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025. 2. 20.(목) 조간용 이 보도자료는 2025년 2월 19일 오전 11:15부터 보도할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담당부서 : 미래공간기획관 공공개발담당관 공공개발담당관 강 성 필 02-2133-8345개발정책팀장 정 현 중 02-2133-8346사진없음 □ 사진있음 ▣ 매수 : 8매 관련 누리집 (메뉴) http://urban.seoul.go.kr/ 성동 삼표레미콘 부지 사전협상 완료… 서울숲 일대 대개조 시작된다- 서울시-민간사업자, 민간 복합개발 및 공공기여계획(안) 등 합의‧협상완료- 최고 77층 규모, 업무‧문화‧판매 등 복합시설 조성… 글로벌 미래산업 거점으로육성- 6,054억 원 규모 공공기여, 유니콘 창업허브 조성‧일대 교통체계 개선에활용- 상반기 서울숲 일대 리뉴얼 마스터플랜 공모, 서울 대표 수변녹지공간으로탈바꿈- 삼표부지, 연내 지구단위계획 결정 후 인·허가 후 이르면 2026년 착공예정□ 서울숲과 한강에 둘러싸여 있는 성동구 성수동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사업 관련 사전협상이 완료됐다. 서울시는 지난 2023년 12월본격적으로 착수한 ‘삼표레미콘 부지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 절차를완료하고 19일(수) 민간 측에 협상완료를 공식 통보했다고 밝혔다. □ 1977년부터 약 45년간 레미콘공장이 운영됐던 해당부지는 지난’17년서울시-성동구-삼표산업-현대제철 업무협약을 통해 기존 시설철거를합의했다. 철거가 완료된 ’22년 8월부터 현재까지는 성동구가문화공연장 등으로 임시 활용 중이다. - 2 - ○ 시는 지난 ’22년 삼표레미콘 부지가 대상지로 선정된 후 관계부서협의등을 포함해 사업제안서 보완을 거쳤으며 ’23년 12월 본격적인 사전협상에 착수해 약 1년여의 기간을 거쳐 최근 합의에 이르렀다. □ 금번 사전협상에서는 삼표레미콘 부지에 대한 개발계획(안)과공공기여 활용계획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아울러 인접한 서울숲 일대에대한 종합적인 개선 방향도 폭넓게 검토됐다. ○ 효율적인 협상을 위해 관련 지침에 따라 서울시, 민간사업자 측 협상단외분야별 민간전문가가 포함된 ‘협상조정협의회’를 구성·운영했고, 총5회에걸쳐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 사전협상에 따라 삼표레미콘 부지는 연면적 44만 7,913㎡규모의업무시설, 숙박시설, 문화‧집회시설, 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지상77층 규모의 복합시설을 조성해 성수 일대와 연계한 글로벌 미래산업거점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제1종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지역을 상향했다. □ 특히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최초 사례이자 서울숲 인근에 위치한부지의상징적 입지를 고려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반영한, 서울을대표하는 또 하나의 랜드마크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 시는 ’23년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진행해 부르즈 할리파(두바이)와63빌딩등 국내외 유명 건축물을 설계한 ‘스키드모어, 오잉스 앤드 메일(S.O.M)’ 사를 선정했다. S.O.M사는 독창적 건축디자인과 함께 인접한 서울숲과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통합적인 구상안을 제안했다. - 3 - □ 아울러 인접한 서울숲~고산자로~응봉교(응봉역)간 보행 연계와서울숲 이용 시민의 다양한 활동과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한 열린공간을다수 확보하는 등 서울숲의 동선 개선과 연결성 확보에 중점을뒀다. ○ 우선 서울숲과 삼표레미콘 부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해 ‘입체보행공원(덮개공원)’과 지하보행통로를 신설하고 주요 연결 결절점에 공개공지와공유공간을 조성, 열린 공간도 최대한 확보한다. ○ 또 건축물 저층에 조성되는 녹지공간과 최상층 전망대를 시민에게개방해한강과 서울숲을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명소로 탄생시킨다는 계획이다. □ 또한 해당 부지는 지난해 8월, 민간분야 도시건축디자인혁신활성화를위해 추진 중인 ‘서울시 도시건축디자인혁신 대상지’로 선정돼, 향후건축위원회 심의시 특별건축구역 지정을 통해 용적률을 최대 105.6%p범위까지 추가 완화 혜택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시는 덧붙였다. □ 이 외에도 금번 사전협상을 통해 확보한 6,054억 원의 공공기여는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정체 완화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과 ‘유니콘창업허브’ 등의 시설 조성에 투입할 예정이다. ○ 확보액 중 약 4,424억 원 상당(73.1%)은 동부간선도로~강변북로, 성수대교 북단램프 신설 등 인접 지역 기반시설 확충에 할애해 주변지역의상습적인 교통문제 해결에 활용한다. ○ 연면적 5만3,000㎡ 규모의 ‘유니콘 창업허브’는 유망 스타트업의고속성장(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전문 창업 시설로 조성된다. □ 공공시설 설치제공 외 공공기여 부분, 약 1,629억 원은 설치비용(현금)으로받아 서울숲 일대 리뉴얼을 통한 종합적인 재정비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 4 - ○ 해당 금액은 관계법령에 따라 자치구 약 489억, 서울시 약 1,140억원으로 배분되며 개장 20주년을 맞는 서울숲 일대를 서울 대표 수변녹지공간으로 탈바꿈시키도록 서울숲 일대 종합적 재정비 등에 우선 투입한다. □ 한편, 시는 상반기 중 ‘서울숲 일대 리뉴얼 마스터플랜 공모’를통해서울숲과 주변 지역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관련 아이디어도받아사업 실현방안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최근 업무시설이급증하고 있는 성수지역 내 문화, 공연 시설 등 부족시설 확충 방안도자치구와 함께 모색한다. □ 금번 완료된 사전협상은 향후 지구단위계획 결정 등 법정 절차를거쳐보다 구체화 될 예정이며 착공은 민간사업의 경우 건축위원회심의,인·허가등을 거쳐 이르면 202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삼표레미콘 부지 개발과 서울숲일대재정비를 통해 서울의 새로운 명소가 또 하나 탄생할 것”이라며“이번개발이 성수지역이 글로벌 업무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붙임 : 삼표레미콘 부지 사전협상 추진현황(조감도 포함) 1부. - 5 - 붙임 삼표레미콘 부지 사전협상 추진현황 사업개요 ㅇ 위치/면적 : 성동구 성수동1가 683일대 / 28,106.2㎡ ㅇ 토 지 주 : 에스피성수PFV(주) ㅇ 도시계획 : 제1종일반주거지역 → 일반상업지역 ㅇ 도입용도 : 업무, 주거, 판매, 숙박, 문화 및 집회시설 ㅇ 개발규모 : 용적률 922.82%이하, 건폐율 60%이하, 지하9/지상77층(2개동) ㅇ 공공기여 : 약 48.75% (약 6,054억) - 설치제공 : 4,424.3억원 / 현금 1,629.7억원 (자치구 488.9, 서울시 1,140.8) - 6 - 조감도 ※ 세부적인 건축계획(안)은 건축 인허가 등 사업추진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7 - - 8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KG 모빌리티, 첫 전기 픽업 ‘무쏘 EV’ 가격 확정… 실구매가 3000만원대 (1) | 2025.02.19 |
---|---|
미래엔 북폴리오, 나태주 신간 ‘마흔에게’ 출간 (1) | 2025.02.19 |
경기도, 연간 최대 120만원 간병비 지원 ‘간병 SOS 프로젝트’ 개시 (0) | 2025.02.19 |
경기도, 2025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서포터즈 1기 모집 (1) | 2025.02.19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민생경제점검회의를 개최하여지역 건설경기 보완 추진 (0)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