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참고자료 보도시점 배포시 배포 2024. 7. 16.(화) 전반적인 청년층 고용지표 과거 대비 개선된 수준-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가팔랐던 고용증가세가 정상화되는 과정에서청년층 등 취약계층 어려움이 심화되지 않도록 정책 대응 강화 1. ‘24.5월 경활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주요 내용 □ 고용지표 : 기 발표된 5월 경활조사와 동일 ㅇ ’24.5월 청년층 고용률 역대 3위인 46.9%, 경활률 역대 3위인 50.3%, 실업률 역대 최저 4위인 6.7%를 기록하였다. 청년 고용률(매년 5월) 청년 경활률(매년 5월) 청년 실업률(매년 5월) 40 45 50 55 10 15 20 24 (%) 35 40 45 50 10 15 20 24 (%) 4 8 12 10 15 20 24 (%) ㅇ 다만,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2년간 청년층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고용이 가파르게 증가했던 기저효과에 5월 조사주간(5.12~5.18일) 중 휴일포함(석가탄신일 5.15일) 등 일시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며 전년동월대비로는 고용률·경활률이 하락하고 실업률이 상승하였다. ㅇ 5월 일시적 요인 등을 감안하여 상반기 전체로 볼 경우 청년층 고용률 46.3%로 역대 3위, 경활률 49.5%로 역대 3위, 실업률 6.5%로 역대 최저 2위를기록하였다. 특히, 핵심취업연령층인 20대 후반의 경우 고용률 72.7%로 역대 1위, 경활률 77.2%로 역대 1위, 실업률 5.9%로 역대 최저를 기록하였다. 고용률(매년 상반기) 경활률(매년 상반기) 실업률(매년 상반기) 60 65 70 75 35 40 45 50 10 15 20 24 청년(좌) 20대 후반(우) (%) 70 75 80 40 45 50 55 10 15 20 24 청년(좌) 20대 후반(우) (%) (%) 4 8 12 10 15 20 24 20대 후반 청년 (%) □ 졸업 후 첫일자리 ㅇ 졸업 후 첫 취업 소요기간은 평균 11.5개월로 전년대비 증가(+1.1개월) 하였으나, 임금수준은 300만원 이상 취업자 비중이 4.3%에서 5.1%로 증가하고 150~300만원 취업자 비중이 67.0%에서 68.3%로 증가하였다. ㅇ 또한 첫 직장 근속기간은 1년 7.2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6개월 증가하였으며, 첫 직장을 그만둔 근로자 비중은 66.8%로 전년과 동일하였다. ‘17.5월 ‘18.5월 ‘19.5월 ‘20.5월 ‘21.5월 ‘22.5월 ‘23.5월 ‘24.5월첫 직장 임금수준(%) 300만원 이상 2.3 2.0 2.4 2.9 3.5 3.7 4.3 5.1 150~300만원 43.6 49.1 52.2 55.5 60.2 65 67.0 68.3 150만원 미만 54.1 48.9 45.4 41.6 36.3 31.3 28.7 26.6 첫 직장 근속기간 1년 5.6개월 1년 5.9개월 1년 5.3개월 1년 5.5개월 1년 6.2개월 1년 6.8개월 1년 6.6개월 1년7.2개월□ 졸업 후 미취업자 ㅇ 최종학교 졸업자 중 미취업자 비중은 29.5%로 전년대비 1.6%p 상승하였으나 통계작성(‘04년) 이후 최저 3위를 기록하였다. ‘17.5월 ‘18.5월 ‘19.5월 ‘20.5월 ‘21.5월 ‘22.5월 ‘23.5월 ‘24.5월졸업 후 미취업자(만명) 144.4 148.7 154.1 166.0 154.8 133.0 126.1 129.0 - 비중(%) 30.5 31.1 31.9 34.7 32.9 28.4 27.9 29.5 ㅇ 졸업 후 미취업자의 주된 활동은 직업교육 · 취업시업 준비 37.8%, 그냥 시간 보냄 24.7%, 구직활동 9.1%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취업시험준비자중에서는 일반기업체 준비자 비중이 27.3%에서 29.7%로 증가한 반면, 일반직 공무원 준비 비중은 29.3%에서 23.2%로 감소하였다. 취업시험 준비자 중 분야별 비중 (%) ‘17.5월 ‘18.5월 ‘19.5월 ‘20.5월 ‘21.5월 ‘22.5월 ‘23.5월 ‘24.5월일반기업체 20.6 24.6 23.7 24.7 22.2 23.8 27.3 29.7 언론사/공영기업체 8.0 8.0 9.9 13.9 11.9 12.2 12.0 11.7 교원임용 6.1 5.8 4.2 4.3 4.0 3.9 4.0 3.7 일반직공무원 36.6 33.3 30.7 28.3 32.4 29.9 29.3 23.2 고시 및 전문직 8.3 7.8 6.7 8.1 10.5 11.6 11.2 12.7 기능분야 및 기타 20.4 20.5 24.8 20.6 18.9 18.7 16.2 18.9 2. 평가 및 대응 □ ‘22.5월 코로나 방역 해제 이후 고용이 2년 연속 크게 증가했던 기저효과, ’24.5월 일시적 요인 등에도 고용률·경활률·실업률 등 전반적인 청년층 고용지표는 과거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 경력직 중심으로의 기업채용 관행 변화 등으로 취업준비 기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공무원 취업준비 비중 감소 및 일반기업체 등 민간부문 일자리 취업준비 비중 증가 경향도 관찰□ 다만, 그간 가팔랐던 고용 증가세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자영업자·건설업등부문별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는만큼 청년층 등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심화되지않도록 정책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다. ㅇ 경제 역동성 강화 및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을 통해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범정부 일자리 TF(기재부 1차관-고용부 차관공동 주재) 중심으로 청년층을 비롯한 계층별·업종별 고용여건을 매주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적기 강구할 계획이다. ㅇ 특히, 취약 청년에게 선제적 지원을 강화하고 학교 졸업 이후 노동시장에원활히 진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구직단념 청년을 취업으로 연계하는 ‘청년도전지원사업’을 확대*하였고, 니트 사전 예방 및 발굴을 위한 프로그램(’24년 44개 지자체, 48,290명)도시행 중이다. * 구직단념청년 대상 진로탐색 프로그램 및 취업 인센티브 제공(’23년 8,000 → ’24년 9,639명) - 또한, 기업의 수시·경력직 채용 경향에 대응하여 청년에게 양질의 일경험 기회를 확대(’23. 2.6만명 → ’24. 4.8만명)하는 한편, - 미취업 졸업생에게 찾아가는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책임자 과 장 조성중 (044-215-8530) <총괄> 인력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송동원 (sdwp1111111@korea.kr) 경제구조개혁국 책임자 과 장 박은영 (044-215-8580) 청년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송기선 (steamship@korea.kr)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종호 (044-202-7440) <공동> 청년고용기획과 담당자 사무관 원치욱 (chiuk91@korea.kr)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이용가정 모집 시작…7월 17일부터 (2) | 2024.07.16 |
---|---|
경과원, 경기북부 中企 중앙아시아 시장 진출 지원 (0) | 2024.07.16 |
환경부, 자동차 결함 시정(리콜) 전에 미리 수리한 소유자도 비용을 보상받는다 (1) | 2024.07.16 |
고용노동부, 「고용보험법」 및 「고용산재보험료징수법」개정안 등 고용노동부 소관 8건 국무회의 심의·의결 (1) | 2024.07.16 |
산업통상자원부, 동해 심해 가스전 첫 시추지는 결정된 바 없음 (1) | 2024.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