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통계청, 2023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결과

by Juneeeee 2025. 1. 16.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일자리행정통계 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1. 16.(목) 12:00 배포 2025. 1. 16.(목) 08:30 2023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결과 담당 부서 통계데이터허브국 책임자 과 장 김지은 (042-481-3675) 행정통계과 담당자 사무관 신가연 (042-481-3656) 일 러 두 기 □ 공공부문 일자리통계는 공공부문의 일자리 추세 분석과 공공부문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됨 ◦ (활용자료) 사회보험, 과세자료, 직역연금, 공공기관 지정현황등 행정자료 ◦ (작성대상) 공공부문(UN 2008 SNA, <부록3>) 기업체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 □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 ◦ (개념)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로, ‘취업자’와는 다름 예시) A기관과 B기관의 업무를 같이 수행하는 경우 취업자는 1명이나, 일자리는 복수(근로일수를 가중치로 적용)로 계산 ◦ (일자리 산정) 연중 근로일수/365일(윤년은 366일) ◦ (산업분류) 기업의 주된 산업 활동을 기준으로『제10차 한국표준 산업분류』를 적용함 ◦ (정부기능분류) 일반정부의 주된 기능을 기준으로 UN SNA 기준 COFOG(Classification of the Functions of Government)를 적용함 ◦ (공무원 구분) 정부기관 근로자 중 공무원연금 또는 군인연금에 가입한 경우는 공무원, 그 외는 비공무원으로 분류함 ◦ (수록 자료) 반올림한 값으로 통계표 내의 합계, 증감 등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는 해당 숫자 없음, 「0」은 단위 미만을 나타냄 □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통계표는 국가통계 포털(KOSIS, http://kosis.kr)에서 이용 가능함(공표 후 1개월 이내) ◦ 수록된 통계자료는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의 행정자료 변경 (추가 수집, 보완, 갱신 등) 등의 사유로 추후 수정될 수 있음 < 2023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변경사항 > -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 개정으로 행정자료가 변동*되어 ’23년 하반기 포괄범위가 변경되었으므로 전년대비 증감 해석에 유의 * ‘23년 행정자료 변동 내용 <부록4> 참조 목 차 □ 요약 ·································································································1 □ 작성 결과 1. 공공부문 일자리 총괄 가. 일자리 규모 ····················································································4 나. 영역별 일자리 ················································································5 다. 일자리 형태 ····················································································6 2.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가. 성별 일자리 ····················································································7 나. 연령별 일자리 ················································································8 다. 근속기간별 일자리 ········································································9 3. 공공부문 기업 특성별 일자리 가. 산업대분류별 일자리 ··································································10 나.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11 4. 정부기관 공무원‧비공무원 일자리 가. 일자리 형태 ··················································································12 나. 성별 일자리 ··················································································13 다. 연령별 일자리 ··············································································14 라. 근속기간별 일자리 ······································································15 □ 통계표 ·························································································16 □ 부록 1.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작성 개요 ··············································32 2. 주요 용어 설명 ············································································33 3. 공공부문 포괄범위 ······································································34 4. 2023년 행정자료 변동 내용 ······················································52 - 1 - 2023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요약) 1. 공공부문 일자리 총괄 □ ’23년 공공부문 일자리 287.3만 개, 전년대비 0.5만 개(-0.2%) 감소 ◦ 일반정부 245.9만 개(85.6%), 공기업 41.4만 개(14.4%)로, 전년대비 일반정부 0.5만 개(-0.2%) 감소, 공기업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임 ◦ 전년대비 지속일자리(4.2만 개)는 증가, 대체일자리(-1.1만 개)와 신규일자리(-3.6만 개)는 감소 공공부문 (287.3만 개, 100.0%) 일반정부 (245.9만 개, 85.6%) 공기업 (41.4만 개, 14.4%) 중앙정부* (89.4만 개, 31.1%) 지방정부* (151.9만 개, 52.9%) 사회보장기금 (4.7만 개, 1.6%) 비금융공기업 (38.6만 개, 13.4%) 금융공기업 (2.8만 개, 1.0%) * 공공비영리단체 포함 □ 총 취업자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 10.0%로, 전년대비 0.1%p 하락 ※ 전체 일자리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 10.8%로, 전년대비 0.1%p 하락 2.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 (성별) 남자 148.1만 개, 여자 139.3만 개로 남자가 여자의 1.06배 ◦ 남자는 전년대비 0.8만 개(-0.6%) 감소, 여자는 0.4만 개(0.3%) 증가 □ (연령) 40대(75.9만 개), 30대(72.6만 개), 50대(69.7만 개) 등의 순 ◦ 전년대비 30대(1.4만 개), 60세 이상(0.8만 개), 50대(0.4만 개) 일자리 증가, 29세 이하(-2.4만 개), 40대(-0.7만 개) 일자리 감소 □ (근속기간) 3년 미만(24.1%), 5~10년 미만(21.6%), 10~20년 미만(21.6%) 등 순 ◦ 평균 근속기간 11.3년으로, 전년대비 0.2년 증가 - 2 - 3. 공공부문 기업 특성별 일자리 □ (산업공공부문 전체)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39.4만 개), 교육 서비스업(77.5만 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1.6만 개) 등의 순 ◦ 전년대비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0.2만 개)에서 가장 많이 증가, 교육 서비스업(-0.8만 개)에서 가장 많이 감소 □ (정부기능분류일반정부) 일반공공행정(83.7만 개), 교육(76.3만 개), 국방(27.2만 개), 공공질서 및 안전(23.1만 개) 등의 순 ◦ 전년대비 공공질서 및 안전(0.2만 개) 등에서 증가, 교육(-0.8만 개) 등에서 감소 4. 정부기관* 공무원․비공무원 일자리 * 중앙정부기관 및 지방정부기관(공공비영리단체 제외) □ (전체) 정부기관 일자리 218.6만 개로, 전년대비 0.8만 개(-0.4%) 감소 ◦ 공무원(67.2%) 일자리가 비공무원(32.8%)의 2.0배 수준이며, 전년대비 공무원은 1.0만 개(0.7%) 증가, 비공무원은 1.9만 개(-2.5%) 감소 □ (성별) 남자 108.1만 개(49.4%), 여자 110.5만 개(50.6%) ◦ 전년대비 공무원은 남자(-0.4만 개) 감소, 여자(1.4만 개) 증가, 비공무원은 남자(-0.2만 개)와 여자(-1.7만 개) 모두 감소 □ (연령) 40대(59.5만 개), 30대(53.2만 개), 50대(52.9만 개) 등 순 ◦ 전년대비 공무원은 30대(1.3만 개) 등에서 증가, 29세 이하(-0.8만 개)는 감소, 비공무원은 60세 이상(0.6만 개)은 증가, 다른 연령대는 감소 <정부기관 성별 일자리 증감> <정부기관 연령별 일자리 증감> - 4 - 2023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작성 결과 1. 공공부문 일자리 총괄 가. 일자리 규모 ◇ ’23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87.3만 개, 전년대비 0.5만 개(-0.2%) 감소 ◇ 일반정부 일자리 0.5만 개 감소, 공기업 일자리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 □ ’23년 공공부문 일자리 287.3만 개로, 전년보다 0.5만 개(-0.2%) 감소함 ◦ 일반정부 일자리는 245.9만 개로 전년대비 0.5만 개(-0.2%) 감소, 공기업 일자리는 41.4만 개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임 ※ ’23년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2,665.5만 개)는 전년대비 0.8% 증가 <공공부문 규모> □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0%로, 전년 10.2%에 비해 0.1%p 하락함 ◦ 일반정부는 8.6%, 공기업은 1.4%로 모두 전년대비 하락함 ※ ’23년 전체 일자리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8%로 전년대비 0.1%p 하락 <총 취업자 수 대비 비율>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 (단위: 만 개, %, %p, 전년대비) 구분 공공부문 공공부문 비율 일반정부 공기업 (총 취업자수* 대비) 일반정부 공기업 2023년 287.3 245.9 41.4 10.0 8.6 1.4 2022년 287.8 246.4 41.4 10.2 8.7 1.5 증감 -0.5 -0.5 0.0 -0.1 -0.1 0.0 (증감률) (-0.2) (-0.2) (0.1) * 총 취업자 수: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자 수에 직업군인 수를 더한 값 - 5 - 나. 영역별 일자리 ◇ 일반정부 일자리(245.9만 개)는 지방정부, 중앙정부, 사회보장기금 순 ◇ 공기업 일자리(41.4만 개)는 비금융공기업이 대부분을 차지 □ 일반정부 일자리는 지방정부(151.9만 개), 중앙정부(89.4만 개), 사회보장기금 (4.7만 개) 순 ◦ 중앙정부 일자리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며, 지방정부 일자리는 전년 대비 0.4만 개(-0.3%) 감소함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 정부기관 여부로 구분 시, 정부기관 일자리 218.6만 개, 공공비영리단체 일자리 27.3만 개로 나타남 □ 공기업 일자리 중 비금융공기업 일자리는 38.6만 개, 금융공기업 일자리는 2.8만 개임 ◦ 비금융공기업과 금융공기업 모두 전년과 동일한 수준임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규모>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일자리 구성비 일자리 구성비 공공부문 전체 287.3 (100.0) 287.8 (100.0) -0.5 (-0.2) 일반정부  245.9 (85.6) 246.4 (85.6) -0.5 (-0.2) 중앙정부 89.4 (31.1) 89.4 (31.0) 0.0 (0.0) 지방정부 151.9 (52.9) 152.3 (52.9) -0.4 (-0.3) 사회보장기금 4.7 (1.6) 4.7 (1.6) -0.1 (-1.5) 공기업 41.4 (14.4) 41.4 (14.4) 0.0 (0.1) 비금융공기업 38.6 (13.4) 38.6 (13.4) 0.0 (0.0) 금융공기업 2.8 (1.0) 2.8 (1.0) 0.0 (0.6) * 사회보장기금 포함 ※ 일반정부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일자리 구성비 일자리 구성비 일반정부 전체  245.9 (85.6) 246.4 (85.6) -0.5 (-0.2) 정부기관 218.6 (76.1) 219.4 (76.2) -0.8 (-0.4) 공공비영리단체* 27.3 (9.5) 27.0 (9.4) 0.3 (1.1) - 6 - 다. 일자리 형태 ◇ 전년대비 지속일자리는 증가, 대체일자리와 신규일자리는 감소 □ 전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261.7만 개(91.1%), 이·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22.5만 개(7.8%),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3.2만 개(1.1%)로 나타남 ◦ 전년대비 지속일자리(4.2만 개)는 증가하였으나, 대체일자리(-1.1만 개), 신규일자리(-3.6만 개)는 감소함 <공공부문 일자리 형태> (단위: 만 개, %, %p, 전년대비) 구분 일자리 지속일자리 대체일자리 신규일자리 2023년 287.3 (100.0) 261.7 (91.1) 22.5 (7.8) 3.2 (1.1) 2022년 287.8 (100.0) 257.6 (89.5) 23.5 (8.2) 6.8 (2.4) 증감(구성비증감) -0.5 ( - ) 4.2 (1.6) -1.1 (-0.4) -3.6 (-1.2) □ 영역별 지속일자리 비중은 금융 공기업(95.5%)에서 가장 높고, ◦ 대체일자리 비중과 신규일자리 비중은 각각 지방정부(9.8%), 비금융 공기업(1.5%)에서 가장 높음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형태>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형태>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공공부문 전체 287.3 (100.0) 261.7 (100.0) 22.5 (100.0) 3.2 (100.0) 일반정부 245.9 (85.6) 223.2 (85.3) 20.1 (89.7) 2.6 (81.3) 중앙정부 89.4 (31.1) 83.6 (31.9) 5.0 (22.1) 0.9 (26.9) 지방정부 151.9 (52.9) 135.2 (51.7) 14.9 (66.5) 1.7 (54.3) 사회보장기금 4.7 (1.6) 4.4 (1.7) 0.3 (1.2) 0.0 (0.1) 공기업 41.4 (14.4) 38.5 (14.7) 2.3 (10.3) 0.6 (18.7) 비금융공기업 38.6 (13.4) 35.9 (13.7) 2.2 (9.9) 0.6 (17.7) 금융공기업 2.8 (1.0) 2.7 (1.0) 0.1 (0.4) 0.0 (1.0) - 7 - 2.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별 일자리 가. 성별 일자리 ◇ 남자 일자리(51.5%)는 여자 일자리(48.5%)의 1.06배 수준 ◇ 여자 일자리는 전년대비 0.4만 개 증가, 남자 일자리는 0.8만 개 감소 □ 남자 일자리(148.1만 개, 51.5%)가 여자 일자리(139.3만 개, 48.5%)의 1.06배 수준임 ※ ’23년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는 남자 일자리가 여자 일자리의 1.3배 수준 ◦ 일반정부는 남녀 일자리 규모가 비슷하나, 공기업은 남자가 여자의 1.56배 수준임 ◦ 여자 일자리는 전년대비 0.4만 개 증가, 남자 일자리는 전년대비 0.8만 개 감소함 <성별 일자리 증감> □ 지속일자리는 남자(136.6만 개)가 여자(125.2만 개)보다 많고, 신규채용 일자리는 여자(14.1만 개)가 남자(11.5만 개)보다 많음 <공공부문의 성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일자리 2022년 일자리 증감 (증감률)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공공 부문 전체 계 287.3 261.7 25.6 0.02 25.6 287.8 -0.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2) 남자 148.1 136.6 11.5 0.01 11.5 148.9 -0.8 (51.5) (52.2) (45.0) (51.4) (45.0) (51.7) (-0.6) 여자 139.3 125.2 14.1 0.01 14.1 138.9 0.4 (48.5) (47.8) (55.0) (48.6) (55.0) (48.3) (0.3) 일반 정부 계 245.9 223.2 22.7 0.01 22.7 246.4 -0.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2) 남자 122.8 112.7 10.1 0.00 10.1 123.5 -0.6 (49.9) (50.5) (44.3) (44.8) (44.3) (50.1) (-0.5) 여자 123.1 110.4 12.7 0.00 12.6 122.9 0.1 (50.1) (49.5) (55.7) (55.2) (55.7) (49.9) (0.1) 공기업 계 41.4 38.5 2.9 0.01 2.9 41.4 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1) 남자 25.3 23.8 1.5 0.01 1.5 25.4 -0.2 (61.0) (61.8) (50.3) (57.3) (50.3) (61.5) (-0.7) 여자 16.2 14.7 1.4 0.00 1.4 16.0 0.2 (39.0) (38.2) (49.7) (42.7) (49.7) (38.5) (1.3) - 8 - 나. 연령별 일자리 ◇ 40대(26.4%), 30대(25.3%), 50대(24.3%) 등의 순 ◇ 전년대비 30대(1.4만 개), 60세 이상(0.8만 개) 등에서 증가 □ 40대가 75.9만 개(26.4%)로 가장 많고, 30대(25.3%), 50대(24.3%), 29세 이하(15.1%), 60세 이상(8.9%) 순으로 나타남 ◦ 전년대비 30대(1.4만 개), 60세 이상(0.8만 개), 50대(0.4만 개)에서 증가하고, 29세 이하(-2.4만 개), 40대(-0.7만 개)에서 감소함 <연령별 일자리 증감> □ 연령별 전체 일자리 대비 지속 일자리 비중은 40대(95.9%), 50대 (95.5%) 등 순이고,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60세 이상(23.3%), 29세 이하(21.1%) 등 순으로 나타남 <연령별 일자리 형태> <공공부문의 연령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일자리 2022년 일자리 증감 지속 (증감률)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공공부문 전체 287.3 261.7 25.6 0.02 25.6 287.8 -0.5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2) 29세 이하 43.5 34.3 9.2 0.00 9.2 45.9 -2.4 (15.1) (13.1) (35.7) (15.1) (35.8) (15.9) (-5.2) 30~39세 72.6 68.3 4.2 0.01 4.2 71.2 1.4 (25.3) (26.1) (16.6) (30.6) (16.6) (24.7) (2.0) 40~49세 75.9 72.8 3.1 0.00 3.1 76.6 -0.7 (26.4) (27.8) (12.1) (25.5) (12.1) (26.6) (-0.9) 50~59세 69.7 66.6 3.1 0.00 3.1 69.4 0.4 (24.3) (25.4) (12.3) (20.2) (12.3) (24.1) (0.6) 60세 이상 25.6 19.6 6.0 0.00 6.0 24.8 0.8 (8.9) (7.5) (23.3) (8.5) (23.3) (8.6) (3.3) - 9 - 다. 근속기간별 일자리 ◇ 근속기간 3년 미만은 24.1%, 10년 이상은 42.0% 차지 ◇ 평균 근속기간은 11.3년으로 전년대비 0.2년 증가 □ 3년 미만(24.1%), 5~10년 미만(21.6%), 10~20년 미만(21.6%), 20년 이상(20.4%) 등 순임 ※ ’23년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는 3년 미만(47.5%), 5~10년 미만(19.8%), 3~5년 미만(13.5%), 10~20년 미만(12.6%), 20년 이상(6.6%) 순임 ◦ 남자는 20년 이상(23.7%), 10~20년 미만(21.9%) 등 순이고, 여자는 3년 미만(27.0%), 5~10년 미만(22.4%) 등 순으로 나타남 <근속기간별 일자리> □ 평균 근속기간은 11.3년으로, 전년대비 0.2년 증가함 ※ ’23년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6.1년임 <공공부문의 근속기간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년, 전년대비) 구분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계 남자 여자 공공부문 전체 287.3 148.1 139.3 287.8 148.9 138.9 -0.5 -0.8 0.4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2) (-0.6) (0.3) 3년 미만 69.3 31.7 37.6 74.4 33.8 40.6 -5.1 -2.1 -3.0 (24.1) (21.4) (27.0) (25.9) (22.7) (29.3) (-6.9) (-6.3) (-7.4) 1년 미만 24.3 10.0 14.2 27.3 11.1 16.2 -3.1 -1.1 -2.0 (8.4) (6.8) (10.2) (9.5) (7.4) (11.7) (-11.2) (-9.6) (-12.3) 1~2년 미만 24.8 11.8 13.0 26.9 12.4 14.5 -2.1 -0.6 -1.5 (8.6) (8.0) (9.3) (9.3) (8.3) (10.4) (-7.7) (-4.7) (-10.2) 2~3년 미만 20.2 9.8 10.4 20.2 10.3 10.0 0.0 -0.5 0.5 (7.0) (6.6) (7.5) (7.0) (6.9) (7.2) (-0.1) (-4.7) (4.6) 3~5년 미만 35.2 17.8 17.4 39.4 20.0 19.4 -4.2 -2.2 -2.0 (12.3) (12.0) (12.5) (13.7) (13.4) (14.0) (-10.6) (-10.8) (-10.3) 5~10년 미만 62.2 31.0 31.2 54.4 27.0 27.5 7.7 4.0 3.7 (21.6) (20.9) (22.4) (18.9) (18.1) (19.8) (14.2) (14.9) (13.6) 10~20년 미만 62.0 32.5 29.5 61.1 32.2 28.9 1.0 0.3 0.7 (21.6) (21.9) (21.2) (21.2) (21.6) (20.8) (1.6) (0.9) (2.4) 20년 이상 58.6 35.1 23.5 58.5 36.0 22.5 0.1 -0.9 1.0 (20.4) (23.7) (16.9) (20.3) (24.2) (16.2) (0.2) (-2.4) (4.3) ◊ 평균근속기간 11.3 12.2 10.3 11.1 12.1 10.0 0.2 0.1 0.3 - 10 - 3. 공공부문 기업 특성별 일자리 가. 산업대분류별 일자리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48.5%) 일자리가 가장 많고, 교육 서비스업(27.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4.1%) 등 순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39.4만 개)이 가장 많고, 교육 서비스업 (77.5만 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1.6만 개) 등 순임 ◦ 전년대비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0.2만 개) 등에서 증가하고, 교육 서비스업(-0.8만 개) 등에서 감소함 <산업별 일자리>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 상위 10대 산업대분류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일자리 2022년 일자리 증감 (증감률)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공공부문 전체 287.3 261.7 22.5 3.2 287.8 -0.5 (100.0) (100.0) (100.0) (100.0) (100.0) (-0.2)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39.4 125.3 12.5 1.6 139.1 0.2 (48.5) (47.9) (55.9) (49.3) (48.3) (0.2) 교육 서비스업 77.5 71.9 5.4 0.3 78.4 -0.8 (27.0) (27.5) (23.9) (10.3) (27.2) (-1.1)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1.6 10.4 0.9 0.3 11.4 0.2 (4.1) (4.0) (4.1) (10.0) (4.0) (1.9)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0.1 9.1 0.8 0.2 10.0 0.1 (3.5) (3.5) (3.8) (7.5) (3.5) (1.5) 금융 및 보험업 8.6 8.2 0.4 0.1 8.7 0.0 (3.0) (3.1) (1.8) (2.0) (3.0) (-0.3) 운수 및 창고업 8.5 8.1 0.3 0.1 8.5 0.0 (3.0) (3.1) (1.5) (2.0) (3.0) (0.1) 정보통신업 6.8 6.5 0.3 0.0 7.2 -0.4 (2.4) (2.5) (1.4) (1.6) (2.5) (-5.1)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5.9 5.8 0.1 0.0 6.0 -0.1 (2.1) (2.2) (0.5) (0.3) (2.1) (-1.0)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5.7 5.1 0.4 0.2 5.5 0.1 (2.0) (1.9) (2.0) (5.2) (1.9) (2.3)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4.6 4.0 0.5 0.1 4.6 0.0 (1.6) (1.5) (2.0) (4.0) (1.6) (0.7) - 11 - 나.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 일반정부 일자리는 일반공공행정(34.0%) 일자리가 가장 많고, 교육(31.0%), 국방(11.1%) 순 □ 일반공공행정 83.7만 개(34.0%), 교육 76.3만 개(31.0%), 국방 27.2만 개 (11.1%), 공공질서 및 안전 23.1만 개(9.4%) 등 순으로 나타남 ◦ 전년대비 공공질서 및 안전(0.2만 개), 국방(0.2만 개) 등에서 증가하고, 교육(-0.8만 개), 일반공공행정(-0.1만 개) 등에서 감소함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일자리 2022년 일자리 증감 (증감률)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일반정부 전체 245.9 223.2 20.1 2.6 246.4 -0.5 (100.0) (100.0) (100.0) (100.0) (100.0) (-0.2) 일반공공행정* 83.7 72.5 10.1 1.1 83.9 -0.1 (34.0) (32.5) (50.3) (43.9) (34.0) (-0.2) 교육 76.3 70.8 5.2 0.3 77.2 -0.8 (31.0) (31.7) (25.9) (11.8) (31.3) (-1.1) 국방 27.2 25.8 1.2 0.2 27.0 0.2 (11.1) (11.6) (6.1) (7.8) (11.0) (0.7) 공공질서 및 안전 23.1 22.0 0.9 0.2 22.9 0.2 (9.4) (9.8) (4.5) (8.9) (9.3) (1.0) 경제활동 15.9 14.7 1.0 0.2 15.9 -0.1 (6.4) (6.6) (4.8) (7.1) (6.5) (-0.5) 휴양․문화․종교 7.2 6.1 0.8 0.3 7.1 0.1 (2.9) (2.7) (3.8) (11.1) (2.9) (1.4) 사회보호 6.8 6.1 0.5 0.2 6.8 0.0 (2.8) (2.7) (2.7) (6.8) (2.8) (-0.0) 보건 3.7 3.5 0.2 0.0 3.7 0.0 (1.5) (1.6) (1.0) (1.4) (1.5) (0.6) 환경보호 1.9 1.7 0.2 0.0 1.9 0.0 (0.8) (0.8) (0.8) (1.1) (0.8) (1.1) 주거 및 지역사회시설 0.1 0.1 0.0 0.0 0.1 0.0 (0.0) (0.0) (0.0) (0.1) (0.0) (-0.3) * 지방자치단체는 정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므로 일반공공행정으로 분류 - 12 - 4. 정부기관 공무원‧비공무원 일자리 가. 일자리 형태 ◇ 정부기관 일자리는 공무원이 67.2%, 비공무원이 32.8% 차지 ◇ 지속일자리는 공무원, 신규채용일자리는 비공무원이 많이 점유 □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146.9만 개(67.2%)로 비공무원이 점유한 71.7만 개 (32.8%)의 2.0배 수준임 ◦ 전년대비 공무원 일자리는 1.0만 개 (0.7%) 증가, 비공무원 일자리는 1.9만 개 (-2.5%) 감소함 <정부기관 일자리 규모> □ 지속일자리는 공무원(71.5%)이 비공무원(28.5%)보다 많고, 신규채용 일자리는 비공무원(76.7%)이 공무원(23.3%)보다 많음 <정부기관의 일자리 형태>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일자리 2022년 일자리 증감 지속 (증감률)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정부기관 전체 218.6 199.0 19.6 - 19.6 219.4 -0.8 (100.0) (100.0) (100.0) - (100.0) (100.0) (-0.4) 공무원 146.9 142.3 4.6 - 4.6 145.9 1.0 (67.2) (71.5) (23.3) - (23.3) (66.5) (0.7) 비공무원 71.7 56.6 15.1 - 15.1 73.6 -1.9 (32.8) (28.5) (76.7) - (76.7) (33.5) (-2.5) - 13 - 나. 성별 일자리 ◇ 공무원 일자리는 남자(56.1%)가 여자(43.9%)의 1.3배 수준, 비공무원 일자리는 여자(64.2%)가 남자(35.8%)의 1.8배 수준 □ 정부기관 일자리는 남자가 108.1만 개(49.4%), 여자가 110.5만 개 (50.6%)를 각각 차지함 ◦ 공무원 일자리는 남자(56.1%)가 여자(43.9%)의 1.3배 수준, 비공무원 일자리는 여자(64.2%)가 남자(35.8%)의 1.8배 수준으로 나타남 □ 전년대비 공무원 일자리 중 여자 일자리(1.4만 개)는 증가했으나 남자 일자리(-0.4만 개)는 감소하였음 ◦ 비공무원 일자리는 남자(-0.2만 개)와 여자(-1.7만 개) 모두 전년대비 감소함 <정부기관 성별 일자리> <정부기관 성별 일자리 증감> <정부기관의 성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정부기관 전체 218.6 146.9 71.7 219.4 145.9 73.6 -0.8 1.0 -1.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4) (0.7) (-2.5) 남자 108.1 82.4 25.7 108.6 82.8 25.8 -0.5 -0.4 -0.2 (49.4) (56.1) (35.8) (49.5) (56.7) (35.1) (-0.5) (-0.4) (-0.6) 여자 110.5 64.5 46.0 110.8 63.1 47.7 -0.3 1.4 -1.7 (50.6) (43.9) (64.2) (50.5) (43.3) (64.9) (-0.3) (2.2) (-3.5) - 14 - 다. 연령별 일자리 ◇ 정부기관의 공무원 일자리는 40대가 가장 많이 점유, 비공무원 일자리는 50대가 가장 많이 점유 □ 정부기관 일자리는 연령별로 40대(59.5만 개), 30대(53.2만 개), 50대 (52.9만 개) 등의 순으로 많이 점유함 ◦ 공무원 일자리는 40대, 30대, 50대 순으로 많이 점유하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50대, 60세 이상, 40대 순으로 많이 점유함 <정부기관의 연령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전년대비) 구분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정부기관 전체 218.6 146.9 71.7 219.4 145.9 73.6 -0.8 1.0 -1.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4) (0.7) (-2.5) 29세 이하 32.0 25.2 6.9 33.6 25.9 7.7 -1.6 -0.8 -0.8 (14.6) (17.1) (9.6) (15.3) (17.8) (10.4) (-4.8) (-3.1) (-10.5) 30~39세 53.2 43.2 10.0 52.5 41.9 10.6 0.7 1.3 -0.6 (24.3) (29.4) (14.0) (23.9) (28.7) (14.5) (1.3) (3.1) (-5.7) 40~49세 59.5 43.4 16.2 60.1 43.1 17.0 -0.6 0.3 -0.8 (27.2) (29.5) (22.6) (27.4) (29.5) (23.1) (-0.9) (0.6) (-4.8) 50~59세 52.9 33.4 19.5 52.8 33.1 19.7 0.1 0.2 -0.2 (24.2) (22.7) (27.2) (24.1) (22.7) (26.8) (0.1) (0.7) (-0.9) 60세 이상 20.9 1.9 19.1 20.3 1.8 18.5 0.6 0.1 0.6 (9.6) (1.3) (26.6) (9.3) (1.2) (25.2) (3.0) (3.7) (3.0) □ 전년대비 공무원 일자리는 30대 (1.3만 개), 40대(0.3만 개) 등에서 증가한 반면, 29세 이하(-0.8만 개) 에서 감소함 ◦ 비공무원 일자리는 60세 이상 (0.6만 개)을 제외한 모든 연령층 에서 감소함 <정부기관 연령별 일자리 증감> - 15 - 라. 근속기간별 일자리 ◇ 평균 근속기간은 정부기관 전체 11.6년, 공무원 14.5년, 비공무원 5.5년 □ 정부기관 일자리는 근속기간 3년 미만(24.1%), 10~20년 미만(21.7%), 20년 이상(21.5%) 등 순으로 나타남 ◦ 공무원은 근속기간 10년 이상이 전체의 56.4%를 차지하고, 비공무원은 3년 미만이 전체의 44.2%를 차지함 □ 정부기관 전체의 평균 근속기간은 11.6년으로, 공무원은 14.5년, 비공무원은 5.5년임 ◦ 전년에 비해 공무원은 0.1년 감소, 비공무원은 0.4년 증가함 <정부기관의 근속기간별 일자리> <정부기관의 근속기간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년, 전년대비) 구분 2023년 2022년 증감(증감률)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계 공무원 비공무원 정부기관 전체 218.6 146.9 71.7 219.4 145.9 73.6 -0.8 1.0 -1.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0.4) (0.7) (-2.5) 3년 미만 52.7 21.0 31.7 56.6 22.1 34.5 -3.9 -1.1 -2.8 (24.1) (14.3) (44.2) (25.8) (15.2) (46.9) (-6.9) (-4.9) (-8.1) 1년 미만 19.0 3.9 15.1 21.6 4.9 16.7 -2.6 -1.0 -1.6 (8.7) (2.7) (21.0) (9.8) (3.3) (22.7) (-12.0) (-19.5) (-9.8) 1~2년 미만 18.7 8.5 10.2 20.1 9.1 11.0 -1.4 -0.6 -0.8 (8.5) (5.8) (14.2) (9.1) (6.2) (14.9) (-7.0) (-6.9) (-7.1) 2~3년 미만 15.0 8.6 6.4 14.9 8.1 6.8 0.1 0.5 -0.4 (6.9) (5.9) (8.9) (6.8) (5.6) (9.2) (0.8) (6.2) (-5.6) 3~5년 미만 25.0 15.2 9.8 27.8 15.0 12.7 -2.8 0.2 -3.0 (11.4) (10.4) (13.6) (12.6) (10.3) (17.3) (-10.1) (1.1) (-23.3) 5~10년 미만 46.5 27.8 18.7 41.0 25.3 15.7 5.6 2.6 3.0 (21.3) (18.9) (26.1) (18.7) (17.3) (21.4) (13.6) (10.1) (19.2) 10~20년미만 47.5 38.4 9.1 47.1 38.5 8.6 0.4 -0.1 0.5 (21.7) (26.1) (12.7) (21.5) (26.4) (11.6) (0.9) (-0.3) (6.0) 20년 이상 46.9 44.5 2.4 47.0 45.0 2.1 -0.1 -0.5 0.4 (21.5) (30.3) (3.4) (21.4) (30.8) (2.8) (-0.3) (-1.1) (18.2) ◊ 평균근속기간 11.6 14.5 5.5 11.4 14.6 5.1 0.2 -0.1 0.4 통계표 1.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 및 비율 ····················································18 2.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형태 ······················································18 3. 성별 일자리 ······················································································19 4. 연령별 일자리 ··················································································21 5. 근속기간별 일자리 ··········································································22 5-1. 성별 ···························································································22 5-2. 일자리 형태별 ·········································································23 6. 산업대분류별 일자리 ······································································24 7.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26 8. 기업 특성 변화별 일자리 ······························································27 9. 정부기관의 공무원․비공무원 일자리 현황 ······························27 9-1. 일자리 형태 ·············································································27 9-2. 성별 ···························································································28 9-3. 연령별 ·······················································································28 9-4. 근속기간별 ···············································································29 - 18 - 󰊱 공공부문 일자리 규모 및 비율 (단위: 만 개, %, %p, 전년대비) 구분 공공부문 일자리 총 취업자 수 대비 비율 계 일반정부 공기업 계 일반정부 공기업 2023년 287.3 245.9 41.4 10.0 8.6 1.4 2022년 287.8 246.4 41.4 10.2 8.7 1.5 증감(’23-’22년) -0.5 -0.5 0.0 -0.1 -0.1 0.0 󰊲 공공부문 영역별 일자리 형태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기업 생성 사업 확장 2023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3 261.7 22.5 3.2 0.0 3.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정부 245.9 223.2 20.1 2.6 0.0 2.6 (85.6) (85.3) (89.7) (81.3) (47.6) (81.5) 중앙정부 89.4 83.6 5.0 0.9 - 0.9 (31.1) (31.9) (22.1) (26.9) - (27.0) 지방정부 151.9 135.2 14.9 1.7 0.0 1.7 (52.9) (51.7) (66.5) (54.3) (47.6) (54.3) 사회보장기금 4.7 4.4 0.3 0.0 - 0.0 (1.6) (1.7) (1.2) (0.1) - (0.1) 공기업 41.4 38.5 2.3 0.6 0.0 0.6 (14.4) (14.7) (10.3) (18.7) (52.4) (18.5) 비금융공기업 38.6 35.9 2.2 0.6 0.0 0.6 (13.4) (13.7) (9.9) (17.7) (52.4) (17.5) 금융공기업 2.8 2.7 0.1 0.0 - 0.0 (1.0) (1.0) (0.4) (1.0) - (1.0) 2022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8 257.6 23.5 6.8 0.0 6.7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정부 246.4 219.3 21.3 5.8 0.0 5.8 (85.6) (85.2) (90.5) (85.8) (62.4) (85.9) 중앙정부 89.4 82.2 4.9 2.2 - 2.2 (31.0) (31.9) (21.0) (32.4) - (32.5) 지방정부 152.3 132.7 16.0 3.6 0.0 3.6 (52.9) (51.5) (68.0) (53.2) (62.4) (53.2) 사회보장기금 4.7 4.4 0.3 0.0 - 0.0 (1.6) (1.7) (1.5) (0.3) - (0.3) 공기업 41.4 38.2 2.2 1.0 0.0 1.0 (14.4) (14.8) (9.5) (14.2) (37.6) (14.1) 비금융공기업 38.6 35.6 2.1 0.9 0.0 0.9 (13.4) (13.8) (9.1) (13.6) (37.6) (13.5) 금융공기업 2.8 2.7 0.1 0.0 - 0.0 (1.0) (1.0) (0.4) (0.6) - (0.6) - 19 - 󰊳 성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2023년 (구성비) ■ 공공부문 계 287.3 261.7 25.6 0.0 25.6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148.1 136.6 11.5 0.0 11.5 (51.5) (52.2) (45.0) (51.4) (45.0) 여자 139.3 125.2 14.1 0.0 14.1 (48.5) (47.8) (55.0) (48.6) (55.0) 일반정부 계 245.9 223.2 22.7 0.0 22.7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122.8 112.7 10.1 0.0 10.1 (49.9) (50.5) (44.3) (44.8) (44.3) 여자 123.1 110.4 12.7 0.0 12.6 (50.1) (49.5) (55.7) (55.2) (55.7) 중앙정부 계 89.4 83.6 5.8 - 5.8 (100.0) (100.0) (100.0) - (100.0) 남자 61.9 58.4 3.5 - 3.5 (69.3) (69.9) (59.7) - (59.7) 여자 27.5 25.1 2.3 - 2.3 (30.7) (30.1) (40.3) - (40.3) 지방정부 계 151.9 135.2 16.6 0.0 16.6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59.3 52.8 6.5 0.0 6.5 (39.1) (39.1) (39.2) (44.8) (39.2) 여자 92.5 82.4 10.1 0.0 10.1 (60.9) (60.9) (60.8) (55.2) (60.8) 사회보장기금 계 4.7 4.4 0.3 - 0.3 (100.0) (100.0) (100.0) - (100.0) 남자 1.6 1.5 0.1 - 0.1 (34.1) (34.4) (28.3) - (28.3) 여자 3.1 2.9 0.2 - 0.2 (65.9) (65.6) (71.7) - (71.7) 공기업 계 41.4 38.5 2.9 0.0 2.9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25.3 23.8 1.5 0.0 1.5 (61.0) (61.8) (50.3) (57.3) (50.3) 여자 16.2 14.7 1.4 0.0 1.4 (39.0) (38.2) (49.7) (42.7) (49.7) 비금융공기업 계 38.6 35.9 2.8 0.0 2.8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23.8 22.4 1.4 0.0 1.4 (61.7) (62.5) (50.6) (57.3) (50.6) 여자 14.8 13.4 1.4 0.0 1.4 (38.3) (37.5) (49.4) (42.7) (49.4) 금융공기업 계 2.8 2.7 0.1 - 0.1 (100.0) (100.0) (100.0) - (100.0) 남자 1.4 1.4 0.1 - 0.1 (51.6) (51.9) (45.1) - (45.1) 여자 1.4 1.3 0.1 - 0.1 (48.4) (48.1) (54.9) - (54.9) - 20 -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2022년 (구성비) ■ 공공부문 계 287.8 257.6 30.3 0.0 30.2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148.9 135.9 13.0 0.0 13.0 (51.7) (52.8) (43.1) (51.6) (43.1) 여자 138.9 121.7 17.2 0.0 17.2 (48.3) (47.2) (56.9) (48.4) (56.9) 일반정부 계 246.4 219.3 27.1 0.0 27.1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123.5 112.0 11.5 0.0 11.5 (50.1) (51.1) (42.3) (60.3) (42.3) 여자 122.9 107.3 15.6 0.0 15.6 (49.9) (48.9) (57.7) (39.7) (57.7) 중앙정부 계 89.4 82.2 7.1 - 7.1 (100.0) (100.0) (100.0) - (100.0) 남자 62.5 58.3 4.2 - 4.2 (69.9) (70.9) (58.7) - (58.7) 여자 26.9 24.0 2.9 - 2.9 (30.1) (29.1) (41.3) - (41.3) 지방정부 계 152.3 132.7 19.6 0.0 19.6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59.3 52.1 7.2 0.0 7.2 (39.0) (39.3) (36.6) (60.3) (36.6) 여자 93.0 80.6 12.4 0.0 12.4 (61.0) (60.7) (63.4) (39.7) (63.4) 사회보장기금 계 4.7 4.4 0.4 - 0.4 (100.0) (100.0) (100.0) - (100.0) 남자 1.7 1.6 0.1 - 0.1 (35.5) (36.1) (28.4) - (28.4) 여자 3.1 2.8 0.3 - 0.3 (64.5) (63.9) (71.6) - (71.6) 공기업 계 41.4 38.2 3.2 0.0 3.2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25.4 23.9 1.6 0.0 1.6 (61.5) (62.5) (49.3) (37.2) (49.3) 여자 16.0 14.3 1.6 0.0 1.6 (38.5) (37.5) (50.7) (62.8) (50.7) 비금융공기업 계 38.6 35.6 3.1 0.0 3.0 (100.0) (100.0) (100.0) (100.0) (100.0) 남자 24.0 22.5 1.5 0.0 1.5 (62.1) (63.2) (49.5) (37.2) (49.5) 여자 14.6 13.1 1.5 0.0 1.5 (37.9) (36.8) (50.5) (62.8) (50.5) 금융공기업 계 2.8 2.7 0.1 - 0.1 (100.0) (100.0) (100.0) - (100.0) 남자 1.5 1.4 0.1 - 0.1 (52.2) (52.5) (45.8) - (45.8) 여자 1.3 1.3 0.1 - 0.1 (47.8) (47.5) (54.2) - (54.2) - 21 - 󰊴 연령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2023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3 261.7 25.6 0.0 25.6 (100.0) (100.0) (100.0) (100.0) (100.0) 29세 이하 43.5 34.3 9.2 0.0 9.2 (15.1) (13.1) (35.7) (15.1) (35.8) 30∼39세 72.6 68.3 4.2 0.0 4.2 (25.3) (26.1) (16.6) (30.6) (16.6) 40∼49세 75.9 72.8 3.1 0.0 3.1 (26.4) (27.8) (12.1) (25.5) (12.1) 50∼59세 69.7 66.6 3.1 0.0 3.1 (24.3) (25.4) (12.3) (20.2) (12.3) 60세 이상 25.6 19.6 6.0 0.0 6.0 (8.9) (7.5) (23.3) (8.5) (23.3) 2022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8 257.6 30.3 0.0 30.2 (100.0) (100.0) (100.0) (100.0) (100.0) 29세 이하 45.9 34.8 11.1 0.0 11.1 (15.9) (13.5) (36.7) (21.9) (36.7) 30∼39세 71.2 66.2 5.0 0.0 5.0 (24.7) (25.7) (16.4) (30.0) (16.4) 40∼49세 76.6 72.9 3.8 0.0 3.7 (26.6) (28.3) (12.4) (22.5) (12.4) 50∼59세 69.4 65.8 3.6 0.0 3.6 (24.1) (25.5) (11.9) (13.3) (11.9) 60세 이상 24.8 18.0 6.8 0.0 6.8 (8.6) (7.0) (22.6) (12.3) (22.6) - 22 - 󰊵 근속기간별 일자리 󰊵-1. 성별 (단위: 만 개, %) 구 분 계 남 자 여 자 2 0 2 3 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3 148.1 139.3 (100.0) (100.0) (100.0) 3년 미만 69.3 31.7 37.6 (24.1) (21.4) (27.0) 1년 미만 24.3 10.0 14.2 (8.4) (6.8) (10.2) 1 ~2년 미만 24.8 11.8 13.0 (8.6) (8.0) (9.3) 2 ~3년 미만 20.2 9.8 10.4 (7.0) (6.6) (7.5) 3 ~5년 미만 35.2 17.8 17.4 (12.3) (12.0) (12.5) 5 ~10년 미만 62.2 31.0 31.2 (21.6) (20.9) (22.4) 10 ~20년 미만 62.0 32.5 29.5 (21.6) (21.9) (21.2) 20년 이상 58.6 35.1 23.5 (20.4) (23.7) (16.9) 2 0 2 2 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8 148.9 138.9 (100.0) (100.0) (100.0) 3년 미만 74.4 33.8 40.6 (25.9) (22.7) (29.3) 1년 미만 27.3 11.1 16.2 (9.5) (7.4) (11.7) 1 ~2년 미만 26.9 12.4 14.5 (9.3) (8.3) (10.4) 2 ~3년 미만 20.2 10.3 10.0 (7.0) (6.9) (7.2) 3 ~5년 미만 39.4 20.0 19.4 (13.7) (13.4) (14.0) 5 ~10년 미만 54.4 27.0 27.5 (18.9) (18.1) (19.8) 10 ~20년 미만 61.1 32.2 28.9 (21.2) (21.6) (20.8) 20년 이상 58.5 36.0 22.5 (20.3) (24.2) (16.2) - 23 - 󰊵-2. 일자리 형태별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2023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3 261.7 25.6 0.0 25.6 (100.0) (100.0) (100.0) (100.0) (100.0) 3년 미만 69.3 43.7 25.6 0.0 25.6 (24.1) (16.7) (100.0) (100.0) (100.0) 1년 미만 24.3 4.1 20.1 0.0 20.1 (8.4) (1.6) (78.6) (68.6) (78.6) 1~2년 미만 24.8 19.3 5.5 0.0 5.5 (8.6) (7.4) (21.4) (31.4) (21.4) 2~3년 미만 20.2 20.2 - - - (7.0) (7.7) - - - 3~5년 미만 35.2 35.2 - - - (12.3) (13.5) - - - 5~10년 미만 62.2 62.2 - - - (21.6) (23.8) - - - 10~20년 미만 62.0 62.0 - - - (21.6) (23.7) - - - 20년 이상 58.6 58.6 - - - (20.4) (22.4) - - - 2022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8 257.6 30.3 0.0 30.2 (100.0) (100.0) (100.0) (100.0) (100.0) 3년 미만 74.4 44.2 30.3 0.0 30.2 (25.9) (17.1) (100.0) (100.0) (100.0) 1년 미만 27.3 3.1 24.2 0.0 24.1 (9.5) (1.2) (79.8) (84.4) (79.8) 1~2년 미만 26.9 20.8 6.1 0.0 6.1 (9.3) (8.1) (20.2) (15.6) (20.2) 2~3년 미만 20.2 20.2 - - - (7.0) (7.9) - - - 3~5년 미만 39.4 39.4 - - - (13.7) (15.3) - - - 5~10년 미만 54.4 54.4 - - - (18.9) (21.1) - - - 10~20년 미만 61.1 61.1 - - - (21.2) (23.7) - - - 20년 이상 58.5 58.5 - - - (20.3) (22.7) - - - - 24 - 󰊶 산업대분류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기업 생성 사업 확장 2023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3 261.7 22.5 3.2 0.0 3.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A 농업, 임업및어업 - - - - - - - - - - - - B 광업 0.3 0.3 0.0 - - - (0.1) (0.1) (0.1) - - - C 제조업 0.4 0.3 0.0 0.0 - 0.0 (0.1) (0.1) (0.1) (0.3) - (0.3) D 전기, 가스, 증기및 공기조절공급업 5.9 5.8 0.1 0.0 - 0.0 (2.1) (2.2) (0.5) (0.3) - (0.3) E 수도, 하수및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1.5 1.4 0.1 0.0 - 0.0 (0.5) (0.5) (0.4) (0.8) - (0.8) F 건설업 1.5 1.4 0.1 0.0 - 0.0 (0.5) (0.5) (0.4) (1.0) - (1.0) G 도매및소매업 0.2 0.2 0.0 0.0 - 0.0 (0.1) (0.1) (0.1) (0.7) - (0.7) H 운수및창고업 8.5 8.1 0.3 0.1 - 0.1 (3.0) (3.1) (1.5) (2.0) - (2.0) I 숙박및음식점업 0.0 0.0 0.0 0.0 - 0.0 (0.0) (0.0) (0.0) (0.0) - (0.0) J 정보통신업 6.8 6.5 0.3 0.0 - 0.0 (2.4) (2.5) (1.4) (1.6) - (1.6) K 금융및보험업 8.6 8.2 0.4 0.1 - 0.1 (3.0) (3.1) (1.8) (2.0) - (2.1) L 부동산업 2.5 2.2 0.2 0.0 - 0.0 (0.9) (0.9) (0.8) (1.3) - (1.3) M 전문, 과학및기술 서비스업 10.1 9.1 0.8 0.2 0.0 0.2 (3.5) (3.5) (3.8) (7.5) (35.1) (7.3) N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임대서비스업 5.7 5.1 0.4 0.2 0.0 0.2 (2.0) (1.9) (2.0) (5.2) (24.7) (5.1) O 공공행정, 국방및 사회보장행정 139.4 125.3 12.5 1.6 - 1.6 (48.5) (47.9) (55.9) (49.3) - (49.6) P 교육서비스업 77.5 71.9 5.4 0.3 0.0 0.3 (27.0) (27.5) (23.9) (10.3) (1.4) (10.4) Q 보건업및사회복지 서비스업 11.6 10.4 0.9 0.3 0.0 0.3 (4.1) (4.0) (4.1) (10.0) (14.7) (10.0) R 예술, 스포츠및여가관련 서비스업 4.6 4.0 0.5 0.1 - 0.1 (1.6) (1.5) (2.0) (4.0) - (4.0) S 협회및단체, 수리및 기타개인서비스업 2.1 1.7 0.3 0.1 0.0 0.1 (0.7) (0.6) (1.2) (3.8) (24.0) (3.6) - 25 -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기업 생성 사업 확장 2022년 (구성비) ■ 공공부문 287.8 257.6 23.5 6.8 0.0 6.7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A 농업, 임업및어업 - - - - - - - - - - - - B 광업 0.3 0.3 0.0 - - - (0.1) (0.1) (0.0) - - - C 제조업 0.3 0.3 0.0 0.0 0.0 0.0 (0.1) (0.1) (0.1) (0.2) (2.2) (0.2) D 전기, 가스, 증기및 공기조절공급업 6.0 5.8 0.1 0.0 - 0.0 (2.1) (2.3) (0.5) (0.6) - (0.6) E 수도, 하수및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1.5 1.3 0.1 0.1 - 0.1 (0.5) (0.5) (0.4) (1.4) - (1.4) F 건설업 1.4 1.3 0.1 0.0 - 0.0 (0.5) (0.5) (0.4) (0.4) - (0.4) G 도매및소매업 0.2 0.2 0.0 0.0 0.0 0.0 (0.1) (0.1) (0.1) (0.3) (3.8) (0.3) H 운수및창고업 8.5 8.2 0.3 0.1 - 0.1 (3.0) (3.2) (1.4) (0.8) - (0.8) I 숙박및음식점업 0.0 0.0 0.0 0.0 - 0.0 (0.0) (0.0) (0.0) (0.0) - (0.0) J 정보통신업 7.2 6.7 0.4 0.1 - 0.1 (2.5) (2.6) (1.7) (0.8) - (0.8) K 금융및보험업 8.7 8.1 0.5 0.1 - 0.1 (3.0) (3.1) (2.1) (1.4) - (1.4) L 부동산업 2.5 2.3 0.2 0.1 - 0.1 (0.9) (0.9) (0.8) (0.9) - (1.0) M 전문, 과학및기술 서비스업 10.0 8.9 0.8 0.3 0.0 0.3 (3.5) (3.4) (3.6) (4.2) (12.3) (4.2) N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임대서비스업 5.5 4.8 0.4 0.3 0.0 0.3 (1.9) (1.9) (1.8) (4.1) (46.0) (4.0) O 공공행정, 국방및 사회보장행정 139.1 122.5 13.8 2.8 0.0 2.8 (48.3) (47.6) (58.8) (41.1) (3.5) (41.3) P 교육서비스업 78.4 71.3 5.2 1.9 0.0 1.9 (27.2) (27.7) (21.9) (28.2) (19.0) (28.3) Q 보건업및사회복지 서비스업 11.4 10.0 0.8 0.7 0.0 0.7 (4.0) (3.9) (3.4) (9.7) (1.4) (9.7) R 예술, 스포츠및여가관련 서비스업 4.6 3.9 0.4 0.2 0.0 0.2 (1.6) (1.5) (1.9) (3.3) (8.9) (3.3) S 협회및단체, 수리및 기타개인서비스업 2.0 1.6 0.2 0.2 0.0 0.2 (0.7) (0.6) (1.0) (2.5) (3.0) (2.5) - 26 - 󰊷 일반정부의 정부기능분류별 일자리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대체 일자리 신규 일자리 기업 생성 사업 확장 2023년 (구성비) ■ 일반정부 245.9 223.2 20.1 2.6 0.0 2.6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공공행정 83.7 72.5 10.1 1.1 - 1.1 (34.0) (32.5) (50.3) (43.9) - (44.1) 국방 27.2 25.8 1.2 0.2 - 0.2 (11.1) (11.6) (6.1) (7.8) - (7.8) 공공질서 및 안전 23.1 22.0 0.9 0.2 - 0.2 (9.4) (9.8) (4.5) (8.9) - (9.0) 경제활동 15.9 14.7 1.0 0.2 - 0.2 (6.4) (6.6) (4.8) (7.1) - (7.2) 환경보호 1.9 1.7 0.2 0.0 - 0.0 (0.8) (0.8) (0.8) (1.1) - (1.1) 주거 및 지역사회 시설 0.1 0.1 0.0 0.0 - 0.0 (0.0) (0.0) (0.0) (0.1) - (0.1) 보건 3.7 3.5 0.2 0.0 - 0.0 (1.5) (1.6) (1.0) (1.4) - (1.4) 휴양ㆍ문화ㆍ종교 7.2 6.1 0.8 0.3 0.0 0.3 (2.9) (2.7) (3.8) (11.1) (66.2) (10.9) 교육 76.3 70.8 5.2 0.3 0.0 0.3 (31.0) (31.7) (25.9) (11.8) (2.9) (11.8) 사회보호 6.8 6.1 0.5 0.2 0.0 0.2 (2.8) (2.7) (2.7) (6.8) (30.9) (6.7) 2022년 (구성비) ■ 일반정부 246.4 219.3 21.3 5.8 0.0 5.8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일반공공행정 83.9 70.8 11.6 1.4 - 1.4 (34.0) (32.3) (54.7) (24.9) - (25.0) 국방 27.0 25.3 1.0 0.8 - 0.8 (11.0) (11.5) (4.5) (13.6) - (13.7) 공공질서 및 안전 22.9 21.6 0.8 0.5 - 0.5 (9.3) (9.8) (3.8) (8.2) - (8.2) 경제활동 15.9 14.5 1.1 0.3 0.0 0.3 (6.5) (6.6) (5.1) (5.2) (1.6) (5.2) 환경보호 1.9 1.6 0.2 0.0 - 0.0 (0.8) (0.7) (0.9) (0.8) - (0.8) 주거 및 지역사회 시설 0.1 0.1 0.0 0.0 - 0.0 (0.0) (0.0) (0.1) (0.0) - (0.0) 보건 3.7 3.4 0.3 0.0 - 0.0 (1.5) (1.5) (1.2) (0.8) - (0.8) 휴양ㆍ문화ㆍ종교 7.1 5.9 0.7 0.5 0.0 0.5 (2.9) (2.7) (3.3) (8.8) (96.2) (8.6) 교육 77.2 70.3 5.0 1.9 - 1.9 (31.3) (32.0) (23.5) (32.5) - (32.6) 사회보호 6.8 5.9 0.6 0.3 0.0 0.3 (2.8) (2.7) (2.9) (5.0) (2.2) (5.1) - 27 - 󰊸 기업 특성 변화별 일자리 (단위: 만 개) 구분 공공부문 내 변경 공공으로 유입 민간으로 전환 계 일반정부 ← 공기업 일반정부 → 공기업 계 일반정부 ← 민간 공기업 ← 민간 계 일반정부 → 민간 공기업 → 민간 2023년 0.19 0.16 0.03 0.08 0.08 - - - - 2022년 0.15 0.14 0.01 0.08 0.07 0.01 0.097 0.023 0.074 󰊹 정부기관의 공무원ㆍ비공무원 일자리 현황 󰊹-1. 일자리 형태 (단위: 만 개, %) 구분 일자리 지속 일자리 신규채용 일자리 기업생성 기업내 신규·대체 2023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8.6 199.0 19.6 - 19.6 (100.0) (100.0) (100.0) - (100.0) 공무원 146.9 142.3 4.6 - 4.6 (67.2) (71.5) (23.3) - (23.3) 비공무원 71.7 56.6 15.1 - 15.1 (32.8) (28.5) (76.7) - (76.7) 2022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9.4 195.9 23.6 - 23.6 (100.0) (100.0) (100.0) - (100.0) 공무원 145.9 140.0 5.9 - 5.9 (66.5) (71.5) (25.1) - (25.1) 비공무원 73.6 55.9 17.7 - 17.7 (33.5) (28.5) (74.9) - (74.9) - 28 - 󰊹-2. 성별 (단위: 만 개, %) 구분 계 남자 여자 2023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8.6 108.1 110.5 (100.0) (100.0) (100.0) 공무원 146.9 82.4 64.5 (67.2) (76.2) (58.4) 비공무원 71.7 25.7 46.0 (32.8) (23.8) (41.6) 2022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9.4 108.6 110.8 (100.0) (100.0) (100.0) 공무원 145.9 82.8 63.1 (66.5) (76.2) (56.9) 비공무원 73.6 25.8 47.7 (33.5) (23.8) (43.1) 󰊹-3. 연령별 (단위: 만 개, %) 구분 계 29세 이하 30∼39세 40∼49세 50∼59세 60세 이상 2023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8.6 32.0 53.2 59.5 52.9 20.9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공무원 146.9 25.2 43.2 43.4 33.4 1.9 (67.2) (78.5) (81.1) (72.8) (63.1) (8.8) 비공무원 71.7 6.9 10.0 16.2 19.5 19.1 (32.8) (21.5) (18.9) (27.2) (36.9) (91.2) 2022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9.4 33.6 52.5 60.1 52.8 20.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공무원 145.9 25.9 41.9 43.1 33.1 1.8 (66.5) (77.2) (79.7) (71.7) (62.7) (8.8) 비공무원 73.6 7.7 10.6 17.0 19.7 18.5 (33.5) (22.8) (20.3) (28.3) (37.3) (91.2) - 29 - 󰊹-4. 근속기간별 (단위: 만 개, %) 구 분 계 공 무 원 비 공 무 원 2 0 2 3 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8.6 146.9 71.7 (100.0) (100.0) (100.0) 3년 미만 52.7 21.0 31.7 (24.1) (14.3) (44.2) 1년 미만 19.0 3.9 15.1 (8.7) (2.7) (21.0) 1 ~2년 미만 18.7 8.5 10.2 (8.5) (5.8) (14.2) 2 ~3년 미만 15.0 8.6 6.4 (6.9) (5.9) (8.9) 3 ~5년 미만 25.0 15.2 9.8 (11.4) (10.4) (13.6) 5 ~10년 미만 46.5 27.8 18.7 (21.3) (18.9) (26.1) 10 ~20년 미만 47.5 38.4 9.1 (21.7) (26.1) (12.7) 20년 이상 46.9 44.5 2.4 (21.5) (30.3) (3.4) 2 0 2 2 년 (구성비) ■ 정부기관 219.4 145.9 73.6 (100.0) (100.0) (100.0) 3년 미만 56.6 22.1 34.5 (25.8) (15.2) (46.9) 1년 미만 21.6 4.9 16.7 (9.8) (3.3) (22.7) 1 ~2년 미만 20.1 9.1 11.0 (9.1) (6.2) (14.9) 2 ~3년 미만 14.9 8.1 6.8 (6.8) (5.6) (9.2) 3 ~5년 미만 27.8 15.0 12.7 (12.6) (10.3) (17.3) 5 ~10년 미만 41.0 25.3 15.7 (18.7) (17.3) (21.4) 10 ~20년 미만 47.1 38.5 8.6 (21.5) (26.4) (11.6) 20년 이상 47.0 45.0 2.1 (21.4) (30.8) (2.8) 부 록 1.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작성 개요 2. 주요 용어 설명 3. 공공부문 포괄범위 3-1. 공공부문 영역별 포괄범위 3-2. 공공부문 포괄범위-공공비영리단체 3-3. 공공부문 포괄범위-공기업 4. 2023년 행정자료 변동 내용 - 32 - 부록1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작성 개요 □ 작성 목적 ◦ 공공부문 일자리 추세 분석과 공공부문 정책 수립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법적 근거 ◦ 통계법 제18조 제1항 규정에 의해 승인된 일반통계(승인번호 제101074호) □ 모집단 및 작성 대상 ◦ (모집단) 연중 공공부문에 종사하면서 사회보험료․소득세․직역 연금 중 한 개 이상 신고한 자가 점유한 일자리 ◦ (작성 대상) 공공부문에서 임금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 □ 활용 행정자료 ◦ 일자리 행정통계 자료* , 직역연금자료(공무원 군인연금), 공공기관 지정현황 자료(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근로소득지급명세서, 일용근로 소득지급명세서, 사업자등록자료 등을 활용 □ 작성 항목 ◦ (공공부문 영역) 일반정부(중앙정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 공기업 (비금융공기업, 금융공기업) ◦ (공공부문 근로자 특성) 성, 연령, 근속기간 ◦ (공공부문 기업 특성) 산업분류, 정부기능분류 □ 작성 주기 및 기준시점 : 연간 □ 일자리 산정 방법 ◦ 휴일을 포함* 한 연중 근로일수를 365일(윤년은 366일)로 나누어 산정(일자리 = 연간 근로일수/365일 또는 366일) * 일용근로자는 5일 근무에 2일 휴식을 가정하여 근무일 계산 - 33 - 부록2 주요 용어 설명 □ (일자리) 기업체에서 임금․비임금근로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filled employment position)’ □ (임금근로일자리) 기업체에서 현물 또는 현금을 대가로 상품 생산 이나 서비스 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 □ (공공부문 일자리) 공공부문의 기업체에서 근로활동을 하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위치 일자리 신규채용일자리 ① 지속일자리 ② 대체일자리 ③ 신규일자리 기업생성 사업확장 ① (지속일자리) 당해 연도와 전년도에 걸쳐 동일 기업체 내에서 동일한 근로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일자리가 점유된 경우 ② (대체일자리) 당해 연도에 기업체에서 퇴직하였거나 타 기업체로의 이직이 발생하여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 ③ (신규일자리) 당해 연도에 기업체 생성이나 기업 내 사업 확장으로 새로 생긴 일자리 ③-1 (기업생성) 법인·사업체 설립 등 조직 생성으로 새로 생긴 일자리 ③-2 (사업확장) 동일 기업체 내에서 사업확장으로 새로 생긴 일자리 ②+③ (신규채용일자리) 이직 및 퇴직, 신규 일자리 생성에 따라 당해 연도에 신규로 채용된 근로자가 점유한 일자리 □ (정부기능분류, COFOG) 일반정부단위가 다양한 종류의 지출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기능이나 사회․경제적 목표에 대한 분류 - 34 - 부록3 공공부문 포괄범위 ※ 영역별 기관 <부록 3-1~3-3> 참고 □ (공공부문) UN 2008 SNA(System of National Accounts)에 따라 일반 정부(중앙․지방정부, 사회보장기금)와 공기업(비금융·금융공기업)으로 구성 ◦ (일반정부) 중앙․지방정부로 운영되는 거주자 제도단위로서 공권력에 의해 지배받는 모든 정부단위, 공공비영리단체, 사회보장기금 중앙정부 부 처 청 등 중앙정부와 중앙정부의 지배를 받는 공공 비영리단체로 구성 지방정부 지방정부와 지방정부의 지배를 받는 공공비영리단체로 구성 사회보장기금 정부기관이 통제할 수 있는 사회보험 제도 ◦ (공기업) 정부의 지배(주로 정부 소유)를 받으면서 시장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는 단위로 비금융공기업과 금융공기업으로 구성 < 공공부문 영역별 기관 수(2023년) > 공공부문 일반정부(General Government) 공기업(Public Corporation) 중앙정부 지방정부 사회 보장 기금 비금융 공기업 금융 공기업 6 12 중앙 정부 기관 중앙 비영리 단체 지방 정부 기관 지방 비영리 단체 중앙 비금융 공기업 지방 비금융 공기업 61 223 245 560 116 356 * 공공기관, 지방공사, 지방공단, 지방 출자·출연기관, KBS, EBS,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을 공공비영리단체 혹은 공기업으로 분류 ** 공공부문 영역별 기관 리스트 <부록 3-1~3-3> 참조 ※ (UN 2008 SNA) 일반정부, 비금융기업, 금융기업, 가계, 가계지원 비영리기관으로 구분 일반 정부 부문 비금융 기업부문 금융 기업부문 가계 부문 가계지원 비영리 기관 부문 공공부문 민간 부문 - 35 - □ (제외 대상) 사립학교 교직원, 사립 유치원․어린이집 교직원, 의무 복무 중인 사병 등은 미포함 ◦ (사립학교) 정부가 교사 채용에 직접적 권한이 없고 재단 운영의 자율성이 있어 공공부문에 미포함 - 프랑스․영국이 공공부문에 포함하고 있지만, 스웨덴․일본은 자율성이 있으면 공공부문에서 제외하는 등 국가 간 제도에 따른 차이가 있음 ◦ (사립 유치원․어린이집) 임원의 임명권이 없고 운영의 자율성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미포함 ◦ (의무 복무 중인 사병) 직업군인은 공공부문에 포함되나, 사병은 경제활동이 아닌 의무 복무를 수행 중인 점을 고려하여 미포함 ◦ (민간의료 종사자) 민간의료기관(개인병원, 비영리의료법인)은 독립적 사업체들이고, 정부의 직접적인 재정지원도 없어 미포함 - 36 - 부록3-1 공공부문 영역별 포괄범위 󰊱 중앙정부 구분 기관 정부기관 (61개)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 등 중앙정부기관 공공비영리단체 (223개) 도로교통공단, 한국고용정보원, 한국국방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언론진흥재단 등 󰊲 지방정부 구분 기관 정부기관 (245개)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등 지방정부기관 공공비영리단체 (560개) 서울시설공단, 대구교통공사, 달성복지재단 강남문화재단, 광주광역시사회서비스원, 가평군복지재단 등 󰊳 사회보장기금 구분 기관 사회보장기금 (6개)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공무원연금공단, 근로복지공단,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비금융공기업 구분 기관 중앙 (116개) 서울대학교병원, 한국공항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마사회, 한국조폐공사, KBS, EBS 등 지방 (356개)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부산도시공사, 부산신용보증재단, 서울의료원, 대전세종연구원, 제주관광공사, ㈜킨텍스 등 󰊵 금융공기업 구분 기관 중앙 (12개)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 37 - 부록3-2 공공부문 포괄범위-공공비영리단체 중앙정부 공공비영리단체(223개) (경찰청) 도로교통공단 (고용부)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노사발전재단, 학교법인한국폴리텍,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고용노동교육원 (공정위) 한국소비자원, 한국공정거래조정원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장학재단,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전번역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방부) 한국국방연구원, 국방전직교육원 (국조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국토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항공안전기술원, 새만금개발공사,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국립항공박물관 (금융위)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서민금융진흥원 (기상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재)APEC기후센터, (재)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기재부) 한국재정정보원 (농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식진흥원,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농업정책보험금융원,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축산환경관리원 (농진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문체부) 영화진흥위원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언론진흥재단, 국제방송교류재단, 한국콘텐츠진흥원,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게임물관리위원회, 대한장애인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재단법인 국악방송,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정보원,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보호원,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과기부) 우체국물류지원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38 - 중앙정부 공공비영리단체(223개)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나노기술원 (방사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방통위) 시청자미디어재단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보훈처) 독립기념관 (복지부)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한의약진흥원, 재단법인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재단법인 한국공공조직은행, 아동권리보장원, 재단법인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재)한국보건의료정보원 (산림청)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산업부)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재단법인 한국에너지재단,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제품안전관리원 (식약처)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식품안전정보원 (여가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 재외동포협력센터, 한국국제교류재단 (원안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중기부)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창업진흥원, 재단법인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 39 - 중앙정부 공공비영리단체(223개) (통일부) (사)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남북하나재단 (특허청)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한국특허기술진흥원 (해수부)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항로표지기술원,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과학관 (행안부) (재)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환경보전원,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수자원환경산업진흥(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고등교육기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 40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도시철도공사) 대구교통공사,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 대전광역시도시철도공사, 부산교통공사 (기타공사) 구리도시공사, 의왕도시공사, 군포도시공사, 시흥도시공사, 안양도시공사, 포천도시공사, 과천도시공사, 파주도시관광공사, 단양관광공사, 양주도시공사, 거제해양관광개발공사, 고양도시관리공사, 광명도시공사, 광주도시관리공사, 김해시도시개발공사, 남양주도시공사, 부천도시공사, 성남도시개발공사, 세종도시교통공사, 수원도시공사, 양평공사, 인천관광공사, 춘천도시공사, 함안지방공사, 구미도시공사, 천안도시공사, 여주도시공사 (지방공단) 서울시설공단, 종로구시설관리공단, 중구시설관리공단, 용산구시설관리공단, 성동구도시관리공단, 광진구시설관리공단, 동대문구시설관리공단, 중랑구시설관리공단, 성북구도시관리공단, 강북구도시관리공단, 도봉구시설관리공단, 노원구시설관리공단, 은평구시설관리공단, 서대문구도시관리공단, 마포구시설관리공단, 양천구시설관리공단, 강서구시설관리공단, 구로구시설관리공단, 금천구시설관리공단, 영등포구시설관리공단, 동작구시설관리공단, 관악구시설관리공단, 강남구도시관리공단, 송파구시설관리공단, 강동구도시관리공단, 부산시설공단, 부산환경공단, 기장군도시관리공단,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대구달성군시설관리공단, 인천환경공단, 인천시설공단, 인천광역시중구시설관리공단, 인천광역시미추홀구시설관리공단, 남동구도시관리공단, 인천광역시부평구시설관리공단, 인천광역시계양구시설관리공단, 인천광역시서구시설관리공단, 인천광역시연수구시설안전관리공단, 인천광역시강화군시설관리공단, 광주환경공단, 광주광산구시설관리공단, 대전광역시시설관리공단, 울산시설공단, 울산광역시중구도시관리공단, 울산광역시남구도시관리공단, 울주군시설관리공단, 의정부시시설관리공단, 이천시시설관리공단, 안성시시설관리공단, 오산시시설관리공단, 가평군시설관리공단, 연천군시설관리공단, 동해시시설관리공단, 속초시시설관리공단, 영월군시설관리공단, 정선군시설관리공단, 청주시시설관리공단, 보령시시설관리공단, 아산시시설관리공단, 부여군시설관리공단, 전주시시설관리공단, 포항시시설관리공단, 안동시시설관리공단, 문경관광진흥공단, 창원레포츠파크, 창원시설공단, 양산시시설관리공단, 창녕군시설관리공단, 밀양시시설관리공단, 세종특별자치시시설관리공단, 충주시시설관리공단, 경주시시설관리공단, 사천시시설관리공단, 여수시도시관리공단, 울산광역시북구시설관리공단, 원주시시설관리공단, 영천시시설관리공단, 김천시시설관리공단, - 41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서울물재생시설공단, 평창군시설관리공단, 광주광역시북구시설관리공단, 광주광역시서구시설관리공단, 부산광역시남구시설관리공단, 합천군시설관리공단, 익산시도시관리공단 (서울) 강남문화재단, 강남복지재단, 강북구꿈나무키움장학재단, 강북문화재단, 강서희망나눔복지재단, 광진문화재단, 구로구장학회, 구로문화재단, 구로희망복지재단, 금천문화재단, 금천미래장학회, 노원교육복지재단, 노원환경재단, 도봉문화재단, 동대문문화재단, 동작문화재단, 동작복지재단, 마포문화재단, 마포복지재단, 마포인재육성장학재단, 서울관광재단, 서울디자인재단, 서울문화재단, 서울시립교향악단, 서울시복지재단, 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장학재단, 서울특별시 사회서비스원, 서울특별시50플러스재단, 서초다산장학재단, 서초문화재단, 성동구인재육성장학재단, 성동문화재단, 성북문화재단, 세종문화회관, 송파구인재육성장학재단, 양천사랑복지재단, 영등포문화재단, 용산복지재단, 우면산내셔널트러스트, 은평구민장학재단, 은평문화재단, 재단법인 강동문화재단, 재단법인 관악문화재단, 재단법인 광진복지재단, 재단법인 노원문화재단, 재단법인 송파문화재단, 재단법인 양천문화재단, 재단법인 영등포구미래교육재단, 재단법인 중랑문화재단, 종로문화재단, 중구문화재단, 중구인재육성장학재단 (부산) 금정문화재단, 남구장학회, 동래장학회, 부산강서구장학회, 부산문화재단, 부산문화회관, 부산북구장학회, 부산사상구장학회, 부산서구장학회, 부산진구장학회, 수영구장학재단, 영화의전당, 행복영도장학회, 재단법인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부산진문화재단, 중구장학회 (대구) 달서문화재단, 달서인재육성재단, 달성문화재단, 달성복지재단, 대구광역시 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 대구신용보증재단, 동구문화재단, 대구중구도심재생문화재단, 수성문화재단, 재단법인 군위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달성교육재단, 재단법인 대구광역시북구청소년육성재단, 재단법인 대구동구교육재단, 재단법인 대구문화예술진흥원, 행복북구문화재단, 재단법인 서구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수성미래교육재단 (인천) 강화군복지재단, 서구문화재단, 서동이장학회, 옹진복지재단, 인천광역시부평구문화재단, 인천동구장학재단, 인천문화재단, 인천신용보증재단, 재단법인 남동문화재단, 재단법인 연수문화재단, 재단법인 연수큰재장학재단, 재단법인 옹진군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인천광역시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인천광역시계양구인재양성장학교육재단, 재단법인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인천중구문화재단, 중구월디장학회 - 42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광주) 광산장학회, 광주광역시광주문화재단, 광주서구장학재단, 재단법인 광주광역시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광주광역시동구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광주광역시인재평생교육진흥원 (대전) 대전고암미술문화재단, 대전문화재단, 대전평생교육진흥원, 동구차세대인재육성장학재단, 서구인재육성장학재단, 유성구행복누리재단, 재단법인 대덕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대전광역시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대전청년내일재단, 재단법인 한국효문화진흥원 (울산) 고래문화재단, 울산광역시 남구장학재단, 울산광역시북구교육진흥재단, 재단법인 울산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울주문화재단 (세종) 세종신용보증재단, 재단법인 세종시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세종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세종특별자치시사회서비스원 (경기) 가평군복지재단, 경기문화재단, 경기복지재단, 경기신용보증재단, 고양문화재단, 과천시애향장학회, 광명문화재단, 광명시인재육성재단, 광명시자원봉사센터, 광주시민장학회, 군포문화재단, 군포사랑장학회, 김포문화재단, 김포복지재단, 김포시민장학회, 부천문화재단, 부천장학재단, 성남문화재단, 성남시의료원, 성남시장학회, 세미원, 수원문화재단, 안산문화재단, 안산인재육성재단, 안성시민장학회, 안양문화예술재단, 안양시민프로축구단, 양주시희망장학재단, 양평군교육발전위원회, 양평문화재단, 여주시인재육성장학회, 오산교육재단, 오산문화재단, 용인문화재단, 용인시자원봉사센터, 의왕시인재육성재단, 의정부시민장학회, 재단법인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경기아트센터, 재단법인 과천문화재단, 재단법인 광주시문화재단, 재단법인 구리문화재단, 재단법인 김포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남양주시복지재단, 재단법인 수원시장학재단, 재단법인 시흥시인재양성재단, 재단법인 안양시 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여주세종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용인시장학재단, 재단법인 의정부문화재단, 재단법인 이천문화재단, 재단법인 이천시자원봉사센터, 재단법인 평택시문화재단, 재단법인 평택시장학재단, 재단법인 포천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포천시교육재단, 재단법인 하남교육재단, 재단법인 화성시복지재단, 파주시행복장학회, 평택복지재단, 하남문화재단, 하남시자원봉사센터, 한국도자재단, 한국만화영상진흥원, 화성시문화재단, 화성시인재육성재단 (강원) (재)삼척향토장학재단, 강릉문화재단, 강원문화재단, 고성향토장학회, 나라, 삼척시도계장학재단, 양양군인재육성장학회, 영월문화재단, 영월장학회, 원덕읍향토장학회, 원주문화재단, 인제군문화재단, 재단법인 강릉시 미래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강원관광재단, 재단법인 - 43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강원인재육성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강원특별자치도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강원특별자치도경제진흥원, 재단법인 강원혁신도시발전지원센터, 재단법인 고성문화재단, 재단법인 동해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동해시민장학재단, 재단법인 속초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양구군스포츠재단, 재단법인 양구문화재단, 재단법인 양양문화재단, 재단법인 정선의료재단, 재단법인 철원문화재단, 재단법인 춘천문화재단, 재단법인 춘천시민장학재단, 재단법인 춘천지혜의숲, 재단법인 태백시문화재단, 재단법인 화천군청정산업진흥재단, 재단법인 화천한옥학교, 재단법인 횡성문화관광재단, 정선아리랑문화재단, 정선장학회, 철원장학회, 태백시민향토장학회, 태백시복지재단, 평창문화도시재단, 평창장학회, 홍천문화재단, 화천군인재육성재단, 횡성인재육성장학회 (충북) (재)괴산군문화예술체육진흥재단, 괴산군민장학회, 단양장학회, 보은군민장학회, 영동군민장학회, 영동축제관광재단, 옥천군장학회, 음성장학회, 재단법인 제천문화재단, 재단법인 제천복지재단, 재단법인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충주문화관광재단, 제천시인재육성재단, 증평군민장학회, 증평복지재단, 진천군장학회, 청주복지재단,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충북문화재단, 충북학사, 충주시장학회,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재단 (충남) 계룡시애향장학회, 공주시한마음장학회, 금산교육사랑장학재단, 논산시장학회, 당진문화재단, 당진시복지재단, 당진장학회, 만세보령장학회, 보령축제관광재단, 부여군굿뜨래장학회, 서산시복지재단, 서산인재육성재단, 아산문화재단, 아산시미래장학회, 예산사랑장학회, 재단법인 계룡시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공주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금산축제관광재단, 재단법인 논산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백제역사문화연구원, 재단법인 서산문화재단, 재단법인 천안시민프로축구단, 재단법인 충남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한국유교문화진흥원, 재단법인 홍주문화관광재단, 천안문화재단, 천안복지재단, 천안사랑장학재단, 청양사랑인재육성장학회,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 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충청남도여성정책개발원, 태안군사랑장학회, 홍성사랑장학회 (전북) 고창군장학재단, 군산교육발전진흥재단, 김제사랑장학재단, 무주군교육발전장학재단, 순창군옥천장학회, 완주군인재육성재단, 완주문화재단, 익산문화관광재단, 익산사랑장학재단, 임실군애향장학회, 임실치즈테마파크, 장수군애향교육진흥재단, 재단법인 고창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부안군근농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부안군문화재단, 재단법인 전북특별자치도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전북특별자치도문화관광재단, - 44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재단법인 전북특별자치도평생교육장학진흥원, 전주문화재단, 전주시복지재단전주사람, 전주인재육성재단,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정읍시민장학재단, 진안사랑장학재단, 춘향장학재단, 한국전통문화전당 (전남) (재)영암군 미래교육재단, 강진군민장학재단, 강진문화관광재단, 광양시어린이보육재단, 나주교육진흥재단,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남도장학회, 담양군문화재단, 담양군복지재단, 담양장학회, 명량대첩기념사업회, 목포문화재단, 목포복지재단, 목포장학재단, 무안군승달장학회, 백운장학회, 보성군장학재단, 사랑나눔복지재단, 순천시인재육성장학회재단, 신안군복지재단, 신안군장학재단, 영암군문화재단, 완도군행복복지재단, 완도해조류박람회조직위원회, 장보고장학회, 장성장학회, 장흥군인재육성장학회, 재단법인 곡성군미래교육재단, 재단법인 무안황토건축문화재단, 재단법인 순천문화재단, 재단법인 예술섬, 재단법인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전라남도관광재단, 재단법인 전라남도문화재단, 재단법인 전라남도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함평축제관광재단, 재단법인 해남군 교육재단, 재단법인 해남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화순군문화관광재단, 전라남도세계친환경디자인박람회조직위원회, 정남진장흥노인복지재단, 진도군인재육성장학회, 포뮬러원국제자동차경주대회조직위원회, 화순장학회 (경북) 경북문화재단, 경북행복재단, 경산시장학회, 경주문화재단, 경주시장학회, 경주화백컨벤션센터, 구미시장학재단, 김천복지재단, 김천시인재양성재단, 독도재단, 문경시상권활성화재단, 문경시장학회, 상주시장학회, 성주군별고을장학회, 안동시장학회, 안동시한국정신문화재단, 영덕군교육발전위원회, 영덕복지재단, 영양군영양축제관광재단, 영양군인재육성장학회, 영주문화관광재단, 영주시인재육성장학회, 영천시장학회, 예천군민장학회, 울진군장학재단, 의성군장학회, 재단법인 경상북도 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봉화축제관광재단, 재단법인 새마을재단, 재단법인 영덕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예천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칠곡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환동해산업연구원, 청도군인재육성장학회, 청도우리정신문화재단, 청송군인재육성장학회, 청송문화관광재단, 포항문화재단, 포항시장학회, 한국국학진흥원, 호이장학회 (경남) (재)고성교육재단,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재)산청축제관광재단, 거제시문화예술재단, 거제시희망복지재단, 거창군장학회, 거창문화재단, 경남문화예술진흥원, 경상남도장학회, 김해문화관광재단, 김해시복지재단, 밀양시민장학재단, 사천문화재단, 사천시인재육성장학재단, 양산시복지재단, 양산시인재육성장학재단, 재단법인 경상남도 관광재단, 재단법인 경상남도 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경상남도인재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 45 - 지방정부 공공비영리단체(560개) 고성문화관광재단, 재단법인 김해시미래인재장학재단, 재단법인 남해군관광문화재단, 재단법인 남해군인재육성재단, 재단법인 사천시미생물발효재단, 재단법인 창원복지재단, 재단법인 통영한산대첩문화재단, 진주문화관광재단, 진주시복지재단, 창녕군인재육성장학재단, 창원문화재단, 창원시장학회, 통영국제음악재단, 하동군장학재단, 함안군장학재단 (제주) 재단법인 제주특별자치도 사회서비스원, 제주문화예술재단, 제주영상·문화산업진흥원,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사회보장기금(6개) (교육부)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인사처) 공무원연금공단 (복지부)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용부) 근로복지공단 - 46 - 부록3-3 공공부문 포괄범위-공기업 비금융공기업(472개) (고용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잡월드 (관세청) (재)국제원산지정보원 (교육부)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국조실)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토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부동산원,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국토안전관리원, 국가철도공단, 주택관리공단(주), 코레일관광개발(주), 코레일네트웍스(주), 코레일로지스(주), 코레일유통(주), 코레일테크(주), 주식회사 에스알, 재단법인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건설기술교육원, 공간정보품질관리원, 한국도로공사서비스(주) (기재부) 한국조폐공사 (농식품부) 한국마사회,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문체부) 한국관광공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예술의전당,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그랜드코리아레저(주), 대한체육회, 한국문화진흥주식회사, 한국체육산업개발(주) (문화재청) 한국문화재재단 (과기부) (재)한국우편사업진흥원, (재)우체국시설관리단, 재단법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재료연구원,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방통위)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보훈처)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88관광개발(주) (복지부)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한적십자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산업부)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지역난방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 47 - 비금융공기업(472개)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거래소, 주식회사 강원랜드,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전력기술(주), 한전KDN(주), 한전KPS(주), 한전원자력연료주식회사, 한전엠씨에스(주), 한국광해광업공단 (소방청)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중기부) 중소기업유통센터, ㈜공영홈쇼핑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해수부) 부산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행안부)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환경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수자원공사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고등교육기관) 광주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공영방송) KBS(한국방송공사), EBS(한국교육방송공사) (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도시개발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 부산도시공사, 대구도시개발공사, 인천도시공사, 광주광역시도시공사, 대전도시공사, 울산도시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강원개발공사, 충북개발공사, 충청남도개발공사, 전북개발공사, 전남개발공사, 경상북도개발공사, 경남개발공사,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기타공사)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부산관광공사, 광주광역시 관광공사, 대전관광공사, 경기관광공사, 경기평택항만공사, 용인도시공사, 안산도시공사, 평택도시공사, 화성도시공사, 김포도시관리공사, 구리농수산물공사, 하남도시공사, 강릉관광개발공사, 당진항만관광공사, 장수한우지방공사, 영양고추유통공사, 통영관광개발공사, 제주에너지공사, 제주관광공사, 서울에너지공사, 경상북도문화관광공사, 청도공영사업공사, 경기교통공사 (서울) 120다산콜재단, 서울디지털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서울연구원, 서울의료원,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재단법인 서울경제진흥원,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티비에스, 성동미래일자리(주), 노원어르신행복주식회사, 금천일자리 주식회사, 대한민국동작주식회사, 서초여성일자리주식회사 (부산) 부산경제진흥원,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 부산신용보증재단, 부산여성가족과 평생교육진흥원, 부산의료원,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테크노파크, 재단법인 부산디자인진흥원, 재단법인 부산연구원, 재단법인 연제구상권활성화재단, 재단법인부산광역시글로벌도시재단 - 48 - 비금융공기업(472개) (대구) 대구의료원, 대구정책연구원, 대구테크노파크, 재단법인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주)엑스코 (인천) 여성가족재단, 인천광역시의료원,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 인천연구원, 재단법인 인천테크노파크, 인천스마트시티(주) (광주) 광주광역시 경제진흥상생일자리재단, 광주광역시 기후에너지진흥원, 광주그린카진흥원, 광주남구로컬푸드센터, 광주신용보증재단, 광주영어방송,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테크노파크, 재단법인 광주광역시 여성가족재단, 재단법인 광주디자인진흥원, 재단법인 광주연구원 (대전) 대전세종연구원,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테크노파크, 재단법인 대덕경제재단, 재단법인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재단법인 대전디자인진흥원, 재단법인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정보문화산업진흥원 (울산) 울산신용보증재단,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테크노파크, 재단법인 울산경제일자리진흥원, 재단법인 울산광역시 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 재단법인 울산연구원 (세종) 재단법인 세종테크노파크 (경기) 경기대진테크노파크,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도사회적경제원, 경기도수원월드컵경기장관리재단, 경기도의료원,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도청소년수련원,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경기연구원,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테크노파크, 고양국제꽃박람회, 고양시청소년재단, 고양연구원, 과천시청소년육성재단, 광명시청소년재단, 군포산업진흥원, 부천시여성청소년재단, 부천아트센터, 성남시상권활성화재단, 성남시정연구원, 성남시청소년재단, 수원FC, 수원시국제교류센터, 수원시정연구원, 시흥도시재생지원센터, 시흥산업진흥원, 안산환경재단, 안양산업진흥원, 안양시청소년재단, 연천군청소년육성재단, 용인시정연구원, 용인시청소년미래재단, 용인시축구센터, 의왕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경기도 농수산진흥원, 재단법인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재단법인 경기도여성가족재단, 재단법인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재단법인 고양산업진흥원, 재단법인 구리시상권활성화재단, 재단법인 구리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군포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김포산업진흥원, 재단법인 김포에프씨, 재단법인 부천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성남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수원도시재단, 재단법인 수원시청소년청년재단, 재단법인 수원컨벤션센터, 재단법인 시흥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안산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안양 군포 의왕 과천 공동급식지원센터, 재단법인 용인시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의정부시 상권활성화재단, 재단법인 의정부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의정부시평생학습원, 재단법인 - 49 - 비금융공기업(472개) 이천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파주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평택시로컬푸드재단, 재단법인 포천시농업재단, 재단법인 화성산업진흥원, 재단법인 화성시여성가족청소년재단, 재단법인 화성시연구원, 재단법인 화성시환경재단, 재단법인 화성에프씨, 재단법인 화성푸드통합지원센터,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평택산업진흥원, 평택시국제교류재단, 평택시청소년재단, (주)킨텍스, (주)파주장단콩웰빙마루 (강원) 강릉과학산업진흥원, 강원신용보증재단, 강원연구원, 강원테크노파크, 강원특별자치도강릉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삼척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속초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영월의료원, 강원특별자치도원주의료원, 북방물류산업진흥원,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재단법인 2018평창기념재단, 재단법인 강릉시민축구단, 재단법인 강원디자인진흥원, 재단법인 강원문화재연구소, 재단법인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영월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정선군상권활성화재단, 재단법인 춘천레저태권도조직위원회, 재단법인 춘천시 주민자치지원센터, 재단법인 춘천지역먹거리통합지원센터, 재단법인 평창유산재단, 재단법인 평창푸드통합지원센터, 재단법인 해양심층수산업 고성진흥원, 철원플라즈마산업기술연구원,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한국여성수련원,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주)블랙밸리컨트리클럽 (충북) 재단법인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재단법인 충북과학기술혁신원, 제천한방바이오진흥재단, 충북신용보증재단, 충북여성재단, 충북연구원, 충북테크노파크, 충청북도 청주의료원, 충청북도 충주의료원,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충남) 공주의료원, 당진시청소년재단, 부여군 지역공동체활성화재단, 서산의료원, 예산군청소년복지재단, 재단법인 금산인삼약초산업진흥원, 재단법인 논산시청소년청년재단, 재단법인 서천군지속가능지역재단, 재단법인 아산시먹거리재단, 재단법인 아산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천안과학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천안시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청양군 지역활성화재단, 재단법인 청양군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충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충청남도일자리경제진흥원, 재단법인 충청남도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 재단법인 헬스케어스파산업진흥원, 천안의료원, 충남신용보증재단, 충남연구원, 충남테크노파크, 홍성군청소년복지재단, 홍성의료원 (전북)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순창군건강장수연구소, 에코융합섬유연구원,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자동차융합기술원, 재단법인 고창식품산업연구원, - 50 - 비금융공기업(472개) 재단법인 군산먹거리통합지원센터, 재단법인 군산시상권활성화재단, 재단법인 남원시바이오산업연구원, 재단법인 순창발효관광재단, 재단법인 완주공공급식지원센터, 재단법인 익산푸드통합지원센터, 재단법인 전북국제협력진흥원, 재단법인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재단법인 전북여성가족재단, 재단법인 전북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 재단법인 전북특별자치도콘텐츠융합진흥원, 전북신용보증재단, 전북연구원, 전북테크노파크,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의료원,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의료원,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전주푸드통합지원센터, 진안군의료원, 진안홍삼연구소, 군산시민발전주식회사 (전남) (재)남도음식문화큰잔치, 김대중노벨평화상기념관, 나주시농업농촌융복합산업진흥재단, 남해안권발효식품산업지원센터, 녹색에너지연구원, 목포국제축구센터, 목포수산물유통센터, 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 목포시의료원,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재단법인 남도장터, 재단법인 목포수산식품수출센터, 재단법인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 재단법인 장성먹거리통합지원센터,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진흥원, 재단법인 전남여성가족재단, 재단법인 전남연구원, 재단법인 전라남도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 재단법인 한국학 호남진흥원, 재단법인 해남먹거리통합지원센터, 전남신용보증재단, 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전남테크노파크, 전라남도 환경산업진흥원, 전라남도강진의료원, 전라남도국제농업박람회, 전라남도순천의료원, 전라남도청소년미래재단, 진도군상권활성화재단 (경북)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경북신용보증재단, 경북여성정책개발원, 경북테크노파크, 경북하이브리드부품연구원, 경상북도 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 경상북도경제진흥원, 경상북도김천의료원, 경상북도안동의료원, 경상북도청소년육성재단, 경상북도포항의료원, 경상북도환경연수원, 경주스마트미디어센터, 구미전자정보기술원, 신라문화유산연구원, 울진군의료원,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재단법인 경북자동차임베디드연구원, 재단법인 경상북도호국보훈재단, 재단법인 구미먹거리통합지원센터, 포항금속소재산업진흥원, 포항시청소년재단, 포항테크노파크 (경남) (재)경상남도청소년지원재단, (재)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재)창원산업진흥원, 거창화강석연구센터, 경남로봇랜드재단, 경남신용보증재단, 경남테크노파크, 경상남도마산의료원, 경상남도환경재단, 남해마늘연구소(재), 재단법인 경남연구원, 재단법인 경남항노화연구원, 재단법인 경상남도 여성가족재단, 재단법인 경상남도 투자경제진흥원, 재단법인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 51 - 비금융공기업(472개) 재단법인 사천시 복지 청소년재단, 재단법인 진주시상권활성화재단, 창녕양파장류연구소, 창원시정연구원, 통영시지속가능발전교육재단, 하동녹차연구소, 창원자족형복합행정타운 주식회사, 밀양물산 주식회사 (제주) 서귀포의료원, 제주4·3평화재단, 제주신용보증재단,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제주연구원, 제주의료원, 제주테크노파크, 제주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 제주한의약연구원, ㈜제주국제컨벤션센터 금융공기업(12개) (고용부) 건설근로자공제회 (국토부) 주택도시보증공사 (금융위) 한국주택금융공사, 중소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과기부) (재)우체국금융개발원 (기재부) 한국수출입은행, 한국투자공사 (중기부) 한국벤처투자 (해수부)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 52 - 부록4 2023년 행정자료 변동 내용 □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22.6.10.) 개정으로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일자리 작성에 활용 중인 ‘산재보험 입·이직 신고’ 대상 직종이 변경됨(’23.7월~) <산재보험 입·이직 신고 직종 변경 사항> ~’23.6월 ’23.7월~ • 보험설계사, 방문강사 • 택배·퀵서비스·대리운전·유통배송 기사 • 대출·신용카드회원 모집인 • 방문·후원방문 판매원 • 대여제품 방문점검원 • 가전제품배송설치원 • 수출입 컨테이너·시멘트 등 운송 화물차주 • 소프트웨어 기술자 • 건설기계 조종사 • 골프장 캐디 • 살수차·고소작업차·카고크레인 조종사(신설) • 건설기계 조종사 • 골프장 캐디 ㅇ 위 행정자료의 변동으로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의 ’23년 하반기 포괄범위가 변경되었으므로 기존 시계열(’16~’22년)과 전년대비 증감 해석에 유의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