 도로가 좁고 막다른골목이 많아 보행 환경이 열악한 주거지다. 불법 주정차 문제도 심각해주거환경 개선이 시급했다. 서울시는 2022년 12월 이 지역을 신속통합기획후보지로 선정한 뒤, 2024년 7월 마련한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정비계획을 - 8 - 수립했다. □ 이번 계획은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라 사업성보정계수1.71을 적용해 허용 용적률이 기존 220%에서 230%로 완화돼사업성이 개선됐다. 이로써 지상 22층 8개 동, 총 586세대(공공주택88세대 포함) 규모로 자연과 어우러진 주거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 특히 표고 차이가 15m에 달하는 분지 형태로 동서간 보행이단절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형에 순응한 단지와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했다.지형 레벨을 활용한 저층부 공간은 주민공동이용시설과 커뮤니티시설로구성해 생활 편의를 도울 예정이다. 인근 용왕산근린공원과 연결되는열린 보행네트워크를 조성해 접근성을 높인다. □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계획으로 노후 주택지역을 정비하고,도시경관과 지형을 고려한 양질의 주택공급을 확대하겠다”며“앞으로목동 일대 도시경관은 물론 주거의 질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말했다. 붙임 : 위치도 1부. 끝. - 9 - □ 위 치 도 <대상지 개요> • 면적 : 22,315㎡ • 용도지역: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이하) <추진현황> • ’24. 7. 신속통합기획가이드라인확정• ’24. 8.~9. 주민 공람공고 • ’25. 6. 도시계획위원회심의통과□ 조감도(안)(예시) - 10 -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 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0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담당 부서: 도시공간본부 도시재창조과 도시재창조과장 김용배 2133-4630 도시재창조계획팀장 장수진 2133-4639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4쪽 내자·필운구역 제2-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정비계획 변경(안)“수정가결”- 제9차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개최 결과 - □ 서울시는 지난 4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종로구내자동81번지 일대「내자·필운구역 제2-1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고 밝혔다. □ 대상지는 2011년 5월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으로 최초 결정되었으며,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과 근접하여 교통 접근성 등 입지조건이우수하나 노후·불량 건축물이 밀집되어 환경개선 및 도시기능회복이필요한 지역이었다. ○ 이번에 시행하는 제2-1지구는 서울경찰청 및 중국문화원과 맞닿아있으며, 반경 500m 내에 주요 역사문화자원인 경복궁, 사직단, 경희궁등이 위치하고 있다. - 11 - □ 정비계획 변경(안)의 주요 내용은 용적률 431%, 높이 85m이하로건축밀도를 결정하고, 대상지에 사직동 주민센터를 신축 이전하여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하며 지역에 필요한 기반시설(도로, 녹지)을 제공토록 하였다. ○ 대상지의 용도지역은 사직로변으로 노선형 상업지역과 그 외 제3종일반주거지역이 혼재되어 있으나, 준주거지역으로 일원화하여 토지효율을높였으며, ○ 경복궁 등 주변의 주요 역사문화자원에서의 경관 등을 고려하여 사직로변최고높이(85m) 범위 내에서 높이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 지하 4층, 지상 26층, 연면적 약 82,900㎡ 규모의 근린생활시설, 공동주택(199세대, 장기전세주택 8세대 포함) 2개동, 오피스텔(186호)1개동, 공공청사(사직동 주민센터)를 복합개발하게 된다. ○ 특히, 공공청사(주민센터)는 1층 진입부에 경복궁역 일대 방문객에게지역안내 및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역사문화라운지를 운영하고, 2층에는지역 내 생활거점기능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주민들의 문화·여가활동을 지원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누리는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 또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및 정원도시 서울’의 일환으로지상에 약 4,750㎡ 규모의 상시 개방공간인 개방형녹지를 확보하여도심내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 북악산∼경복궁∼대상지∼성곡미술관∼경희궁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는통경축과 함께 개방형녹지를 조성하여 주요 역사문화자원의 거점을연결하는 경관 및 녹지축을 확보하고, ○ 개방형녹지는 폐쇄된 입주민 전용의 조경 공간이 아닌, 누구나이용할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계획하여 자연스럽게 공공청사와 저층부상가의 - 12 - 가로활성화를 유도하였다. □ 서울시는 “이번 정비계획 변경 결정으로 서울 도심에서 역사와문화,상업, 주거, 녹지생태가 어우러지는 복합공간조성으로 직주근접실현을 통해 도심공동화 방지 및 활력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밝혔다. 붙임 : 위치도 및 조감도 1부. 끝. - 13 - □ 위 치 도 □ 조 감 도 - 14 -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 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0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 자료담당 부서: 도시공간본부 시설계획과 시설계획과장 이예림 02-2133-8400 교육문화계획팀장 김응철 02-2133-8410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3쪽 홍익대 도시계획시설(학교) 세부시설조성계획 결정(변경)(안)“수정가결” □ 서울시는 2025년 6월 4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홍익대학교 서울캠퍼스 내 혁신성장시설(뉴홍익) 등을 위한 도시계획시설(학교) 세부시설조성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 하였다. □ 금번 결정으로 조성하게 되는 혁신성장시설은 서울시의 ‘대학도시계획혁신’ 정책에 따라 용적률을 1.2배 완화 받아 연면적 약 14만9천㎡(지하5층/지상9층) 규모로 조성하게 된다. □ 홍익대학교는 금번 결정으로 조성하게 되는 혁신성장시설을 통해첨단분야(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교육·연구 기반 및 산·학·연 협력시설등 확충하여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과 함께 대학의 경쟁력을강화할수 있게 되었다. □ 특히 기존 정문과 건축물 일부 철거하여 외부에서 캠퍼스로 진입하는보행동선을 재구성하여 접근성과 개방성을 높였으며, 정문 주변에▲ - 15 - 서울형 키즈카페(281㎡), ▲어린이박물관(495㎡), ▲주민 체육시설(412㎡) 등 주민편의시설을 배치하여 지역 주민 누구나 쉽게이용할수 있도록 조성한다. □ 또한, 홍익대학교 지닌 예술 분야의 특성을 살려 실내·외 갤러리형공간을마련해 대학교 소장품을 전시하는 등 캠퍼스를 찾는 시민 누구나예술작품을 감상하고 휴식할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 이번에 건립되는 혁신성장시설인 ‘뉴홍익’ 은 2023년 국제지명설계공모때 당선된 OMA 렘 콜하스가 설계한 건축물로 저이용되는 운동장부지를활용해 보행자 중심의 열린 광장과 도심 속 녹지공간 ‘홍익숲’을조성하여대학의 새로운 상징 공간으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뉴홍익은 2026년착공하여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붙임 : 위치도 및 조감도(안) 1부. 끝. - 16 - □ 위치도 (마포구 상수동 72-1번지) □ 조감도 - 17 - 2025. 6. 5.(목) 석간용 이 보도 자료는 2025년 6월 5일 오전 09:00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 자료담당 부서: 도시공간본부 시설계획과 시설계획과장 이예림 02-2133-8400 공공시설정책팀장 고경곤 02-2133-8402 사진 없음 □ 사진 있음 ▣ 쪽수: 2쪽 보광동 ~ 반포동 간 가공 송전선로 지하화하는 도시계획시설(전기공급설비) 결정(안) “원안가결”□ 서울시는 2025년 6월 4일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보광동~반포동 간 전기공급설비(송전선로) 결정(안)에 대하여 “원안가결”하였다. - 전기공급설비(송전선로): 면적=4,182㎡ / 연장=1,360m□ 대상지는 반포대교 일대로서 한강을 가로지르는 가공송전선로로인해도시미관이 저해되고 있었으나, 송전선로 지중화를 전제로수립된한남5재정비촉진사업 추진이 본격화됨에 따라 정비사업조합측에서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을 제안하였다. □ 본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은 한강하부에 새로운 송전선로를 설치하여기존 송전선로(철탑 4개소)를 철거하는 계획으로, 그 간 송전선로로저해된 한강변 도시미관 개선이 기대되며, - 18 - □ 아울러 낙뢰, 자연재해 등 외부 영향을 최소화하여 송전선로결함가능성이 낮아져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 위치도 1부. 끝. □ 위치도 (보광동~ 반포변전소 간 송전선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