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통계청,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by 플래닛디 2024. 11. 19.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지역별고용조사 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11. 19.(화) 12:00 배포 2024. 11. 19.(화) 08:30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담당 부서 사회통계국 책임자 과 장 송준행 (042-481-2264) 고용통계과 담당자 사무관 이윤정 (042-481-2271) 일 러 두 기 □ 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 이 자료는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집계한 결과입니다. -「Ⅰ. 취업자」는 15~54세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작성하였습니다. -「Ⅱ.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은 15~54세 기혼여성 중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 둔 미취업 여성을 의미하며, 2014년부터 작성하였습니다. ○ 2018년 자료부터 등록센서스에 기반한 인구추계결과를 바탕으로 집계하고 있으며, 과거 자료에 대해서도 소급보정을 실시하였습니다. ○ 산업분류와 직업분류는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제7차 한국 표준직업분류를 적용하였습니다. ○ 통계표에 수록된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통계표 중「-」는 해당숫자 없음, 조사된 표본 없음,「0」은 단위 미만을 나타냅니다. ○ 자료 이용·분석 시 통계청의 공표범위 및 형태와 다르게 분석할 경우 통계 신뢰성(예, 표본오차) 등을 감안하여 이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통계자료 제공 안내 ○ 세부 통계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s://kostat.go.kr) 및 국가통계포털 (KOSIS, https://kosis.kr)을 통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 차 □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요약) ·····················································1 Ⅰ. 18세 미만 자녀 동거 취업자 1. 혼인 상태별 현황 ·········································································4 2. 취업자 현황 ···················································································5 3. 고용 특성별 현황 ·········································································8 Ⅱ.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 1.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현황 ·······················································11 2. 경력단절 사유 ·················································································13 3. 경력단절 기간 ·················································································15 4. 18세 미만 자녀 동거 경력단절여성 ········································17 □ 통계표 ···································································································18 ◇ 부록 ········································································································30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15~54세 기혼여성 현황 (증감은 전년대비) 15~54세 기혼여성 765만 4천명 (29만명 ) 취업자 505만 3천명 (5만 4천명 ) 미취업자 260만 1천명 (23만 6천명 ) 18세 미만 자녀 동거 여성 266만 8천명 (5만 8천명 ) 경력단절여성 121만 5천명 (13만 3천명 ) 18세 미만 자녀 동거 여성 경력단절여성 자녀연령별 고용률 6세 이하 6세 이하 7~12세 13~17세 55.6 64.3 (3.3 ) 69.2 (1.7 ) (0.9 ) 자녀수별 고용률 1명 2명 3명 이상 63.4 62.0 57.6 (2.2 ) (2.7 ) (1.0 ) (0.3 ) (0.1 ) (0.9 ) (단위: %, %p) (단위: %, %p) * 해당 연령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비율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 (단위: 시간) 7~ 12세 13~ 17세 32.0 36.4 37.7 (2.4 ) (2.0 ) (0.5 )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비율* 6세 이하 7~12세 13~17세 33.5 19.9 11.4 (단위: %, %p) 사유별 경력단절여성 육아 50만명 (6만 7천명 ) 결혼 30만 3천명 (5만명 ) 임신· 출산 29만 7천명 (1만 4천명 ) 자녀 교육 5만 8천명 (2천명 ) 가족 돌봄 5만 8천명 (-) - 1 -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요약) 【 18세 미만 자녀 동거 취업자 】 □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 4천명으로 15~54세 여성의 57.2% ○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505만 3천명,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는 266만 8천명으로 나타났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2.4%로 전년대비 2.4%p 상승 ○ 연령계층별 고용률은 50~54세 68.6%, 45~49세 66.7%, 40~44세 62.2%, 35~39세 60.2%, 30~34세 56.3%로 연령계층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음 ○ 전년대비 자녀수별 고용률은 자녀 1명(63.4%) 2.2%p, 자녀 2명(62.0%) 2.7%p, 자녀 3명 이상(57.6%) 1.0%p 상승하였음 ○ 전년대비 자녀연령별 고용률은 6세 이하(55.6%) 3.3%p, 7~12세(64.3%) 1.7%p, 13~17세(69.2%) 0.9%p 상승하였음 < 자녀수별 고용률 > < 자녀연령별 고용률 > 61.2 59.3 56.6 63.4 62.0 57.6 40.0 50.0 60.0 70.0 1명 2명 3명이상 (%) 2023년 2024년 52.3 62.6 68.3 55.6 64.3 69.2 40.0 50.0 60.0 70.0 6세이하 7∼12세 13∼17세 (%) 2023년 2024년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 35.3시간으로 전년대비 0.4시간 감소 ○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6세 이하(32.0시간)는 전년대비 0.9시간, 7~12세(36.4시간)는 0.1시간, 13~17세(37.7시간)는 0.3시간 감소하였음 - 2 - 【 경력단절여성 】 □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121만 5천명으로 전년 대비 13만 3천명 감소 ○ 15~54세 기혼여성 765만 4천명 중 미취업여성은 260만 1천명, 이 중 경력단절여성은 121만 5천명으로 나타났음 -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15.9%로 전년대비 1.1%p 하락 ○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은 40~44세(33만 9천명), 35~39세(28만 6천명), 45~49세(20만 5천명) 순으로 나타났음 □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가 41.1% ○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1.1%), 결혼(24.9%), 임신·출산(24.4%), 가족돌봄(4.8%), 자녀교육(4.7%) 순으로 나타났음 ○ 40~49세의 경력단절 사유는 육아(41.8%), 결혼(24.8%), 임신·출산(21.9%) 순이며, 30~39세는 육아(44.2%), 임신·출산(29.4%), 결혼(22.4%) 순으로 나타났음 □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이 41.2% ○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41.2%), 5~10년 미만(22.8%), 1년 미만(12.6%) 순으로 나타났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력단절여성은 97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11만명 감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22.7%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많을수록, 자녀가 어릴수록 비율이 높았음 -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자녀수가 3명이상(27.7%), 2명(23.7%), 1명(21.1%) 순으로 높았음 -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6세이하(33.5%), 7~12세(19.9%), 13~17세(11.4%) 순으로 높았음 - 3 - <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 구성 > 15세 이상 여성 (23,099천명) 15∼54세 여성 (13,374천명) 55세 이상 여성 (9,725천명) 기혼1) (7,654천명) 미혼 (5,720천명) 취업자 (5,053천명) 미취업자 (2,601천명) 경력단절여성2) (1,215천명) 18세 미만 자녀와 동거 (2,668천명) 기타3) (2,385천명) 18세 미만 자녀와 동거 (971천명) 기타3) (245천명) 1) 15∼54세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 동거 여성은 4,276천명 2) 경력단절여성: 개인·가족적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 ․개인·가족적 사유: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자녀교육(초등학교), 가족돌봄 3) 기타: ① 18세 미만 자녀와 비동거 ② 자녀가 18세 이상 ③ 자녀 없는 경우 포함 - 4 - Ⅰ. 18세 미만 자녀 동거 취업자 1. 혼인 상태별 현황 가. 혼인 상태별 여성의 규모 ❍ 2024년 상반기(4월)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 4천명으로 15~54세 여성의 57.2%, 미혼여성은 572만명으로 42.8%를 차지하였음 ❍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은 427만 6천명(55.9%)으로 전년대비 7만 1천명 감소하였음 < 혼인 상태별 여성의 규모 > 2023년 구성비 2024년 구성비 증 감 구성비 15∼54세 여성 13,610 100.0 13,374 100.0 -236 - 기혼1) 7,943 58.4 7,654 57.2 -290 -1.2 18세 미만 자녀 동거2) 4,347 (54.7) 4,276 (55.9) -71 (1.2) 미혼 5,666 41.6 5,720 42.8 54 1.2 (단위: 천명, %, %p) 1) 15∼54세 기혼여성으로 유배우, 이혼, 사별 포함 2)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로 막내자녀 18세 미만 기준, 18세 미만 자녀가 없는 경우는 제외 나. 혼인 상태별 여성 취업자 및 고용률 ❍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6.0%로 전년대비 1.7%p 상승하였음 ❍ 기혼여성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여성의 고용률은 62.4%로 전년대비 2.4%p 상승하였음 < 혼인 상태별 여성 취업자 및 고용률 >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고용률 취업자 고용률 취업자 고용률 15∼54세 여성 8,359 61.4 8,398 62.8 38 1.4 기혼 5,107 64.3 5,053 66.0 -54 1.7 18세 미만 자녀 동거 2,609 60.0 2,668 62.4 58 2.4 미혼 3,253 57.4 3,345 58.5 92 1.1 (단위: 천명, %, %p) 주: 15~54세 기혼여성 고용률(%)=(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15~54세 전체 기혼여성)×100 - 5 - 2. 취업자 현황 가. 연령계층별 여성 취업자 및 고용률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40~44세 86만 3천명, 45~49세 68만 3천명, 35~39세 55만 1천명, 30~34세 26만 6천명, 50~54세 25만 2천명 순으로 많았음 - 전년대비 45~49세(3만 8천명), 50~54세(3만 2천명), 40~44세(2천명), 15~29세 (2천명)는 증가하였고, 35~39세(-1만명), 30~34세(-4천명)는 감소하였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50~54세는 68.6%, 45~49세는 66.7%, 40~44세는 62.2%, 35~39세는 60.2%, 30~34세는 56.3%로 연령계층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음 - 전년대비 고용률은 15~29세에서 5.7%p 상승하는 등 전체 연령계층에서 상승하였음 < 연령계층별 여성 취업자 및 고용률 >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고용률 취업자 고용률 취업자 고용률 전 체 2,609 60.0 2,668 62.4 58 2.4 15∼29세 51 41.8 53 47.5 2 5.7 30∼34세 271 52.7 266 56.3 -4 3.6 35∼39세 562 57.2 551 60.2 -10 3.0 40∼44세 861 61.0 863 62.2 2 1.2 45∼49세 644 65.1 683 66.7 38 1.6 50∼54세 221 67.3 252 68.6 32 1.3 (단위: 천명, %, %p) - 6 - 나. 교육정도별 여성 취업자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교육정도별로 살펴보면, 대졸 이상 194만 6천명(72.9%), 고졸이하 72만 2천명(27.1%)으로 나타났음 - 전년대비 대졸이상(7만 9천명)은 증가하였고, 고졸이하(-2만 1천명)는 감소하였음 < 교육정도별 여성 취업자 >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 체 2,609 100.0 2,668 100.0 58 - 고졸이하 742 28.4 722 27.1 -21 -1.3 고졸 690 (92.9) 671 (93.0) -19 (0.1) 대졸이상 1,867 71.6 1,946 72.9 79 1.3 전문대졸 545 (29.2) 563 (28.9) 18 (-0.3) 대학교졸이상 1,322 (70.8) 1,383 (71.1) 61 (0.3) (단위: 천명, %, %p) 다. 자녀수별 취업자 및 고용률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자녀수별로 살펴보면, 자녀 1명 135만명 (50.6%), 2명 113만 9천명(42.7%), 3명 이상 17만 8천명(6.7%) 순으로 많았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자녀가 1명인 경우 63.4%, 2명일 때 62.0%, 3명 이상인 경우 57.6%로 자녀수가 많을수록 낮았음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전 체 2,609 100.0 60.0 2,668 100.0 62.4 58 - 2.4 1명 1,307 50.1 61.2 1,350 50.6 63.4 43 0.5 2.2 2명 1,112 42.6 59.3 1,139 42.7 62.0 28 0.1 2.7 3명 이상 191 7.3 56.6 178 6.7 57.6 -12 -0.6 1.0 < 자녀수별 취업자 및 고용률 > (단위: 천명, %, %p) - 7 - 라. 자녀연령별 취업자 및 고용률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자녀연령별로 살펴보면, 7~12세 103만 4천명(38.8%), 6세 이하 87만 1천명(32.6%), 13~17세 76만 3천명 (28.6%) 순으로 많았음 - 전년대비 자녀연령별 취업자수는 6세 이하(-1만 3천명)에서는 감소하였고, 7~12세(4만 5천명), 13~17세(2만 6천명)에서는 증가하였음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자녀연령이 6세 이하인 경우 55.6%, 7~12세일 때 64.3%, 13~17세인 경우 69.2%로 자녀가 어릴수록 낮았음 - 전년대비 고용률은 6세 이하 3.3%p, 7~12세 1.7%p, 13~17세 0.9%p 상승하였음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취업자 구성비 고용률 전 체 2,609 100.0 60.0 2,668 100.0 62.4 58 - 2.4 6세 이하 884 33.9 52.3 871 32.6 55.6 -13 -1.3 3.3 7∼12세 989 37.9 62.6 1,034 38.8 64.3 45 0.9 1.7 13∼17세 737 28.2 68.3 763 28.6 69.2 26 0.4 0.9 < 자녀연령별 취업자 및 고용률 > (단위: 천명, %, %p) * 막내자녀 18세 미만 기준 - 8 - 3. 고용 특성별 현황 가. 산업별 취업자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산업별로 살펴보면, 보건업및 사회복지서비스업 46만 8천명(17.5%), 교육서비스업 40만 3천명(15.1%), 도매및소매업 34만 5천명(12.9%) 순으로 많았음 - 전년대비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1만 8천명), 정보통신업(1만 7천명) 등은 증가하였고, 교육서비스업(-1만 8천명),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 (-8천명) 등은 감소하였음 < 산업별 취업자 >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 체 2,609 100.0 2,668 100.0 58 - 농업, 임업 및 어업 30 1.1 31 1.1 1 0.0 제조업 302 11.6 302 11.3 1 -0.3 건설업 71 2.7 70 2.6 -1 -0.1 도매 및 소매업 336 12.9 345 12.9 9 0.0 운수 및 창고업 47 1.8 50 1.9 3 0.1 숙박 및 음식점업 192 7.4 206 7.7 14 0.3 정보통신업 58 2.2 75 2.8 17 0.6 금융 및 보험업 130 5.0 133 5.0 3 0.0 부동산업 38 1.5 40 1.5 2 0.0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21 4.6 134 5.0 13 0.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92 3.5 92 3.5 0 0.0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28 4.9 145 5.4 18 0.5 교육 서비스업 421 16.1 403 15.1 -18 -1.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475 18.2 468 17.5 -8 -0.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49 1.9 51 1.9 3 0.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06 4.1 106 4.0 0 -0.1 기타1) 15 0.6 18 0.7 3 0.1 (단위: 천명, %, %p) 1) 광업, 전기,가스,증기및공기조절공급업, 수도,하수및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가구내고용활동및달리분류되지않은자가 소비생산활동, 국제및외국기관이 포함됨 - 9 - 나. 직업별 취업자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직업별로 살펴보면, 관리자·전문가 및관련종사자 92만 6천명(34.7%), 사무종사자 77만 4천명(29.0%), 서비스 종사자 35만 1천명(13.2%) 순으로 많았음 - 전년대비 사무종사자(2만 6천명), 서비스종사자(2만 2천명) 등은 증가하였고, 기능원및관련기능종사자(-6천명), 장치·기계조작및조립종사자(-6천명) 등은 감소하였음 < 직업별 취업자 >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 체 2,609 100.0 2,668 100.0 58 -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911 34.9 926 34.7 15 -0.2 사무종사자 749 28.7 774 29.0 26 0.3 서비스종사자 329 12.6 351 13.2 22 0.6 판매종사자 278 10.7 274 10.3 -4 -0.4 농림어업숙련종사자 25 1.0 25 0.9 0 -0.1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46 1.7 39 1.5 -6 -0.2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78 3.0 72 2.7 -6 -0.3 단순노무종사자 194 7.4 206 7.7 12 0.3 (단위: 천명, %, %p) - 10 - 다.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면, 임금 근로자는 220만 6천명(82.7%), 비임금근로자는 46만 1천명(17.3%)으로 나타났음 -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76만 9천명(80.2%), 임시·일용근로자는 43만 7천명(19.8%)으로 나타났음 - 전년대비 상용근로자(5만 3천명), 임시·일용근로자(6천명) 모두 증가하였음 <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 (단위: 천명, %, %p) 2023년 2024년 증감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 체 2,609 100.0 2,668 100.0 58 - 임금근로자 2,147 82.3 2,206 82.7 59 0.4 상 용근 로 자 1,716 (79.9) 1,769 (80.2) 53 (0.3) 임시·일용근로자 431 (20.1) 437 (19.8) 6 (-0.3) 비임금근로자 462 17.7 461 17.3 -1 -0.4 라.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5.3시간 으로 자녀가 어릴수록 적은 것으로 나타났음 - 전년대비 6세 이하는 0.9시간, 13~17세 0.3시간, 7~12세 0.1시간 감소하였음 < 자녀연령별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 > 2023년 2024년 증감 0∼17세 35.7 35.3 -0.4 6세 이하 32.9 32.0 -0.9 7∼12세 36.5 36.4 -0.1 13∼17세 38.0 37.7 -0.3 (단위: 시간) * 막내자녀 18세 미만 기준 - 11 - Ⅱ.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 1.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현황 가. 경력단절여성 규모 ❍ 2024년 상반기(4월)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 4천명으로 전년대비 29만명 감소하였음 - 경력단절여성은 121만 5천명으로 전년대비 13만 3천명 감소하였고,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15.9%로 1.1%p 하락하였음 < 연도별 경력단절여성 현황 > 8,578 8,323 8,103 7,943 7,654 3,420 3,240 3,027 2,837 2,601 1,506 1,448 1,397 1,349 1,215 0 2,000 4,000 6,000 8,000 10,000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천명) 15~54세 기혼여성 미취업여성 경력단절여성 < 경력단절여성 규모 > (단위: 천명, %, %p) 구 분 2023년 비율 2024년 비율 증감 비율 15~54세 기혼여성 7,943 100.0 7,654 100.0 -290 - 미취업여성 2,837 35.7 2,601 34.0 -236 -1.7 경력단절여성* 1,349 (17.0) 1,215 (15.9) -133 (-1.1) * 경력단절여성: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자녀교육(초등학교), 가족돌봄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여성 ** ( )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의 비율 - 12 -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 경력단절여성(121만 5천명)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40~44세(33만 9천명), 35~39세(28만 6천명), 45~49세(20만 5천명) 순으로 많았음 -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계층은 35~39세로 24.7%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7.3%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 - 미취업여성 중 경력단절여성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계층은 35~39세로 66.1%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23.9%로 가장 낮게 나타났음 <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 264 802 1,160 1,660 1,705 2,063 108 282 433 605 543 630 52 183 286 339 205 151 0 500 1,000 1,500 2,000 2,500 1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50~54세 (천명) 15~54세 기혼여성 미취업여성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 %p) 연 령 15~54세 기혼여성 (A) 미취업 여성 (B) 경력단절 여성 (C) 비율 (B/A) 비율 (C/A) 비율 (C/B) (증감) (증감) (증감) 전 체 7,654 2,601 34.0 (-1.7) 1,215 15.9 (-1.1) 46.7 (-0.8) 15∼29세 264 108 40.8 (-0.5) 52 19.7 (-2.1) 48.4 (-4.3) 30∼34세 802 282 35.2 (-4.6) 183 22.8 (-2.6) 64.8 (1.0) 35∼39세 1,160 433 37.3 (-3.5) 286 24.7 (-2.2) 66.1 (0.2) 40∼44세 1,660 605 36.4 (-1.5) 339 20.4 (-1.3) 56.0 (-1.4) 45∼49세 1,705 543 31.8 (-1.0) 205 12.0 (-0.4) 37.7 (-0.2) 50∼54세 2,063 630 30.5 (-0.5) 151 7.3 (0.1) 23.9 (0.8) - 13 - 2. 경력단절 사유 가. 경력단절 사유 ❍ 경력단절여성(121만 5천명)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를 살펴보면, 육아 50만명(41.1%), 결혼 30만 3천명(24.9%), 임신·출산 29만 7천명(24.4%) 순으로 나타났음 - 전년대비 가족돌봄은 동일하였고, 육아(-6만 7천명), 결혼(-5만명), 임신· 출산(-1만 4천명), 자녀교육(-2천명)은 감소하였음 < 경력단절 사유 > 353 310 567 60 58 303 297 500 58 58 0 200 400 600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천명) 2023년 2024년 (단위: 천명, %, %p) 경력단절 사유 2023년 2024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전 체 1,349 100.0 1,215 100.0 -133 - 결혼 353 26.2 303 24.9 -50 -1.3 임신·출산 310 23.0 297 24.4 -14 1.4 육아 567 42.0 500 41.1 -67 -0.9 자녀교육 60 4.4 58 4.7 -2 0.3 가족돌봄 58 4.3 58 4.8 0 0.5 - 14 -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사유 ❍ 경력단절여성(121만 5천명)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사유를 살펴보면, - 15~29세는 임신·출산(35.6%), 육아(34.3%), 결혼(28.2%) - 30~39세는 육아(44.2%), 임신·출산(29.4%), 결혼(22.4%) - 40~49세는 육아(41.8%), 결혼(24.8%), 임신·출산(21.9%) - 50~54세는 결혼(32.3%), 육아(31.4%), 가족돌봄(16.5%) 순으로 나타났음 <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사유 > 32.3 24.8 22.4 28.2 14.0 21.9 29.4 35.6 31.4 41.8 44.2 34.3 5.8 6.6 2.7 0.4 16.5 4.9 1.3 1.5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50~59세 40~49세 30~39세 15~29세 (%)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단위: 천명, %) 경력단절 사유 전체 15∼29세 30∼39세 40∼49세 50∼54세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전 체 1,215 100.0 52 100.0 469 100.0 544 100.0 151 100.0 결혼 303 24.9 15 28.2 105 22.4 135 24.8 49 32.3 임신·출산 297 24.4 19 35.6 138 29.4 119 21.9 21 14.0 육아 500 41.1 18 34.3 207 44.2 227 41.8 47 31.4 자녀교육 58 4.7 0 * 0.4 13 2.7 36 6.6 9 5.8 가족돌봄 58 4.8 1 * 1.5 6 1.3 27 4.9 25 16.5 *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15 - 3. 경력단절 기간 가. 경력단절 기간 ❍ 경력단절여성(121만 5천명)의 경력단절 기간을 살펴보면, 10년 이상은 50만 1천명(41.2%), 5~10년 미만은 27만 7천명(22.8%), 1년 미만은 15만 3천명(12.6%), 3~5년 미만은 14만 6천명(12.0%), 1~3년 미만은 13만 8천명 (11.4%) 순으로 나타났음 ❍ 전년대비 5~10년 미만(-4만 8천명), 10년 이상(-3만 8천명), 3~5년 미만 (-3만 2천명), 1~3년 미만(-1만 3천), 1년 미만(-1천명) 모두 감소하였음 < 경력단절 기간별 경력단절여성 > 155 152 178 325 539 153 138 146 277 501 0 200 400 600 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 (천명) 2023년 2024년 (단위: 천명, %, %p) 경력단절 기간 2023년 2024년 증감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전 체 1,349 100.0 1,215 100.0 -133 - 1년 미만 155 11.5 153 12.6 -1 1.1 1~3년 미만 152 11.2 138 11.4 -13 0.2 3~5년 미만 178 13.2 146 12.0 -32 -1.2 5~10년 미만 325 24.1 277 22.8 -48 -1.3 10년 이상 539 40.0 501 41.2 -38 1.2 - 16 -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기간 ❍ 경력단절여성(121만 5천명)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기간을 살펴보면, - 15~29세는 1~3년 미만(33.0%), 1년 미만(29.5%) - 30~39세는 5~10년 미만(32.4%), 3~5년 미만(18.1%) - 40~49세는 10년 이상(57.9%), 5~10년 미만(20.1%) - 50~54세는 10년 이상(76.9%), 5~10년 미만(6.8%) 순으로 나타났음 <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기간 > 6.3 8.4 17.6 29.5 4.7 6.3 16.9 33.0 5.4 7.2 18.1 26.4 6.8 20.1 32.4 10.2 76.9 57.9 14.9 1.0 0 20 40 60 80 100 50~54세 40~49세 30~39세 15~29세 (%) 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 (단위: 천명, %) 경력단절 기간 전체 15∼29세 30∼39세 40∼49세 50∼54세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구성비 전 체 1,215 100.0 52 100.0 469 100.0 544 100.0 151 100.0 1년 미만 153 12.6 15 29.5 83 17.6 46 8.4 10 6.3 1~3년 미만 138 11.4 17 33.0 79 16.9 34 6.3 7 4.7 3~5년 미만 146 12.0 14 26.4 85 18.1 39 7.2 8 5.4 5~10년 미만 277 22.8 5 10.2 152 32.4 110 20.1 10 6.8 10년 이상 501 41.2 1 * 1.0 70 14.9 315 57.9 116 76.9 *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17 - 4. 18세 미만 자녀 동거 경력단절여성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 427만 6천명 중 경력단절여성은 97만 1천명으로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22.7%로 나타났음 ❍ 18세 미만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규모를 살펴보면, - 자녀수 1명 44만 9천명, 2명 43만 6천명, 3명 이상 8만 6천명 순으로 나타났음 <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 (단위: 천명, %, %p) 구 분 2023 2024 증감 기혼 여성 (A) 기혼 여성 (A) 기혼 여성 (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전 체 7,943 1,349 17.0 7,654 1,215 15.9 -290 -133 -1.1 18세 미만 자녀 동거 4,347 1,081 24.9 4,276 971 22.7 -71 -110 -2.2 1명 2,136 494 23.1 2,128 449 21.1 -8 -45 -2.0 2명 1,875 488 26.0 1,839 436 23.7 -36 -52 -2.3 3명 이상 336 99 29.4 309 86 27.7 -27 -13 -1.7 *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의 비율 ❍ 18세 미만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규모를 살펴보면, - 6세 이하 52만 5천명, 7~12세 32만명, 13~17세 12만 6천명 순으로 나타났음 <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 (단위: 천명, %, %p) 구 분 2023 2024 증감 기혼 여성 (A) 기혼 여성 (A) 기혼 여성 (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경력단절 여성 (B) 비율 (B/A) 18세 미만 자녀 동거 4,347 1,081 24.9 4,276 971 22.7 -71 -110 -2.2 6세 이하 1,690 606 35.9 1,567 525 33.5 -123 -81 -2.4 7∼12세 1,580 346 21.9 1,607 320 19.9 27 -26 -2.0 13∼17세 1,078 129 11.9 1,102 126 11.4 24 -3 -0.5 * 막내자녀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의 비율 통 계 표 Ⅰ. 18세 미만 자녀 동거 취업자 현황··················································19 1. 혼인 상태별 여성 현황··························································································19 2. 연령, 교육 정도, 지역별 취업자··································································20 3. 산업별 취업자··················································································································21 4. 직업별 취업자··················································································································21 5. 종사상지위별 취업자································································································21 6. 자녀수별 취업자 및 고용률··············································································22 7. 자녀연령별 취업자 및 고용률········································································22 8.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22 Ⅱ.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 현황·································································23 1.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규모 ·····································································23 2.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24 3.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25 4. 연령계층별 사유별 경력단절여성 ·······························································26 5. 연령계층별 기간별 경력단절여성 ·······························································27 6. 지역별 경력단절여성 ································································································28 - 19 - Ⅰ. 18세 미만 자녀 동거 취업자 현황 1. 혼인 상태별 여성 현황(15~54세)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15세 이상 여성 22,589 22,724 22,853 22,973 23,030 23,099 69 15∼54세 여성 14,267 14,112 13,954 13,796 13,610 13,374 -236 기혼여성 8,844 8,578 8,323 8,103 7,943 7,654 -290 취업자 5,478 5,158 5,082 5,076 5,107 5,053 -54 (고용률) (61.9) (60.1) (61.1) (62.6) (64.3) (66.0) (1.7) 18세 미만 자녀 동거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고용률) (57.0) (55.5) (56.2) (57.8) (60.0) (62.4) (2.4) 미혼여성 5,423 5,534 5,632 5,693 5,666 5,720 54 취업자 2,809 2,730 2,984 3,226 3,253 3,345 92 (고용률) (51.8) (49.3) (53.0) (56.7) (57.4) (58.5) (1.1) 1-1. 혼인 상태별 여성 현황(19~54세)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15세 이상 여성 22,589 22,724 22,853 22,973 23,030 23,099 69 19∼54세 여성 13,249 13,166 13,057 12,917 12,722 12,480 -242 기혼여성 8,844 8,578 8,322 8,102 7,943 7,654 -290 취업자 5,478 5,158 5,082 5,076 5,107 5,053 -54 (고용률) (61.9) (60.1) (61.1) (62.6) (64.3) (66.0) (1.7) 18세 미만 자녀 동거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고용률) (57.0) (55.5) (56.2) (57.8) (60.0) (62.4) (2.4) 미혼여성 4,405 4,588 4,734 4,815 4,778 4,826 48 취업자 2,771 2,706 2,949 3,190 3,221 3,313 93 (고용률) (62.9) (59.0) (62.3) (66.3) (67.4) (68.6) (1.2) - 20 - 2. 연령, 교육 정도, 지역별 취업자 (단위: 천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15∼29세 91 64 58 52 51 53 2 30∼39세 1,095 988 896 850 832 818 -15 40∼49세 1,487 1,459 1,465 1,509 1,505 1,545 40 50∼54세 154 161 187 210 221 252 32 중졸이하 67 64 63 61 53 51 -2 고 졸 954 848 814 783 690 671 -19 대졸이상 1,806 1,760 1,730 1,778 1,867 1,946 79 서 울 479 465 430 440 419 428 9 부 산 160 156 156 149 149 156 8 대 구 134 122 124 124 129 119 -10 인 천 168 150 148 139 147 153 6 광 주 92 86 83 74 80 81 1 대 전 86 86 87 79 76 80 3 울 산 61 53 54 54 56 54 -2 세 종 27 28 26 29 33 33 0 경 기 763 727 710 760 719 762 43 강 원 81 74 76 79 80 78 -2 충 북 94 85 86 81 85 90 5 충 남 120 122 112 114 111 109 -2 전 북 101 89 88 92 90 94 4 전 남 92 87 82 82 89 87 -2 경 북 136 129 121 120 128 121 -7 경 남 187 171 175 160 167 174 8 제 주 48 44 46 46 51 51 0 * 15∼54세 기혼여성(유배우, 이혼, 사별 포함) 중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 * 군위군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경북에서 대구로 변경하여 집계 - 21 - 3. 산업별 취업자 (단위: 천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농림어업 26 26 26 28 30 31 1 광·제조업 344 322 329 331 302 303 1 건 설 업 60 65 62 68 71 70 -1 도소매·숙박음식점업 640 570 536 525 528 550 23 전기·운수·통신·금융업 269 257 255 249 241 264 23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 1,488 1,432 1,398 1,421 1,438 1,450 11 * 수도,하 수및폐 기물처 리,원 료재생 업, 부 동산업 , 전문 ,과학 및기술 서비스 업, 사 업시설 관리,사업지 원및임 대서비 스업, 공 공행정및국방및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 협회 및단체,수리및기타개인서비스업, 가구내고용활동및달리분류되지않은자가소비생산활동, 국제및외국기관이 포함됨 4. 직업별 취업자 (단위: 천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관리자 11 11 15 14 15 16 1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942 885 858 876 896 910 14 사무종사자 780 770 751 760 749 774 26 서비스종사자 354 325 301 305 329 351 22 판매종사자 344 317 299 279 278 274 -4 농림어업숙련종사자 24 22 23 24 25 25 0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49 43 44 55 46 39 -6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96 81 80 79 78 72 -6 단순노무종사자 229 218 235 231 194 206 12 5. 종사상지위별 취업자 (단위: 천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임금근로자 2,290 2,170 2,143 2,166 2,147 2,206 59 상 용 근 로 자 1,649 1,662 1,637 1,689 1,716 1,769 53 임시·일용근로자 641 507 506 476 431 437 6 비임금근로자 538 502 463 456 462 461 -1 - 22 - 6. 자녀수별 취업자 및 고용률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고용률) (57.0) (55.5) (56.2) (57.8) (60.0) (62.4) (2.4) 1명 1,348 1,270 1,258 1,295 1,307 1,350 43 (고용률) (58.2) (57.1) (58.1) (59.7) (61.2) (63.4) (2.2) 2명 1,264 1,196 1,149 1,133 1,112 1,139 28 (고용률) (56.5) (54.8) (54.8) (56.6) (59.3) (62.0) (2.7) 3명 이상 216 207 199 193 191 178 -12 (고용률) (53.1) (51.0) (52.5) (52.9) (56.6) (57.6) (1.0) * 함께 사는 18세 미만 자녀수 7. 자녀연령별 취업자 및 고용률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전 체 2,827 2,672 2,606 2,622 2,609 2,668 58 (고용률) (57.0) (55.5) (56.2) (57.8) (60.0) (62.4) (2.4) 6세 이하 1,081 966 892 854 884 871 -13 (고용률) (49.1) (47.5) (47.5) (49.0) (52.3) (55.6) (3.3) 7 ∼ 12세 947 928 939 1,004 989 1,034 45 (고용률) (61.2) (58.5) (59.0) (60.9) (62.6) (64.3) (1.7) 13 ∼ 17세 800 778 775 764 737 763 26 (고용률) (66.1) (65.3) (66.1) (66.9) (68.3) (69.2) (0.9) * 막내자녀 18세 미만 기준 8. 자녀연령별 주당 평균 취업시간 (단위: 시간) 자녀연령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0 ~ 17세 36.6 32.4 36.0 35.6 35.7 35.3 -0.4 6세이하 33.6 29.9 33.5 33.4 32.9 32.0 -0.9 7~12세 37.5 33.3 36.8 36.2 36.5 36.4 -0.1 13~17세 39.5 34.6 37.9 37.4 38.0 37.7 -0.3 * 막내자녀 18세 미만 기준 - 23 - Ⅱ. 경력단절여성(미취업자) 현황 1.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규모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15~54세 기혼여성 8,844 8,578 8,323 8,103 7,943 7,654 -290 15∼29세 419 354 311 266 294 264 -30 30∼39세 2,601 2,448 2,298 2,161 2,072 1,962 -110 40∼49세 3,776 3,708 3,621 3,559 3,475 3,364 -111 50∼54세 2,048 2,068 2,092 2,116 2,103 2,063 -40 미취업여성 3,366 3,420 3,240 3,027 2,837 2,601 -236 15∼29세 209 185 154 115 121 108 -14 30∼39세 1,149 1,101 1,048 952 836 716 -121 40∼49세 1,349 1,393 1,352 1,302 1,227 1,148 -79 50∼54세 659 741 686 658 652 630 -22 경력단절여성 1,699 1,506 1,448 1,397 1,349 1,215 -133 15∼29세 118 97 75 57 64 52 -12 30∼39세 806 695 655 600 544 469 -75 40∼49세 634 580 579 588 590 544 -47 50∼54세 142 134 138 152 150 151 0 경력단절여성 비율* 19.2 17.6 17.4 17.2 17.0 15.9 -1.1 15∼29세 28.1 27.3 24.2 21.4 21.8 19.7 -2.1 30∼39세 31.0 28.4 28.5 27.8 26.3 23.9 -2.4 40∼49세 16.8 15.6 16.0 16.5 17.0 16.2 -0.8 50∼54세 6.9 6.5 6.6 7.2 7.2 7.3 0.1 *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 - 24 - 2.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15~54세 기혼여성 8,844 8,578 8,323 8,103 7,943 7,654 -290 자녀있음* 4,960 4,810 4,641 4,536 4,347 4,276 -71 1명 2,315 2,224 2,166 2,168 2,136 2,128 -8 2명 2,237 2,182 2,096 2,002 1,875 1,839 -36 3명 이상 408 405 379 366 336 309 -27 미취업여성 3,366 3,420 3,240 3,027 2,837 2,601 -236 자녀있음* 2,132 2,139 2,035 1,914 1,738 1,608 -130 1명 968 954 908 873 829 778 -51 2명 973 987 947 869 763 699 -64 3명 이상 191 198 180 172 146 131 -15 경력단절여성 1,699 1,506 1,448 1,397 1,349 1,215 -133 자녀있음* 1,385 1,242 1,184 1,146 1,081 971 -110 1명 585 509 494 485 494 449 -45 2명 663 605 577 551 488 436 -52 3명 이상 137 128 113 110 99 86 -13 경력단절여성 비율** 19.2 17.6 17.4 17.2 17.0 15.9 -1.1 자녀있음* 27.9 25.8 25.5 25.3 24.9 22.7 -2.2 1명 25.3 22.9 22.8 22.4 23.1 21.1 -2.0 2명 29.6 27.7 27.5 27.5 26.0 23.7 -2.3 3명 이상 33.7 31.6 29.8 30.0 29.4 27.7 -1.7 * 함께 사는 18세 미만 자녀 기준 **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 - 25 - 3.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 %p)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 15~54세 기혼여성 8,844 8,578 8,323 8,103 7,943 7,654 -290 자녀있음* 4,960 4,810 4,641 4,536 4,347 4,276 -71 6세 이하 2,202 2,031 1,878 1,743 1,690 1,567 -123 7∼12세 1,547 1,587 1,591 1,649 1,580 1,607 27 13∼17세 1,211 1,192 1,172 1,143 1,078 1,102 24 미취업여성 3,366 3,420 3,240 3,027 2,837 2,601 -236 자녀있음* 2,132 2,139 2,035 1,914 1,738 1,608 -130 6세 이하 1,121 1,066 986 890 806 696 -110 7∼12세 600 659 653 645 591 573 -18 13∼17세 411 414 397 379 342 340 -2 경력단절여성 1,699 1,506 1,448 1,397 1,349 1,215 -133 자녀있음* 1,385 1,242 1,184 1,146 1,081 971 -110 6세 이하 876 765 705 646 606 525 -81 7∼12세 345 335 345 363 346 320 -26 13∼17세 164 142 135 137 129 126 -3 경력단절여성 비율** 19.2 17.6 17.4 17.2 17.0 15.9 -1.1 자녀있음* 27.9 25.8 25.5 25.3 24.9 22.7 -2.2 6세 이하 39.8 37.7 37.5 37.0 35.9 33.5 -2.4 7∼12세 22.3 21.1 21.6 22.0 21.9 19.9 -2.0 13∼17세 13.5 11.9 11.5 12.0 11.9 11.4 -0.5 * 함께 사는 18세 미만 자녀 기준 **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율 - 26 - 4. 연령계층별 사유별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전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2019년 1,699 522 384 649 69 75 15∼29세 118 40 37 40 0 * 2 * 30∼39세 806 223 217 339 19 9 40∼49세 634 201 116 238 43 37 50∼54세 142 59 15 32 7 28 2020년 1,506 414 321 640 62 69 15∼29세 97 27 32 36 1 * 1 * 30∼39세 695 165 167 337 18 8 40∼49세 580 173 108 231 37 32 50∼54세 134 49 15 36 6 28 2021년 1,448 396 320 626 55 50 15∼29세 75 24 24 26 1 * 0 * 30∼39세 655 158 166 312 14 5 40∼49세 579 164 111 248 34 24 50∼54세 138 50 20 41 7 21 2022년 1,397 368 318 597 50 64 15∼29세 57 18 16 23 - 0 * 30∼39세 600 144 158 284 9 5 40∼49세 588 156 122 248 33 30 50∼54세 152 50 22 43 8 29 2023년 1,349 353 310 567 60 58 15∼29세 64 19 23 21 0 * 1 * 30∼39세 544 127 149 247 16 6 40∼49세 590 154 120 253 34 29 50∼54세 150 54 18 46 10 23 2024년 1,215 303 297 500 58 58 15∼29세 52 15 19 18 0 * 1 * 30∼39세 469 105 138 207 13 6 40∼49세 544 135 119 227 36 27 50∼54세 151 49 21 47 9 25 증감 -133 -50 -14 -67 -2 0 15∼29세 -12 -4 -4 -3 0 0 30∼39세 -75 -22 -11 -39 -3 1 40∼49세 -47 -19 -1 -26 2 -3 50∼54세 0 -6 3 2 -1 2 *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27 - 5. 연령계층별 기간별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전체 1년 미만 1∼3년 미만 3∼5년 미만 5∼10년 미만 10년 이상 2019년 1,699 204 264 265 419 547 15∼29세 118 29 40 33 16 1 * 30∼39세 806 116 148 165 271 106 40∼49세 634 50 65 56 120 342 50∼54세 142 9 12 12 11 98 2020년 1,506 191 179 206 362 567 15∼29세 97 24 30 23 19 1 * 30∼39세 695 111 98 137 233 115 40∼49세 580 45 45 40 101 349 50∼54세 134 11 6 6 9 102 2021년 1,448 138 173 187 371 581 15∼29세 75 16 25 19 15 0 * 30∼39세 655 79 104 121 236 116 40∼49세 579 34 37 41 113 355 50∼54세 138 8 7 6 7 110 2022년 1,397 119 152 198 357 572 15∼29세 57 12 16 18 10 1 * 30∼39세 600 66 90 126 214 105 40∼49세 588 32 38 48 122 349 50∼54세 152 9 8 7 11 117 2023년 1,349 155 152 178 325 539 15∼29세 64 17 22 17 8 1 * 30∼39세 544 85 88 106 186 79 40∼49세 590 44 33 47 124 342 50∼54세 150 8 8 9 7 118 2024년 1,215 153 138 146 277 501 15∼29세 52 15 17 14 5 1 * 30∼39세 469 83 79 85 152 70 40∼49세 544 46 34 39 110 315 50∼54세 151 10 7 8 10 116 증감 -133 -1 -13 -32 -48 -38 15∼29세 -12 -1 -5 -3 -2 0 30∼39세 -75 -3 -9 -21 -34 -9 40∼49세 -47 2 1 -7 -15 -27 50∼54세 0 1 -1 -1 3 -2 *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28 - 6. 지역별 경력단절여성 (단위: 천명) 2023년 2024년 증감 15~54세 기혼여성 15~54세 기혼여성 15~54세 기혼여성 미취업 여성 미취업 여성 미취업 여성 경력단절 여성 경력단절 여성 경력단절 여성 전 체 7,943 2,837 1,349 7,654 2,601 1,215 -290 -236 -133 서 울 1,323 467 180 1,267 397 171 -57 -70 -9 부 산 458 171 84 440 154 71 -17 -17 -13 대 구 366 130 69 349 128 66 -17 -2 -3 인 천 468 172 78 456 164 81 -12 -8 3 광 주 235 81 35 225 80 33 -10 -1 -2 대 전 224 82 40 222 77 36 -3 -5 -4 울 산 188 81 41 180 80 34 -8 -2 -7 세 종 77 26 16 77 26 15 -1 0 -2 경 기 2,299 879 446 2,224 795 369 -75 -84 -77 강 원 217 63 32 211 65 31 -6 2 -1 충 북 252 84 48 242 74 43 -10 -10 -5 충 남 338 124 61 327 121 60 -10 -4 0 전 북 253 74 27 242 62 25 -11 -12 -2 전 남 236 62 31 234 65 30 -2 3 -1 경 북 374 130 62 358 124 60 -16 -6 -3 경 남 525 182 86 495 167 81 -31 -16 -6 제 주 111 29 12 106 24 10 -4 -5 -3 * 군위군은 ’23. 7월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경북에서 대구로 변경하여 집계 부 록 1.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개요 2. 한국표준산업분류[제10차 개정(2017년) 기준] 3. 한국표준직업분류[제7차 개정(2017년) 기준] - 31 - 부록 1 2024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개요 1. 조사목적 ◦ 지역 고용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군구 단위의 고용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본통계를 생산·제공 ◦ 지역별 고용구조 분석자료 및 산업·직업에 대한 세분된 자료를 생산·제공 2. 조사대상 ◦ 조사대상: 전국 약 23만 2천 표본가구 내에 상주하는 만 15세 이상 가구원 - 2020년 11월 기준 등록센서스 및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11,610개 표본조사구를 추출하고, 표본조사구 내 약 23만 1천 가구를 조사 - 표본가구 규모는 실업자의 연간 상대표준오차가 전국 1.6%, 특광역시 3.5~9.0% 내외가 되도록 목표오차를 정하여 추출 * 상대표준오차=(표준오차/추정값)×100 ◦ 현역군인, 사회복무요원, 형이 확정된 교도소 수감자 등 제외 3. 조사주기 및 기간 ◦ 조사주기: 반기[상반기 4월, 하반기 10월] ◦ 조사대상기간: 2024. 4. 14. ~ 4. 20.(1주간) ◦ 조사실시기간: 2024. 4. 23. ~ 5. 8. 4. 조사항목 ◦ 인적사항,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등과 관련된 31개 항목 5. 조사방법 ◦ 방문 면접조사 및 인터넷조사 6. 주요용어 ◦ 15세이상인구: 2024년 4월 15일 기준 만 15세 이상인 자 ◦ 경제활동인구 - 만 15세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는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 - 32 - ◦ 취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 동일가구내 가구원이 운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위하여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무급가족종사자 -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일시적인 병 또는 사고, 연가, 교육, 노사분규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 실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던 사람으로서,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 ◦ 경제활동참가율(%) = (경제활동인구 ÷ 15세이상인구) × 100 ◦ 고용률(%) = (취업자 ÷ 15세이상인구) × 100 - 15~54세 기혼여성 고용률(%)=(15~54세 기혼여성 취업자÷15~54세 전체 기혼여성)×100 ◦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 비경제활동인구 - 만 15세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 ◦ 경력단절여성 - 15~54세의 기혼여성 중 현재 미취업인 여성으로 결혼, 임신 및 출산, 육아, 자녀 교육(초등학교), 가족돌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여성 15 세 이 상 인 구 취업자 경제활동인구  <경력단절여성> ․ 실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 중 ․ 15~54세의 기혼여성으로 ․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초등학교), 가족돌봄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여성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 육아: 미취학 자녀를 돌보는 일 - 자녀교육: 초등학생 자녀 교육에 한함 - 가족돌봄: 가족(부모, 배우자, 자녀, 배우자의 부모)의 병간호를 의미함 - 33 - 부록 2 한국표준산업분류 A 농업, 임업 및 어업 ▪ 01 농업 ▪ 02 임업 ▪ 03 어업 B 광업 ▪ 05 석탄,원유 및 천연가스 광업 ▪ 06 금속광업 ▪ 07 비금속광물 광업 ▪ 08 광업지원 서비스업 C 제조업 ▪ 10 식료품 제조업 ▪ 11 음료 제조업 ▪ 12 담배 제조업 ▪ 13 섬유제품 제조업 ▪ 14 의복, 모피제품 제조업 ▪ 15 가죽, 가방, 신발 제조업 ▪ 1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 17 펄프․종이․종이제품 제조업 ▪ 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19 코크스․연탄․석유정제품 제조업 ▪ 20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 ▪ 21 의료용 물질․의약품 제조업 ▪ 22 고무․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24 1차 금속 제조업 ▪ 25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 26 전자․컴퓨터․통신장비 제조업 ▪ 27 의료․정밀․광학기․시계 제조업 ▪ 28 전기장비 제조업 ▪ 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30 자동차․트레일러 제조업 ▪ 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32 가구제조업 ▪ 33 기타 제품 제조업 ▪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D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35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36 수도업 ▪ 37 하수․폐수․분뇨 처리업 ▪ 38 폐기물 수집․처리․원료재생업 ▪ 39 환경정화 및 복원업 F 건설업 ▪ 41 종합건설업 ▪ 42 전문직별 건설업 G 도매 및 소매업 ▪ 45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 ▪ 46 도매 및 상품중개업 ▪ 47 소매업 H 운수 및 창고업 ▪ 49 육상운송․파이프라인 운송업 ▪ 50 수상운송업 ▪ 51 항공운송업 ▪ 52 창고 및 운송관련서비스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 55 숙박업 ▪ 56 음식점 및 주점업 J 정보통신업 ▪ 58 출판업 ▪ 59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 60 방송업 ▪ 61 우편 및 통신업 ▪ 62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통합 및 관리업 ▪ 63 정보서비스업 K 금융 및 보험업 ▪ 64 금융업 ▪ 65 보험 및 연금업 ▪ 66 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 L 부동산업 ▪ 68 부동산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70 연구개발업 ▪ 71 전문서비스업 ▪ 72 건축기술 및 과학기술서비스업 ▪ 73 기타 전문․과학 기술서비스업 N 사업시설 관리 및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74 사업시설관리 및 조경서비스업 ▪ 75 사업지원 서비스업 ▪ 76 임대업; 부동산 제외 O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 84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 서비스업 ▪ 85 교육 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86 보건업 ▪ 87 사회복지 서비스업 R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90 창작,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91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94 협회 및 단체 ▪ 95 개인 및 소비용품 수리업 ▪ 96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 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 97 가구 내 고용활동 ▪ 98 달리 구분되지 않는 자기소비를 위한 가구의 재화․서비스 생산활동 U 국제 및 외국기관 ▪ 99 국제 및 외국기관 ※ 제10차 개정(2017년) 기준 - 34 - 부록 3 한국표준직업분류 1 관리자 ▪ 11 공공 기관 및 기업 고위직 ▪ 12 행정·경영 지원 및 마케팅 관리직 ▪ 13 전문서비스 관리직 ▪ 14 건설․전기 및 생산관련 관리직 ▪ 15 판매 및 고객서비스 관리직 2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 21 과학 전문가 및 관련직 ▪ 22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 23 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 ▪ 24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 25 교육 전문가 및 관련직 ▪ 26 법률 및 행정 전문직 ▪ 27 경영․금융 전문가 및 관련직 ▪ 28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 3. 사무종사자 ▪ 31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 32 금융 사무직 ▪ 33 법률 및 감사 사무직 ▪ 39 상담․안내․통계 및 기타 사무직 4. 서비스 종사자 ▪ 41 경찰․소방․보안 관련 서비스직 ▪ 42 돌봄·보건 및 개인 생활 서비스직 ▪ 43 운송 및 여가 서비스직 ▪ 44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5. 판매종사자 ▪ 51 영업직 ▪ 52 매장 판매 및 상품 대여직 ▪ 53 통신 및 방문․노점 판매 관련직 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 61 농축산 숙련직 ▪ 62 임업 숙련직 ▪ 63 어업 숙련직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71 식품가공관련 기능직 ▪ 72 섬유․의복․가죽 관련 기능직 ▪ 73 목재․가구․악기․간판 관련 기능직 ▪ 74 금속 성형 관련 기능직 ▪ 75 운송 및 기계관련 기능직 ▪ 76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 ▪ 77 정보 통신 및 방송장비 관련 기능직 ▪ 78 건설 및 채굴 관련 기능직 ▪ 79 기타 기능 관련직 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81 식품가공관련 기계 조작직 ▪ 82 섬유 및 신발 관련 기계 조작직 ▪ 83 화학 관련 기계 조작직 ▪ 84 금속 및 비금속 관련 기계 조작직 ▪ 85 기계 제조 및 관련 기계 조작직 ▪ 86 전기 및 전자 관련 기계조작직 ▪ 87 운전 및 운송 관련직 ▪ 88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 관련 기계 조작직 ▪ 89 목재․인쇄 및 기타 기계 조작직 9 단순노무 종사자 ▪ 91 건설 및 광업관련 단순노무직 ▪ 92 운송 관련 단순노무직 ▪ 93 제조 관련 단순노무직 ▪ 94 청소 및 경비 관련 단순노무직 ▪ 95 가사․음식 및 판매 관련 단순노무직 ▪ 99 농림어업 및 기타서비스 단순노무직 ※ 제7차 개정(2017년) 기준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