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인구조사 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7. 16.(화) 12:00 배포 2024. 7. 16.(화) 08:30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담당 부서 사회통계국 책임자 과 장 임경은 (042-481-2264) 고용통계과 담당자 사무관 황수린 (042-481-2565) 일 러 두 기 □ 이 자료는 청년층의 취업관련 특성* 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 수학상태, 취업준비 및 경험, 취업경로, 첫 일자리 관련사항 등 ○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개요는 2024년 5월 고용동향(‘24. 6. 12.) 자료를 이용하였습니다. ○ 보도자료 내 ‘졸업’은 졸업, 중퇴, 수료를 모두 포함하며, ‘재학’은 휴학을 포함합니다. * 단, 대학 졸업 소요기간 및 휴학상태는 중퇴, 수료를 제외 □ 2024년부터 15~34세 통계표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 「Ⅲ. 1. 2024년 5월 청년층(15~34세) 부가조사 결과」참조 ** 별도 연령 표시가 없는 경우, 청년층 기본 분석연령은 15~29세입니다. □ 자료 이용 시 유의사항 ○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인구추계 보정, 한국표준산업·직업분류 개정 등을 반영하여 원계열을 소급보정하였습니다. - 2018년부터 등록센서스에 기반한 인구추계 결과에 따라 작성 하고 있으며, 2004~2017년간 자료를 소급보정하였습니다. -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및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2013~2017년간 자료를 소급보정하였고, 2018년부터 신분류에 따라 공표하고 있습니다. ○ 통계표에 수록된 각 자료는 반올림되었으므로 전체 수치와 표내의 합계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통계표 중「-」표시는 해당숫자 없음, 조사된 표본 없음,「0」은 단위 미만을 나타냅니다. □ 통계자료 제공 안내 ○ 동 자료는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에서도 이용 가능하며, 마이크로데이터는 MDIS(http://mdis.kostat.go.kr)를 통해 2024년 8월에 제공할 예정입니다. 목 차 Ⅰ.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요약) ············1 Ⅱ.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 1.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개요 가. 청년층 경제활동상태 ·········································································4 나. 청년층 수학 상태 ···············································································5 다. 졸업자의 취업 상태 ···········································································6 2. 대학 졸업 소요기간 및 휴학상태 가. 졸업 소요기간 ·····················································································8 나. 휴학 경험 및 평균 휴학기간 ···························································9 3. 재학 중 직장체험 가. 직장체험 여부 ···················································································10 나. 직장체험 기간 및 주된 직장체험 형태 ·······································10 4. 직업교육(훈련) 가.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11 나. 직업교육(훈련) 시기 ·········································································11 5. 최종학교 졸업자의 취업활동 가. 취업경험 여부 및 횟수 ···································································12 나. 취업경로 및 전공일치 여부 ···························································13 다. 미취업 기간 및 주된 활동 ·····························································14 6.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 가. 첫 취업 소요기간 ·············································································15 나. 첫 직장 근속기간 ·············································································16 다. 첫 일자리의 산업·직업·근로형태별 분포 ····································16 라. 첫 일자리(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 ································18 마.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19 7.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 ············································ 20 Ⅲ. 2024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통계표 1. 2024년 5월 청년층(15~34세) 부가조사 결과 ······································21 2.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주요 통계표·····························31 ◇ 부록1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개요 ························33 부록2 한국표준 산업‧직업 분류 ·····················································34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졸업 후 첫 일자리 ※ ( )수치는 전년동월대비 증감 청년층(15~29세) 8,173천명 (17.9%) 비경제활동인구(406만 6천명)의 취업시험준비 평균 취업 소요기간 평균 근속기간 경제활동참가율 50.3% 고용률 46.9% (0.2%p ) (0.7%p ) 평균 휴학기간 1년 10.5개월 (0.8개월 ) 11.5개월 (1.1개월 ) 15세 이상 인구 45,543천명 평균 졸업 소요기간 4년 3.8개월 (0.5개월 ) 5년 1.4개월 (0.1개월 ) 3년 9개월 (0.8개월 ) 남자 여자 대학졸업자 (0.7%p ) 준비안함 86.1% (1.3%p ) 준비함 취업시험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 18.9% (6.1%p ) 일반기업체 29.7% 일반직 공무원 (2.4%p ) (2.7%p ) 23.2% 13.9% (1.3%p ) 취업시험 주요 준비분야 현재 근무 여부 개인·가족적 이유 15.3% (0.7%p ) 임시적, 계절적 일의 완료 등 15.6% (0.9%p ) 근로여건 불만족 45.5% (0.4%p ) 그만둠 65.7% (0.2%p ) 현재직장 34.3% (0.2%p ) 첫 일자리 그만둔 주요사유 2023년 2024년 1년 6.6개월 1년 7.2개월 0.6개월 (0.4개월 ) 2년 4개월 (1.0개월 ) 1년 2.8개월 계속 다니는 경우 그만둔 경우 - 1 - Ⅰ. 2024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요약) □ 청년층 인구는 817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4만 3천명 감소 ◦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50.3%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 청년층 취업자는 383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만 3천명 감소하여, 고용률은 46.9%로 0.7%p 하락 ◦ 청년층 실업자는 27만 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8천명 증가하여, 실업률은 6.7%로 0.9%p 상승 □ 대졸자(3년제 이하 포함)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 3.8개월로 전년동월 대비 0.5개월 증가, 휴학경험 비율은 46.8%로 1.0%p 상승 ◦ 4년제 대졸자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5년 0.7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7개월 감소 ◦ 평균 휴학기간은 1년 10.5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8개월 감소 < 학제별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 > □ 재학 기간 중 직장 체험자 비율은 43.6%로 전년동월대비 0.5%p 상승, 여자(45.9%)의 직장 체험 비율이 남자(41.3%)보다 높음 ◦ 주된 체험 형태는 시간제 취업(75.0%, +0.6%p), 전일제 취업(9.6%, -1.1%p), 학교의 현장실습(8.8%, -0.3%p) 순 - 2 - □ 졸업 후 취업 경험자 비율은 86.2%로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 ◦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이 41.2%로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 ◦ 취업 경험자의 최근 일자리와 전공 관련성에서 매우일치는 26.8%로 전년동월대비 0.9%p 상승 ◦ 현재 미취업자의 주된 활동 중 직업교육 취업시험준비는 37.8%로 전년동월대비 3.1%p 하락, 그냥 시간보냄은 24.7%로 0.7%p 하락 □ 졸업 후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11.5개월로 전년동월대비 1.1개월 증가 ◦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은 1년 7.2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6개월 증가 ◦ 첫 일자리의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4.7%), 광제조업(13.9%), 직업은 관리자·전문가(25.9%), 서비스종사자(22.9%) 순 ◦ 첫 일자리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200만원~300만원 미만(35.2%), 150만원~200만원 미만(33.1%), 100만원~150만원 미만(13.0%) 순 ◦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중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이 45.5%로 가장 높으며,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은 13.9%로 전년동월대비 1.3%p 하락 ◦ 취업시험 준비분야* 는 일반기업체(29.7%), 일반직공무원(23.2%) 순 * 취업시험 준비분야의 구성비는 지난 1주간 취업시험 준비자 기준임 <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분야 > - 3 - < 수학상태별 경제활동인구 구성 > 청년층(15~29세) 1) 817만 3천명 졸업 436만 7천명 재학 380만 5천명 취업자 307만 7천명 미취업자 129만명 취업자 75만 3천명 미취업자 305만 1천명 < 2024년 5월> (단위: 천명, %, %p) 인구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고용률 실업률 규모 전 체 45,543 28,915 63.5 884 3.0 15,744 청년층1) 8,173 3,832 46.9 276 6.7 4,066 증감2) 전 체 164 80 0.0 97 0.3 -12 청년층 -243 -173 -0.7 28 0.9 -98 1) 무학 포함 2) 전년동월(2023년 5월) 대비 - 4 - Ⅱ.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 1. 청년층 경제활동인구 개요 가. 청년층 경제활동상태 ◦ 2024년 5월 청년층 인구는 817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4만 3천명 감소, 15세이상 인구(4,554만 3천명)의 17.9%를 차지함 - 청년층 경제활동인구는 410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4만 5천명 감소, 비경제활동인구는 406만 6천명으로 9만 8천명 감소함 - 청년층 취업자는 383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7만 3천명 감소, 실업자는 27만 6천명으로 2만 8천명 증가함 ◦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50.3%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고용률은 46.9%로 전년동월대비 0.7%p 하락함 - 연령별 고용률은 15~19세(7.4%), 20~24세(46.5%), 25~29세(72.7%)에서 전년 동월대비 각각 0.2%p, 0.4%p, 1.1%p 하락함 < 청년층 경제활동상태 >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15~19세 20~24세 25~29세 15~19세 20~24세 25~29세 인구 15~19세 20~24세 25~29세 < 전 체 > 8,416 2,261 2,643 3,513 8,173 2,230 2,498 3,445 -243 -31 -145 -67 ◦경제활동인구 4,252 178 1,312 2,763 4,107 180 1,245 2,682 -145 2 -66 -81 - 취 업 자 4,005 172 1,240 2,594 3,832 166 1,161 2,504 -173 -6 -78 -89 - 실 업 자 247 6* 72 169 276 14* 84 178 28 8 12 9 ◦ 비경제활동인구 4,164 2,083 1,331 750 4,066 2,051 1,252 763 -98 -33 -79 13 ◦ 경제활동참가율 50.5 7.9 49.6 78.7 50.3 8.1 49.9 77.9 -0.2 0.2 0.3 -0.8 ◦ 고 용 률 47.6 7.6 46.9 73.8 46.9 7.4 46.5 72.7 -0.7 -0.2 -0.4 -1.1 ◦ 실 업 률 5.8 3.4* 5.5 6.1 6.7 7.5 6.7 6.6 0.9 4.1 1.2 0.5 (단위: 천명, %, %p)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 5 - 연령별 인구 증감 추이 연령별 주요 고용지표('24.5) 나. 청년층 수학상태 ◦ 청년층 인구 중 최종학교 졸업자는 436만 7천명(53.4%)으로 전년동월대비 15만 5천명 감소, 재학생은 349만 8천명(42.8%)으로 5만 5천명 감소함 - 연령별 최종학교 졸업자는 20~24세, 25~29세에서 전년동월대비 각각 11만 3천명, 8만 4천명 감소, 15~19세는 4만 2천명 증가 < 청년층 수학상태 >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15~19세 20~24세 25~29세 15~19세 20~24세 25~29세 인구 15~19세 20~24세 25~29세 < 전 체 > 8,416 2,261 2,643 3,513 8,173 2,230 2,498 3,445 -243 -31 -145 -67 졸업 4,521 165 1,220 3,137 4,367 207 1,106 3,053 -155 42 -113 -84 (53.7) (7.3) (46.1) (89.3) (53.4) (9.3) (44.3) (88.6) (-0.3) (2.0) (-1.9) (-0.7) 재학 3,553 2,081 1,169 304 3,498 2,002 1,167 329 -55 -79 -2 25 (42.2) (92.0) (44.2) (8.6) (42.8) (89.8) (46.7) (9.5) (0.6) (-2.3) (2.5) (0.9) 휴학 337 15* 252 70 306 21 225 61 -31 6 -28 -9 (4.0) (0.7) (9.5) (2.0) (3.7) (0.9) (9.0) (1.8) (-0.3) (0.3) (-0.6) (-0.2) (단위: 천명, %, %p) ※ 무학인 경우는 집계에서 제외되어 합계와 일치하지 않음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최종학교 졸업자 연령별 증감 추이 연령별 수학상태별 구성비('24.5) - 6 - 다. 졸업자의 취업상태 ◦ 최종학교 졸업자 중 취업자는 307만 7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만 4천명 감소, 미취업자는 129만명으로 2만 9천명 증가함 - 남자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5만 5천명, 여자 취업자는 12만 9천명 각각 감소함 < 졸업자의 취업상태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졸업자 청년층 졸업자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졸업자 남자 여자 < 전 체 > 4,521 2,170 2,351 4,367 2,121 2,246 -155 -49 -106 - 취업자 3,261 1,532 1,729 3,077 1,477 1,600 -184 -55 -129 (72.1) (70.6) (73.5) (70.5) (69.6) (71.2) (-1.6) (-1.0) (-2.3) - 미취업자 1,261 638 622 1,290 644 646 29 6 23 (27.9) (29.4) (26.5) (29.5) (30.4) (28.8) (1.6) (1.0) (2.3) ◦ 취업자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제조업(15.7%), 숙박 및 음식점업(12.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1.7%), 도매 및 소매업(10.2%)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 - 전년동월대비 취업자는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1만 6천명 증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6만 1천명), 제조업(-4만 6천명), 건설업(-3만 7천명), 도매 및 소매업(-2만 4천명) 등은 감소함 < 졸업자의 산업별 취업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취업자 청년층 취업자 구성비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체1) 취업자 구성비 < 전 체 > 3,261 100.0 3,077 100.0 100.0 -184 0.0 · 제조업 528 16.2 482 15.7 15.6 -46 -0.5 · 건설업 168 5.1 131 4.3 7.2 -37 -0.8 · 도매 및 소매업 337 10.3 313 10.2 11.2 -24 -0.1 · 운수 및 창고업 124 3.8 120 3.9 5.9 -4 0.1 · 숙박 및 음식점업 379 11.6 395 12.9 8.2 16 1.3 · 정보통신업 223 6.8 228 7.4 3.8 5 0.6 · 금융 및 보험업 69 2.1 59 1.9 2.7 -10 -0.2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240 7.3 234 7.6 4.8 -5 0.3 ·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137 4.2 125 4.1 4.8 -12 -0.1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132 4.0 134 4.3 4.5 2 0.3 · 교육 서비스업 233 7.2 216 7.0 6.5 -17 -0.2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423 13.0 361 11.7 10.4 -61 -1.3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01 3.1 100 3.2 1.9 -1 0.1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19 3.7 117 3.8 3.9 -3 0.1 · 기타2) 49 1.5 62 2.0 8.6 13 0.5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산업별 구성비임 2) 산업분류 A, B, D, E, L, T, U가 포함됨(부록2 한국표준산업분류 참조) - 7 - ◦ 취업자의 직업별 분포를 보면, 관리자 전문가(32.1%), 사무종사자(24.1%), 서비스종사자(15.9%) 순으로 비율이 높음 - 전년동월대비 취업자는 관리자 전문가(-10만명), 판매종사자(-3만 1천명), 서비스 종사자(-2만 8천명) 등에서 감소함 < 졸업자의 직업별 취업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취업자 청년층 취업자 구성비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체1) 취업자 구성비 < 전 체 > 3,261 100.0 3,077 100.0 100.0 -184 0.0 · 관리자·전문가 1,088 33.4 988 32.1 23.4 -100 -1.3 · 사무종사자 748 22.9 741 24.1 17.5 -6 1.2 · 서비스종사자 516 15.8 489 15.9 12.4 -28 0.1 · 판매종사자 233 7.1 202 6.6 8.7 -31 -0.5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19 0.6 24* 0.8 5.4 5 0.2 ·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183 5.6 171 5.5 7.8 -13 -0.1 ·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217 6.6 217 7.1 10.4 0 0.5 · 단순노무종사자 258 7.9 246 8.0 14.3 -12 0.1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직업별 구성비임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산업·직업별1) 취업분포 산 업 직 업 1) 산업·직업 분류 약칭 사용(부록2 한국표준산업분류 참조) - 8 - 2. 대학 졸업 소요기간 및 휴학상태 가. 졸업 소요기간 ◦ 청년층 대학졸업자는 275만 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만 3천명 감소, 이 중 3년제 이하(95만명)는 10만 7천명 감소, 4년제(180만 3천명)는 3만 4천명 증가함 < 청년층 학력별 졸업자수 > (단위: 천명)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8,416 4,220 4,196 8,173 4,088 4,085 -243 -132 -111 최종학교 졸업자 4,129 1,896 2,234 4,011 1,874 2,137 -118 -22 -97 - 고졸이하 1,226 694 532 1,207 715 491 -20 21 -41 - 대학졸업 2,825 1,173 1,652 2,752 1,135 1,617 -73 -38 -35 · 3년제 이하 1,057 437 620 950 403 547 -107 -35 -73 · 4년제 1,768 736 1,032 1,803 732 1,070 34 -4 38 - 대학원졸업 이상 78 28 50 52 23* 29 -26 -5 -21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 대학졸업자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4년 3.8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5개월 증가, 남자는 5년 1.4개월, 여자는 3년 9개월로 나타남 - 4년제 대졸자의 평균 졸업 소요기간은 5년 0.7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7개월 감소, 남자는 5년 11.7개월, 여자는 4년 5.2개월임 < 대학 졸업 소요기간 > (단위: 천명, 개월)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 전체 > 2,825 1,173 1,652 2,752 1,135 1,617 -73 -38 -35 평균 졸업 소요기간 4년 3.3개월 5년 1.3개월 3년 8.2개월 4년 3.8개월 5년 1.4개월 3년 9개월 0.5개월 0.1개월 0.8개월 · 3년제 이하 2년 10.5개월 3년 6.6개월 2년 4.8개월 2년 10.8개월 3년 6.7개월 2년 5개월 0.3개월 0.1개월 0.2개월 · 4년제 5년 1.4개월 6년 0.4개월 4년 5.5개월 5년 0.7개월 5년 11.7개월 4년 5.2개월 -0.7개월 -0.7개월 -0.3개월 - 9 - 나. 휴학경험 및 평균 휴학기간 ◦ 대졸자 중 휴학경험자 비율은 46.8%로 전년동월대비 1.0%p 상승함 - 성별로 보면 남자의 74.5%, 여자의 27.3%가 휴학경험이 있으며,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1.0%p 하락, 여자는 2.7%p 상승함 - 4년제 대졸자 중 휴학경험자 비율은 53.7%로 전년동월대비 0.9%p 하락, 3년제 이하 대졸자 중 휴학경험자 비율은 33.5%로 2.4%p 상승함 < 대졸자의 휴학경험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 전체 > 2,825 1,173 1,652 2,752 1,135 1,617 -73 -38 -35 휴학 경험 있음 1,293 886 407 1,287 846 441 -6 -41 34 (45.8) (75.5) (24.6) (46.8) (74.5) (27.3) (1.0) (-1.0) (2.7) 3년제 이하 1,057 437 620 950 403 547 -107 -35 -73 휴학 경험 있음 328 264 64 319 247 72 -10 -18 8 (31.1) (60.5) (10.3) (33.5) (61.3) (13.1) (2.4) (0.8) (2.8) 4년제 1,768 736 1,032 1,803 732 1,070 34 -4 38 휴학 경험 있음 965 622 343 969 599 369 4 -23 27 (54.6) (84.5) (33.2) (53.7) (81.8) (34.5) (-0.9) (-2.7) (1.3) ◦ 휴학사유로 남자는 병역의무 이행(93.6%)이 가장 높으며, 여자는 취업 및 자격시험 준비(51.0%), 어학연수 및 인턴 등 현장경험(26.0%) 순으로 높음 ◦ 평균 휴학기간은 남자가 2년 3.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3개월 감소, 여자는 1년 1.5개월로 0.8개월 감소함 < 대졸자의 휴학사유 및 평균 휴학기간 > (단위: %, %p, 개월)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대졸자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휴학 경험 있음(천명) 1,293 886 407 1,287 846 441 -6 -41 34 휴 학 사 유 1) 병역의무 이행 65.3 95.3 0.0 61.5 93.6 0.0 -3.8 -1.7 0.0 취업 및 자격시험준비 24.7 14.4 47.1 27.0 14.4 51.0 2.3 0.0 3.9 어학연수 및 인턴 등 현장경험 12.7 5.0 29.7 11.9 4.6 26.0 -0.8 -0.4 -3.7 학비(생활비) 마련 9.4 7.2 14.2 10.9 7.2 18.0 1.5 0.0 3.8 기타 10.7 4.4 24.4 10.3 4.8 20.9 -0.4 0.4 -3.5 평균 휴학기간1) 1년 11.3개월 2년 3.4개월 1년 2.3개월 1년 10.5개월 2년 3.1개월 1년 1.5개월 -0.8개월 -0.3개월 -0.8개월 1) 휴학사유는 복수응답으로 인해 구성비 합이 100.0을 넘으며, 평균휴학기간은 휴학경험자를 대상으로 함 - 10 - 3. 재학 중 직장체험 가. 직장체험 여부 ◦ 청년층 인구 중 재학 기간에 직장을 체험한 청년층 비율은 43.6%로 전년동월 대비 0.5%p 상승함 - 성별로 보면, 남자의 41.3%, 여자의 45.9%가 재학 기간 중 직장을 체험하였으며, 전년동월대비 각각 0.6%p, 0.4%p 상승함 < 직장체험 여부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8,416 4,220 4,196 8,173 4,088 4,085 -243 -132 -111 직장체험1) 경험 있음 3,627 1,717 1,910 3,564 1,687 1,877 -63 -30 -33 (43.1) (40.7) (45.5) (43.6) (41.3) (45.9) (0.5) (0.6) (0.4) 1) 직장체험에는 취업이 포함됨 나. 직장체험 기간 및 주된 직장체험 형태 ◦ 재학 기간에 직장을 체험한 청년층(356만 4천명)의 체험기간은 6개월 이상(54.7%), 3~6개월 미만(20.9%), 1~3개월 미만(16.5%) 순으로 높음 ◦ 주된 체험형태는 시간제 취업(75.0%), 전일제 취업(9.6%) 순으로 높으며, 전년동월대비 시간제 취업은 0.6%p 상승, 전일제 취업은 1.1%p 하락함 < 직장체험 기간 및 주된 직장체험 형태 > (단위: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직장체험1) 경험 있음(천명) 3,627 1,717 1,910 3,564 1,687 1,877 -63 -30 -33 체 험 기 간 1개월 미만 7.9 9.1 6.8 7.9 9.1 6.8 0.0 0.0 0.0 1~3개월 미만 18.6 21.1 16.4 16.5 19.6 13.6 -2.1 -1.5 -2.8 3~6개월 미만 21.8 22.3 21.3 20.9 20.6 21.2 -0.9 -1.7 -0.1 6개월 이상 51.7 47.6 55.5 54.7 50.6 58.4 3.0 3.0 2.9 체 험 형 태 전일제2) 취업 10.7 13.3 8.3 9.6 10.9 8.4 -1.1 -2.4 0.1 시간제3) 취업 74.4 72.9 75.8 75.0 75.6 74.6 0.6 2.7 -1.2 인턴기업인턴 등 4.6 4.2 5.0 5.5 5.0 6.0 0.9 0.8 1.0 학교의 현장실습 9.1 8.0 10.1 8.8 7.3 10.1 -0.3 -0.7 0.0 정부지원 직장체험 0.9 1.3 0.5 0.9 1.0 0.9 0.0 -0.3 0.4 기타 0.3 0.3 0.2 0.1 0.3 0.0 -0.2 0.0 -0.2 1) 직장체험에는 취업이 포함됨 2) 전일제: 대체로 1주당 36시간 이상 근무하기로 정해진 경우 3) 시간제: 대체로 1주당 36시간 미만 근무하기로 정해진 경우 - 11 - 4. 직업교육(훈련) 가.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 청년층 인구 중 직업교육(훈련) 경험자 비율은 16.7%(136만 8천명)로 전년 동월대비 0.6%p 상승함 - 성별로 보면, 남자의 15.0%, 여자의 18.5%가 직업교육(훈련) 경험이 있으며,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1.4%p 상승, 여자는 0.1%p 하락함 <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8,416 4,220 4,196 8,173 4,088 4,085 -243 -132 -111 직업교육(훈련) 경험 있음 1,351 572 779 1,368 612 756 16 39 -23 (16.1) (13.6) (18.6) (16.7) (15.0) (18.5) (0.6) (1.4) (-0.1) 나. 직업교육(훈련) 시기 ◦ 직업교육(훈련)을 경험한 시기는 재학 휴학 중인 경우가 46.3%로 가장 높고, 졸업 이후인 경우는 44.8%, 재학 휴학 및 졸업 이후 모두 교육(훈련)을 받은 경우는 8.9%를 차지함 - 성별로 보면, 남자는 졸업 이후(48.0%)의 교육경험 비율이 여성(42.2%)보다 높고, 여자는 재학 휴학 중(47.8%) 교육경험 비율이 남성(44.4%)보다 높음 < 직업교육(훈련) 시기 > (단위: %, %p) 2023. 5 2024. 5 증감 청년층 인구 청년층 인구 청년층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직업교육(훈련) 경험있음(천명) 1,351 572 779 1,368 612 756 16 39 -23 교육 훈련 시기 재학·휴학 중 47.2 47.9 46.7 46.3 44.4 47.8 -0.9 -3.5 1.1 졸업 이후 43.6 44.3 43.1 44.8 48.0 42.2 1.2 3.7 -0.9 재학·휴학 및 졸업 이후1) 9.2 7.8 10.2 8.9 7.6 9.9 -0.3 -0.2 -0.3 1) 재학․휴학 중, 졸업 이후 모두 직업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를 의미함 - 12 - 5. 최종학교 졸업자의 취업활동 가. 취업경험 여부 및 횟수 ◦ 최종학교 졸업자 중 졸업 후의 취업경험 비율은 86.2%(376만 5천명)로 전년동월대비 1.1%p 하락함 ◦ 취업경험 횟수는 한 번인 경우가 41.2%로 가장 많았으며, 전년동월대비 2.0%p 상승함 < 취업경험 여부 및 횟수 > (단위: 천명, %, %p) 청년층 졸업자 취업경험 있음1) 2) 취업경험 한 번 두 번 세 번 네 번 이상 없음2) 2023. 5 4,521 3,947 1,548 1,104 694 602 574 <87.3> (39.2) (28.0) (17.6) (15.3) <12.7> 2024. 5 4,367 3,765 1,552 1,043 579 592 601 <86.2> (41.2) (27.7) (15.4) (15.7) <13.8> 증감 -155 -182 4 -62 -115 -10 27 <-1.1> (2.0) (-0.3) (-2.2) (0.4) <1.1> 1) 현재 취업 중인 경우도 포함 2) < >는 졸업자 중 취업경험 여부별 비율, ( )는 취업 경험자 내 취업경험 횟수별 구성비임 ◦ 교육정도별로 보면, 대졸이상(89.1%) 취업경험 비율이 고졸이하(81.1%)보다 높게 나타남 - 대졸이상의 취업경험 비율은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고졸이하는 3.3%p 하락함 < 교육정도별 취업경험 여부 > (단위: 천명, %, %p) 청년층 졸업자 고졸이하1) 취업경험 대졸이상1) 있음 취업경험 없음 취업경험 있음 취업경험 없음 2023. 5 4,521 1,613 1,361 251 2,909 2,586 323 <35.7> (84.4) (15.6) <64.3> (88.9) (11.1) 2024. 5 4,367 1,557 1,262 294 2,810 2,503 307 <35.6> (81.1) (18.9) <64.4> (89.1) (10.9) 증감 -155 -56 -99 43 -99 -83 -16 <-0.1> (-3.3) (3.3) <0.1> (0.2) (-0.2) 1) < >는 졸업자 중 교육수준별 비율, ( )는 교육수준 내 취업경험 여부별 구성비임 - 13 - 나. 취업경로 및 전공일치 여부 ◦ 최종학교 졸업자 중 취업 경험자의 주된 취업경로는 신문 잡지 인터넷등 응모(30.7%), 공개채용시험(22.4%), 가족 친지소개(추천)(16.3%) 순으로 높음 - 고졸이하는 신문 잡지 인터넷등응모(34.8%), 가족 친지소개(추천)(25.3%) 순이며, 대졸이상은 공개채용시험(29.4%), 신문 잡지 인터넷등응모(28.6%) 순임 < 취업 경험자의 주된 취업경로 >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고졸 이하 대졸 이상 고졸 이하 대졸 이상 고졸 이하 대졸 이상 < 전 체 > 3,947 1,361 2,586 3,765 1,262 2,503 -182 -99 -83 취 업 경 로 가족 친지 소개(추천) 15.7 23.6 11.5 16.3 25.3 11.8 0.6 1.7 0.3 그직장근무자 소개(추천) 8.5 10.0 7.7 8.1 9.3 7.5 -0.4 -0.7 -0.2 학교(학원) 선생님 추천 7.3 7.5 7.2 6.6 6.4 6.8 -0.7 -1.1 -0.4 신문 잡지 인터넷등응모 31.9 37.7 28.8 30.7 34.8 28.6 -1.2 -2.9 -0.2 공개채용시험 23.3 8.2 31.2 22.4 8.5 29.4 -0.9 0.3 -1.8 특별채용 2.2 1.7 2.5 3.0 2.2 3.4 0.8 0.5 0.9 그 외1) 11.2 11.5 11.0 12.8 13.5 12.4 1.6 2.0 1.4 (단위: 천명, %, %p) 1) 공공․민간 직업알선기관, 학교 내 취업소개기관, 직업(취업)박람회 등 ◦ 최종학교 졸업자 중 취업 경험자의 최근 일자리와 전공과의 관련성은 매우 불일치(38.7%)가 가장 높으며,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매우 일치(26.8%)는 0.9%p 상승함 < 전공일치 여부 >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매우 일치 그런대로 일치 약간 불일치 매우 불일치 2023. 5 3,947 1,022 974 427 1,525 (100.0) (25.9) (24.7) (10.8) (38.6) 2024. 5 3,765 1,010 864 435 1,457 (100.0) (26.8) (22.9) (11.5) (38.7) 증감 -182 -13 -110 8 -68 (0.0) (0.9) (-1.8) (0.7) (0.1) - 14 - 다. 미취업 기간 및 주된 활동 ◦ 최종학교 졸업자 중 현재 미취업자의 미취업 기간은 6개월 미만이 40.7%로 전년동월대비 1.5%p 하락한 반면, 3년이상(18.5%)은 1.2%p 상승함 - 미취업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는 45.6%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함 < 미취업 기간1) > 미취업자 1년 미만 1년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1년 미만 1년~2년 미만 2년~3년 미만 3년 이상 2023. 5 1,261 689 532 157 572 231 123 218 (100.0) (54.7) (42.2) (12.4) (45.3) (18.3) (9.7) (17.3) 2024. 5 1,290 701 525 176 589 245 106 238 (100.0) (54.4) (40.7) (13.7) (45.6) (19.0) (8.2) (18.5) 증감 29 12 -7 20 17 14 -17 20 (0.0) (-0.3) (-1.5) (1.3) (0.3) (0.7) (-1.5) (1.2) (단위: 천명, %, %p) 1) 취업경험이 없는 경우는 졸업 이후부터 계산 ◦ 미취업자의 주된 활동은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37.8%), 그냥 시간보냄 (24.7%) 순으로 높음 - 전년동월대비 직업교육 취업시험준비(-3.1%p,) 그냥 시간보냄(-0.7%p), 구직 활동(-1.6%p) 등 비율은 하락함 < 미취업 기간 중 주된 활동 > 미취업자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 그냥 시간보냄 구직활동 육아 가사 그 외1) 2023. 5 1,261 516 320 135 85 205 (100.0) (40.9) (25.4) (10.7) (6.7) (16.2) 2024. 5 1,290 487 318 118 81 286 (100.0) (37.8) (24.7) (9.1) (6.3) (22.1)2) 증감 29 -29 -2 -18 -4 81 (0.0) (-3.1) (-0.7) (-1.6) (-0.4) (5.9) (단위: 천명, %, %p) 1) 여가활동, 진학준비2) 등 2) 전체 미취업자 중 ‘진학준비’ 비율은 10.9%, ’24년 5월 조사부터 ‘진학준비’ 항목 신규추가 - 15 - 6.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 가. 첫 취업 소요기간 ◦ 졸업 후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11.5개월로 전년동월대비 1.1개월 증가함 - 첫 취업까지 걸리는 기간은 3개월 미만이 47.7%로 전년동월대비 1.2%p 하락한 반면, 3년 이상은 9.7%로 1.3%p 상승함 < 첫 취업 소요기간 >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임금 근로자1) 첫 취업 소요기간별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 3개월 미만 3~6개월 미만 6개월~1년 미만 1~2년 미만 2~3년 미만 3년 이상 2023. 5 3,947 3,865 1,890 457 420 507 267 324 10.4개월 <97.9> (48.9) (11.8) (10.9) (13.1) (6.9) (8.4) 2024. 5 3,765 3,671 1,750 412 406 491 255 357 11.5개월 <97.5> (47.7) (11.2) (11.1) (13.4) (6.9) (9.7) 증감 -182 -195 -140 -45 -14 -16 -13 33 1.1개월 <-0.4> (-1.2) (-0.6) (0.2) (0.3) (0.0) (1.3) 1) < >는 취업 경험자 중 임금근로자 비율, ( )는 임금근로자 내 첫 취업 소요기간별 구성비임 ◦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은 고졸이하가 1년 5.6개월로 대졸이상(8.3개월)보다 높으며, 전년동월대비 고졸이하는 2.8개월, 대졸이상은 0.1개월 각각 증가함 < 교육정도별 첫 취업 소요기간 >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 고졸이하 대졸이상 2023. 5 10.4개월 1년 2.8개월 8.2개월 2024. 5 11.5개월 1년 5.6개월 8.3개월 증감 1.1개월 2.8개월 0.1개월 - 16 - 나. 첫 직장 근속기간 ◦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첫 직장 평균 근속기간은 1년 7.2개월로 전년동월대비 0.6개월 증가함 - 첫 일자리를 그만둔 임금근로자는 66.8%로 전년동월과 차이가 없으며, 평균 근속기간은 1년 2.8개월로 0.4개월 증가 - 첫 일자리가 현재 직장인 경우는 33.2%로 평균 근속기간은 2년 4.0개월로 1.0개월 증가함 < 첫 직장 근속기간 >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임금 근로자 평균 근속기간 첫 직장 그만둔 경우 첫직장 계속다니는경우 첫 직장 그만둔 경우 첫직장 계속다니는경우 2023. 5 3,947 3,865 2,580 1,285 1년6.6개월 1년2.4개월 2년3.0개월 (100.0) (66.8) (33.2) 2024. 5 3,765 3,671 2,450 1,220 1년7.2개월 1년2.8개월 2년4.0개월 (100.0) (66.8) (33.2) 증감 -182 -195 -130 -64 0.6개월 0.4개월 1.0개월 (0.0) (0.0) (0.0) 다. 첫 일자리의 산업 ․ 직업 ․ 근로형태별 분포 ◦ 첫 일자리의 산업별 분포는 숙박및음식점업(14.7%), 광제조업(13.9%), 보건업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9%) 순으로 높음 - 남자는 광제조업(21.6%), 숙박및음식점업(15.0%), 운수및창고업·정보통신업(12.0%) 순으로 높으며, 여자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9.1%), 숙박및음식점업(14.5%), 교육서비스업(13.4%)순으로 높음 - 전년동월대비 광제조업(-1.3%p),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3%p), 숙박및 음식점업(-0.8%p) 등은 하락, 운수및창고업·정보통신업(+1.8%p)은 상승함 - 남자는 광제조업(-2.0%p), 여자는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2%p) 등에서 전년동월대비 비율이 하락, 운수및창고업·정보통신업은 남여 모두 비율이 상승함 - 17 - < 첫 일자리의 산업별 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3,947 1,840 2,107 3,765 1,794 1,972 -182 -46 -136 · 광제조업 15.2 23.6 8.0 13.9 21.6 6.9 -1.3 -2.0 -1.1 · 건설업 3.8 6.4 1.5 3.9 6.5 1.5 0.1 0.1 0.0 · 도매 및 소매업 11.2 11.1 11.2 10.9 11.2 10.7 -0.3 0.1 -0.5 · 숙박 및 음식점업 15.5 16.8 14.3 14.7 15.0 14.5 -0.8 -1.8 0.2 · 운수 및 창고업2) 정보통신업 6.6 9.2 4.3 8.4 12.0 5.2 1.8 2.8 0.9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3 7.0 7.5 7.2 7.0 7.4 -0.1 0.0 -0.1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4.0 3.9 4.0 3.9 4.1 3.6 -0.1 0.2 -0.4 · 교육 서비스업 8.7 4.5 12.3 9.3 4.7 13.4 0.6 0.2 1.1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3.2 5.0 20.3 11.9 3.9 19.1 -1.3 -1.1 -1.2 · 기타1) 14.7 12.5 16.5 15.9 14.0 17.6 1.2 1.5 1.1 1) 산업분류 A, D, E, K, L, N, R, S, T, U가 포함됨(부록2 한국표준산업분류 참조) 2) 운수 및 창고업은 전체 취업 경험자 중 2.9% (‘24.5월 부가조사부터 운수 및 창고업과 정보통신업을 분리) ◦ 첫 일자리의 직업별 분포는 관리자 전문가(25.9%), 서비스종사자(22.9%), 사무 종사자(21.7%) 순으로 높음 - 남자는 서비스종사자(21.0%), 관리자 전문가(18.7%) 순으로 높으며, 여자는 관리자 전문가(32.5%), 사무종사자(27.7%) 순으로 높음 - 전년동월대비 서비스종사자(-1.2%p), 판매종사자(-0.7%p) 등 비율은 하락, 사무종사자(+1.0%p) 비율은 상승함 < 첫 일자리의 직업별 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3,947 1,840 2,107 3,765 1,794 1,972 -182 -46 -136 · 관리자·전문가 25.5 19.2 30.9 25.9 18.7 32.5 0.4 -0.5 1.6 · 사무종사자 20.7 13.4 27.2 21.7 15.0 27.7 1.0 1.6 0.5 · 서비스종사자 24.1 21.7 26.1 22.9 21.0 24.7 -1.2 -0.7 -1.4 · 판매종사자 8.2 9.0 7.5 7.5 8.1 7.0 -0.7 -0.9 -0.5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0.3* 0.7* 0.0* 0.7* 0.9* 0.5* 0.4 0.2 0.5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4.9 8.7 1.7 5.2 9.2 1.6 0.3 0.5 -0.1 ·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5.9 11.3 1.2 5.9 11.0 1.2 0.0 -0.3 0.0 · 단순노무종사자 10.3 16.1 5.3 10.2 16.1 4.8 -0.1 0.0 -0.5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 18 - ◦ 첫 일자리의 근로형태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인 경우가 52.6%로 가장 높으며, 근무형태별로는 전일제 근로가 74.1%를 차지함 < 첫 일자리의 근로형태별 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3,947 1,840 2,107 3,765 1,794 1,972 -182 -46 -136 ◦임금근로자 97.9 97.3 98.4 97.5 97.1 97.8 -0.4 -0.2 -0.6 계 약 여 부 별 계약기간 정함 34.7 36.7 33.0 37.2 37.7 36.8 2.5 1.0 3.8 1년 이하 29.0 30.4 27.8 31.4 31.6 31.2 2.4 1.2 3.4 1년 초과 5.7 6.2 5.2 5.8 6.1 5.6 0.1 -0.1 0.4 계약기간 정하지않음 63.2 60.7 65.4 60.3 59.4 61.0 -2.9 -1.3 -4.4 계속근무 가능 54.0 50.4 57.2 52.6 50.8 54.2 -1.4 0.4 -3.0 일시적 일자리 9.2 10.3 8.2 7.7 8.6 6.8 -1.5 -1.7 -1.4 근무 형태별 전일제 76.5 75.6 77.3 74.1 73.6 74.6 -2.4 -2.0 -2.7 시간제 21.4 21.8 21.1 23.4 23.5 23.2 2.0 1.7 2.1 ◦자영업자 1.7 2.1 1.4 1.8 2.0 1.6 0.1 -0.1 0.2 ◦무급가족종사자 0.4* 0.5* 0.2* 0.7 0.9* 0.6* 0.3 0.4 0.4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라. 첫 일자리(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 ◦ 첫 일자리(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200만원~300만원 미만(35.2%), 150만원~200만원 미만(33.1%), 100만원~150만원 미만(13.0%) 순으로 나타남 - 전년동월대비 200만원~300만원 미만(3.9%p), 300만원 이상(0.8%p) 비율이 상승함 < 첫 일자리(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 분포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3,947 1,840 2,107 3,765 1,794 1,972 -182 -46 -136 50만원 미만 3.4 3.1 3.6 4.2 4.7 3.7 0.8 1.6 0.1 50만원~100만원 미만 9.6 9.4 9.8 9.5 8.0 10.9 -0.1 -1.4 1.1 100만원~150만원 미만 15.7 14.6 16.7 13.0 13.1 12.9 -2.7 -1.5 -3.8 150만원~200만원 미만 35.7 31.9 39.0 33.1 28.6 37.1 -2.6 -3.3 -1.9 200만원~300만원 미만 31.3 35.4 27.7 35.2 39.2 31.4 3.9 3.8 3.7 300만원 이상 4.3 5.6 3.3 5.1 6.2 4.0 0.8 0.6 0.7 - 19 - 마.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는 보수,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 불만족(45.5%)이 가장 높으며, 임시적 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15.6%), 건강, 육아, 결혼 등 개인 가족적 이유(15.3%) 순으로 높음 - 전년동월대비 임시적 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0.9%p), 개인·가족적 이유(+0.7%p)로 그만둔 경우의 비율은 상승, 근로여건 불만족(-0.4%p), 전망이 없어서(-1.4%p) 등으로 그만둔 경우는 하락함 <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3,947 1,840 2,107 3,765 1,794 1,972 -182 -46 -136 ◦이직 경험자1) 3) 2,601 1,196 1,405 2,472 1,159 1,313 -129 -37 -92 <65.9> <65.0> <66.7> <65.7> <64.6> <66.6> <-0.2> <-0.4> <-0.1> · 근로여건 불만족 (보수, 근로시간 등) 45.9 46.7 45.3 45.5 44.5 46.4 -0.4 -2.2 1.1 · 개인·가족적 이유 (건강, 육아, 결혼 등) 14.6 14.9 14.4 15.3 15.4 15.2 0.7 0.5 0.8 · 전망이 없어서 9.1 9.1 9.1 7.7 8.4 7.1 -1.4 -0.7 -2.0 · 전공․지식․기술․ 적성 등이 맞지 않음 6.3 6.3 6.3 6.3 6.7 5.9 0.0 0.4 -0.4 · 임시적․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 14.7 14.9 14.6 15.6 14.7 16.4 0.9 -0.2 1.8 · 직장 휴업 폐업 파산 등 2.1 1.4* 2.7 2.4 1.8* 2.9 0.3 0.4 0.2 · 그 외2) 7.3 6.8 7.6 7.3 8.6 6.1 0.0 1.8 -1.5 1) 실업․비경제활동인구 포함 2) 창업 또는 가족사업 참여, 일거리가 없거나 회사사정 어려움, 권고사직, 기타 3) < >는 취업 경험자 중 이직을 경험한 자의 비율임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 20 - 7.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 ◦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지난 1주간 취업시험 준비자는 56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만 9천명 감소함 - 취업시험 준비자는 일반기업체(29.7%), 일반직 공무원(23.2%),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18.9%) 순으로 많고, 남녀 모두 일반기업체 취업 준비 비율이 가장 높음 - 전년동월대비 일반기업체(+2.4%p),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2.7%p), 고시 및 전문직(+1.5%p) 준비자 비율은 상승, 일반직 공무원(-6.1%p) 등 비율은 하락함 <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 >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비경제활동 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비경제활동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4,164 2,194 1,970 4,066 2,114 1,952 -98 -80 -18 ◦취업시험 준비자1) 634 340 294 565 321 244 -69 -19 -50 <15.2> <15.5> <14.9> <13.9> <15.2> <12.5> <-1.3> <-0.3> <-2.4> 취업 시험 준비 분야 일반기업체 173 109 64 168 105 62 -5 -4 -1 (27.3) (32.2) (21.7) (29.7) (32.8) (25.6) (2.4) (0.6) (3.9) 언론사 공영기업체 76 34 42 66 42 25 -10 7 -17 (12.0) (10.1) (14.2) (11.8) (13.0) (10.2) (-0.2) (2.9) (-4.0) 교원임용 25 4* 22* 21 8* 14* -4 4 -8 (4.0) (1.1) (7.3) (3.8) (2.4) (5.6) (-0.2) (1.3) (-1.7) 일반직공무원 186 105 81 131 72 59 -55 -33 -22 (29.3) (31.0) (27.5) (23.2) (22.5) (24.0) (-6.1) (-8.5) (-3.5) 고시 및 전문직 71 35 36 72 37 35 1 2 -1 (11.2) (10.2) (12.3) (12.7) (11.6) (14.2) (1.5) (1.4) (1.9)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 103 53 50 107 57 50 4 4 0 (16.2) (15.5) (17.1) (18.9) (17.7) (20.5) (2.7) (2.2) (3.4) 1) < >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 ( )는 취업준비자 내 준비분야별 구성비임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비경제활동인구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 취업시험 준비분야별 비율 - 21 - Ⅲ. 2024년 5월 청년층 부가조사 통계표 1. 2024년 5월 청년층(15~34세) 부가조사 결과 숔 경제활동인구 개요 가. 경제활동상태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15-29세 30-34세 15-29세 30-34세 인구 15-29세 30-34세 < 전 체 > 11,864 8,416 3,448 11,704 8,173 3,530 -160 -243 82 ◦경제활동인구 7,078 4,252 2,825 7,056 4,107 2,948 -22 -145 123 - 취 업 자 6,751 4,005 2,746 6,681 3,832 2,849 -70 -173 103 - 실 업 자 326 247 79 375 276 99 48 28 20 ◦ 비경제활동인구 4,786 4,164 623 4,648 4,066 582 -138 -98 -41 ◦ 경제활동참가율 59.7 50.5 81.9 60.3 50.3 83.5 0.6 -0.2 1.6 ◦ 고 용 률 56.9 47.6 79.7 57.1 46.9 80.7 0.2 -0.7 1.0 ◦ 실 업 률 4.6 5.8 2.8 5.3 6.7 3.4 0.7 0.9 0.6 (단위: 천명, %, %p) 나. 수학상태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15-29세 30-34세 15-29세 30-34세 인구 15-29세 30-34세 < 전 체 > 11,864 8,416 3,448 11,704 8,173 3,530 -160 -243 82 졸업 7,873 4,521 3,351 7,792 4,367 3,425 -81 -155 74 (66.4) (53.7) (97.2) (66.6) (53.4) (97.0) (0.2) (-0.3) (-0.2) 재학 3,625 3,553 72 3,578 3,498 79 -47 -55 8 (30.6) (42.2) (2.1) (30.6) (42.8) (2.2) (0.0) (0.6) (0.1) 휴학 360 337 23 332 306 26 -28 -31 3 (3.0) (4.0) (0.7) (2.8) (3.7) (0.7) (-0.2) (-0.3) (0.0) (단위: 천명, %, %p) 다. 졸업자 취업상태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졸업자 15-34세 졸업자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졸업자 남자 여자 < 전 체 > 7,873 3,948 3,925 7,792 3,938 3,854 -81 -10 -71 - 취업자 5,954 3,101 2,853 5,867 3,074 2,793 -87 -27 -61 (75.6) (78.5) (72.7) (75.3) (78.1) (72.5) (-0.3) (-0.4) (-0.2) - 미취업자 1,918 847 1,071 1,925 864 1,061 7 17 -10 (24.4) (21.5) (27.3) (24.7) (21.9) (27.5) (0.3) (0.4) (0.2) (단위: 천명, %, %p) - 22 - 라. 산업별 취업분포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취업자 15-34세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체1) 취업자 구성비 < 전 체 > 5,954 100.0 5,867 100.0 100.0 -87 0.0 · 제조업 1,042 17.5 1,000 17.0 15.6 -42 -0.5 · 건설업 283 4.8 261 4.5 7.2 -22 -0.3 · 도매 및 소매업 665 11.2 628 10.7 11.2 -37 -0.5 · 운수 및 창고업 258 4.3 247 4.2 5.9 -10 -0.1 · 숙박 및 음식점업 567 9.5 611 10.4 8.2 44 0.9 · 정보통신업 404 6.8 426 7.3 3.8 23 0.5 · 금융 및 보험업 159 2.7 141 2.4 2.7 -18 -0.3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446 7.5 476 8.1 4.8 30 0.6 ·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43 4.1 247 4.2 4.8 4 0.1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291 4.9 303 5.2 4.5 12 0.3 · 교육 서비스업 425 7.1 389 6.6 6.5 -36 -0.5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683 11.5 613 10.4 10.4 -70 -1.1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159 2.7 169 2.9 1.9 10 0.2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216 3.6 217 3.7 3.9 2 0.1 · 기타2) 115 1.9 139 2.4 8.6 24 0.5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산업별 구성비임 2) 산업분류 A, B, D, E, L, T, U가 포함됨(부록2 한국표준산업분류 참조) 마. 직업별 취업분포 (단위: 천명, %)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취업자 15-34세 취업자 구성비 구성비 취업자 구성비 전체1) 취업자 구성비 < 전 체 > 5,954 100.0 5,867 100.0 100.0 -87 0.0 · 관리자·전문가 1,992 33.4 1,921 32.7 23.4 -71 -0.7 · 사무종사자 1,465 24.6 1,481 25.2 17.5 16 0.6 · 서비스종사자 777 13.0 777 13.2 12.4 1 0.2 · 판매종사자 451 7.6 402 6.8 8.7 -50 -0.8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42 0.7 51 0.9 5.4 9 0.2 ·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343 5.8 360 6.1 7.8 17 0.3 ·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469 7.9 443 7.5 10.4 -27 -0.4 · 단순노무종사자 416 7.0 433 7.4 14.3 17 0.4 1) 15세이상 취업자 전체의 직업별 구성비임 - 23 - 숕 대학 졸업 소요기간 및 휴학상태 가. 학력별 졸업자수 (단위: 천명)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11,864 6,042 5,822 11,704 5,961 5,743 -160 -81 -80 최종학교 졸업자 7,197 3,473 3,724 7,147 3,478 3,669 -50 6 -56 - 고졸이하 1,821 1,026 795 1,776 1,033 743 -45 7 -52 - 대학졸업 5,128 2,336 2,792 5,161 2,364 2,796 33 28 5 · 3년제 이하 1,795 805 990 1,729 791 938 -66 -14 -52 · 4년제 3,333 1,531 1,802 3,431 1,573 1,858 99 43 56 - 대학원졸업 이상 248 111 138 211 81 129 -38 -29 -8 나. 대학 졸업 소요기간 (단위: 천명, 개월)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대졸자 15-34세 대졸자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 전체 > 5,128 2,336 2,792 5,161 2,364 2,796 33 28 5 평균 졸업소요기간 4년 6개월 5년 4.0개월 3년 9.6개월 4년 6.0개월 5년 3.5개월 3년 10.0개월 0.0개월 -0.5개월 0.4개월 · 3년제 이하 2년 11.7개월 3년 8.0개월 2년 5.0개월 2년 11.7개월 3년 7.8개월 2년 4.8개월 0.0개월 -0.2개월 -0.2개월 · 4년제 5년 3.8개월 6년 2.5개월 4년 6.8개월 5년 3.3개월 6년 1.5개월 4년 6.7개월 -0.5개월 -1.0개월 -0.1개월 다. 대졸자의 휴학경험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대졸자 15-34세 대졸자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 전체 > 5,128 2,336 2,792 5,161 2,364 2,796 33 28 5 휴학 경험 있음 2,473 1,765 708 2,527 1,748 779 54 -17 71 (48.2) (75.6) (25.3) (49.0) (73.9) (27.9) (0.8) (-1.7) (2.6) 3년제 이하 1,795 805 990 1,729 791 938 -66 -14 -52 휴학 경험 있음 606 509 98 604 494 110 -3 -14 12 (33.8) (63.2) (9.9) (34.9) (62.5) (11.7) (1.1) (-0.7) (1.8) 4년제 3,333 1,531 1,802 3,431 1,573 1,858 99 43 56 휴학 경험 있음 1,867 1,257 610 1,924 1,254 670 57 -3 60 (56.0) (82.1) (33.8) (56.1) (79.7) (36.0) (0.1) (-2.4) (2.2) - 24 - 라. 대졸자의 휴학사유 및 평균 휴학기간 (단위: 천명, %, %p, 개월)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대졸자 15-34세 대졸자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대졸자 남자 여자 휴학 경험 있음(천명) 2,473 1,765 708 2,527 1,748 779 54 -17 71 휴 학 사 유 1) 병역의무 이행 66.7 93.5 0.0 63.7 92.1 0.0 -3.0 -1.4 0.0 취업 및 자격시험준비 24.3 16.0 45.2 26.0 15.7 49.1 1.7 -0.3 3.9 어학연수 및 인턴 등 현장경험 14.8 7.5 32.9 13.3 5.8 30.0 -1.5 -1.7 -2.9 학비(생활비) 마련 11.6 8.5 19.4 12.1 9.1 18.8 0.5 0.6 -0.6 기타 8.2 3.6 19.6 9.8 5.0 20.5 1.6 1.4 0.9 평균 휴학기간1) 2년 0.6개월 2년 4.5개월 1년 2.8개월 1년 11.9개월 2년 4.1개월 1년 2.3개월 -0.7개월 -0.4개월 -0.5개월 1) 휴학사유는 복수응답으로 인해 구성비 합이 100.0을 넘으며, 평균휴학기간은 휴학경험자를 대상으로 함 숖 재학 중 직장체험 가. 직장체험 여부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11,864 6,042 5,822 11,704 5,961 5,743 -160 -81 -80 직장체험1) 경험 있음 5,485 2,682 2,803 5,436 2,655 2,781 -49 -27 -22 (46.2) (44.4) (48.1) (46.4) (44.5) (48.4) (0.2) (0.1) (0.3) (단위: 천명, %, %p) 나. 직장체험 기간 및 주된 직장체험 형태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직장체험1) 경험 있음(천명) 5,485 2,682 2,803 5,436 2,655 2,781 -49 -27 -22 체 험 기 간 1개월 미만 7.8 8.5 7.0 6.9 7.6 6.2 -0.9 -0.9 -0.8 1~3개월 미만 17.4 18.8 16.0 15.8 17.8 13.8 -1.6 -1.0 -2.2 3~6개월 미만 21.9 22.6 21.3 21.1 21.6 20.6 -0.8 -1.0 -0.7 6개월 이상 52.9 50.0 55.7 56.3 53.0 59.5 3.4 3.0 3.8 체 험 형 태 전일제2) 취업 11.7 14.1 9.5 11.2 12.9 9.6 -0.5 -1.2 0.1 시간제3) 취업 71.7 71.0 72.4 72.4 73.4 71.5 0.7 2.4 -0.9 인턴기업인턴 등 5.7 5.5 5.9 6.6 5.5 7.6 0.9 0.0 1.7 학교의 현장실습 9.5 8.0 10.9 8.6 6.8 10.3 -0.9 -1.2 -0.6 정부지원 직장체험 1.1 1.1 1.1 1.1 1.3 0.9 0.0 0.2 -0.2 기타 0.2 0.2 0.2 0.1 0.2 0.1 -0.1 0.0 -0.1 (단위: %, %p) 1) 직장체험에는 취업이 포함됨 2) 전일제: 대체로 1주당 36시간 이상 근무하기로 정해진 경우 3) 시간제: 대체로 1주당 36시간 미만 근무하기로 정해진 경우 - 25 - 숗 직업교육(훈련) 가. 직업교육(훈련) 경험 여부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11,864 6,042 5,822 11,704 5,961 5,743 -160 -81 -80 직업교육(훈련) 경험 있음 2,254 992 1,262 2,289 1,057 1,232 35 65 -30 (19.0) (16.4) (21.7) (19.6) (17.7) (21.4) (0.6) (1.3) (-0.3) (단위: 천명, %, %p) 나. 직업교육(훈련) 시기 2023. 5 2024. 5 증감 15-34세 인구 15-34세 인구 15-34세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직업교육(훈련) 경험있음(천명) 2,254 992 1,262 2,289 1,057 1,232 35 65 -30 교육 훈련 시기 재학·휴학 중 45.2 46.0 44.6 43.2 41.9 44.2 -2.0 -4.1 -0.4 졸업 이후 45.1 46.1 44.2 46.6 49.9 43.7 1.5 3.8 -0.5 재학·휴학 및 졸업 이후1) 9.7 7.8 11.2 10.3 8.1 12.2 0.6 0.3 1.0 (단위: %, %p) 1) 재학․휴학 중, 졸업 이후 모두 직업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를 의미함 - 26 - 수 최종학교 졸업자의 취업활동 가. 취업경험 여부 및 횟수 (단위: 천명, %, %p) 15-34세 졸업자 취업경험 있음1) 2) 취업경험 한 번 두 번 세 번 네 번 이상 없음2) 2023. 5 7,873 7,193 2,357 1,942 1,409 1,486 680 <91.4> (32.8) (27.0) (19.6) (20.7) <8.6> 2024. 5 7,792 7,094 2,461 1,909 1,270 1,453 698 <91.0> (34.7) (26.9) (17.9) (20.5) <9.0> 증감 -81 -99 105 -32 -138 -33 18 <-0.4> (1.9) (-0.1) (-1.7) (-0.2) <0.4> 1) 현재 취업 중인 경우도 포함 2) < >는 졸업자 중 취업경험 여부별 비율, ( )는 취업 경험자 내 취업경험 횟수별 구성비임 나. 교육정도별 취업경험 여부 (단위: 천명, %, %p) 15-34세 졸업자 고졸이하1) 2) 취업경험 대졸이상1) 2) 있음 취업경험 없음 취업경험 있음 취업경험 없음 2023. 5 7,873 2,467 2,185 282 5,406 5,008 398 <31.3> (88.6) (11.4) <68.7> (92.6) (7.4) 2024. 5 7,792 2,392 2,065 327 5,400 5,029 371 <30.7> (86.3) (13.7) <69.3> (93.1) (6.9) 증감 -81 -75 -120 45 -6 21 -27 <-0.6> (-2.3) (2.3) <0.6> (0.5) (-0.5) 1) 고졸이하는 초·중·고등학교 졸업, 대졸이상은 대학 및 대학원 졸업을 각각 포함 2) < >는 졸업자 중 교육수준별 비율, ( )는 교육수준 내 구성비임 다. 취업 경험자의 주된 취업경로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고졸 이하 대졸 이상 고졸 이하 대졸 이상 고졸 이하 대졸 이상 < 전 체 > 7,193 2,185 5,008 7,094 2,065 5,029 -99 -120 21 취 업 경 로 가족 친지 소개(추천) 14.9 23.3 11.2 15.4 25.3 11.3 0.5 2.0 0.1 그직장근무자 소개(추천) 9.8 11.8 8.9 9.0 10.7 8.3 -0.8 -1.1 -0.6 학교(학원) 선생님 추천 5.8 5.9 5.7 5.5 5.3 5.6 -0.3 -0.6 -0.1 신문 잡지 인터넷등응모 29.5 36.0 26.7 27.6 32.5 25.7 -1.9 -3.5 -1.0 공개채용시험 24.9 7.7 32.4 25.9 9.5 32.6 1.0 1.8 0.2 특별채용 3.1 1.6 3.7 3.6 1.9 4.3 0.5 0.3 0.6 그 외1) 12.0 13.7 11.3 12.9 14.7 12.2 0.9 1.0 0.9 (단위: 천명, %, %p) 1) 공공․민간 직업알선기관, 학교 내 취업소개기관, 직업(취업)박람회 등 - 27 - 라. 전공일치 여부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매우 일치 그런대로 일치 약간 불일치 매우 불일치 2023. 5 7,193 1,873 1,744 826 2,750 (100.0) (26.0) (24.2) (11.5) (38.2) 2024. 5 7,094 1,838 1,725 850 2,682 (100.0) (25.9) (24.3) (12.0) (37.8) 증감 -99 -35 -19 24 -69 (0.0) (-0.1) (0.1) (0.5) (-0.4) 마. 미취업 기간1) 미취업자 1년 미만 1년 이상 6개월 미만 6개월~1년 미만 1년~2년 미만 2년~3년 미만 3년 이상 2023. 5 1,918 929 697 233 989 350 182 457 (100.0) (48.4) (36.3) (12.1) (51.6) (18.2) (9.5) (23.8) 2024. 5 1,925 927 678 249 998 329 180 488 (100.0) (48.2) (35.2) (12.9) (51.8) (17.1) (9.4) (25.3) 증감 7 -2 -19 17 9 -20 -2 31 (0.0) (-0.2) (-1.1) (0.8) (0.2) (-1.1) (-0.1) (1.5) (단위: 천명, %, %p) 1) 취업경험이 없는 경우는 졸업 이후부터 계산 바. 미취업 기간 중 주된 활동 미취업자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 그냥시간보냄 구직활동 육아 가사 그 외1) 2023. 5 1,918 652 458 185 374 248 (100.0) (34.0) (23.9) (9.7) (19.5) (12.9) 2024. 5 1,925 608 473 179 322 342 (100.0) (31.6) (24.6) (9.3) (16.7) (17.8)2) 증감 7 -45 15 -6 -52 94 (0.0) (-2.4) (0.7) (-0.4) (-2.8) (4.9) (단위: 천명, %, %p) 1) 여가활동, 진학준비2) 등 2) 전체 미취업자 중 ‘진학준비’ 비율은 7.8%로, ’24년 5월 조사부터 ‘진학준비’ 항목 신규추가 - 28 - 숙 최종학교 졸업 후 첫 일자리 가. 첫 취업 소요기간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임금 근로자1) 첫 취업 소요기간별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 3개월 미만 3~6개월 미만 6개월~1년 미만 1~2년 미만 2~3년 미만 3년 이상 2023. 5 7,193 6,996 3,301 854 710 919 457 755 12.3개월 <97.3> (47.2) (12.2) (10.2) (13.1) (6.5) (10.8) 2024. 5 7,094 6,893 3,132 824 726 873 461 877 13.9개월 <97.2> (45.4) (11.9) (10.5) (12.7) (6.7) (12.7) 증감 -99 -103 -168 -30 16 -47 4 122 1.6개월 <-0.1> (-1.8) (-0.3) (0.3) (-0.4) (0.2) (1.9) 1) < >는 취업 경험자 중 임금근로자 비율, ( )는 임금근로자 내 첫 취업 소요기간별 구성비임 나. 첫 직장 근속기간 (단위: 천명, %, %p) 취업 경험자 임금 근로자 평균 근속기간 첫 직장 그만둔 경우 첫직장 계속다니는경우 첫 직장 그만둔 경우 첫직장 계속다니는경우 2023. 5 7,193 6,996 5,057 1,939 (100.0) (72.3) (27.7) 2년1.5개월 1년7.2개월 3년6.0개월 2024. 5 7,094 6,893 4,922 1,971 (100.0) (71.4) (28.6) 2년2.0개월 1년6.9개월 3년8.0개월 증감 -99 -103 -135 32 (0.0) (-0.9) (0.9) 0.5개월 -0.3개월 2.0개월 다. 첫 일자리의 산업별 분포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7,193 3,569 3,624 7,094 3,561 3,533 -99 -8 -91 · 광제조업 16.0 22.7 9.4 14.9 21.6 8.2 -1.1 -1.1 -1.2 · 건설업 3.7 6.0 1.5 4.1 6.8 1.4 0.4 0.8 -0.1 · 도매 및 소매업 11.8 11.3 12.2 11.2 11.1 11.3 -0.6 -0.2 -0.9 · 숙박 및 음식점업 13.0 14.5 11.5 12.6 13.1 12.0 -0.4 -1.4 0.5 · 운수 및 창고업 정보통신업 6.4 8.6 4.3 8.0 10.7 5.2 1.6 2.1 0.9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8.4 8.8 8.0 8.1 8.4 7.8 -0.3 -0.4 -0.2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4.5 4.7 4.4 4.6 4.6 4.5 0.1 -0.1 0.1 · 교육 서비스업 9.2 4.9 13.4 9.2 4.9 13.5 0.0 0.0 0.1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2.1 5.1 19.1 11.3 4.3 18.3 -0.8 -0.8 -0.8 · 기타1) 14.8 13.4 16.2 16.1 14.3 17.8 1.3 0.9 1.6 1) 산업분류 A, D, E, K, L, N, R, S, T, U가 포함됨(부록2 한국표준산업분류 참조) 2) 운수 및 창고업은 전체 취업 경험자 중 2.6% (’24.5월 부가조사부터 운수 및 창고업과 정보통신업을 분리) - 29 - 라. 첫 일자리의 직업별 분포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7,193 3,569 3,624 7,094 3,561 3,533 -99 -8 -91 · 관리자·전문가 25.9 21.1 30.7 27.2 22.4 32.0 1.3 1.3 1.3 · 사무종사자 23.3 16.1 30.5 23.7 16.9 30.4 0.4 0.8 -0.1 · 서비스종사자 22.5 21.3 23.7 21.2 19.6 22.7 -1.3 -1.7 -1.0 · 판매종사자 7.4 8.0 6.9 7.2 7.6 6.7 -0.2 -0.4 -0.2 · 농림어업숙련종사자 0.3 0.5* 0.1* 0.6 0.8 0.3* 0.3 0.3 0.2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5.1 8.5 1.7 5.2 8.7 1.6 0.1 0.2 -0.1 ·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6.2 11.0 1.5 6.3 10.8 1.7 0.1 -0.2 0.2 · 단순노무종사자 9.2 13.4 5.0 8.8 13.0 4.6 -0.4 -0.4 -0.4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마. 첫 일자리의 근로형태별 분포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7,193 3,569 3,624 7,094 3,561 3,533 -99 -8 -91 ◦임금근로자 97.3 96.9 97.7 97.2 96.9 97.5 -0.1 0.0 -0.2 계 약 여 부 별 계약기간 정함 32.5 33.3 31.7 33.9 33.9 33.9 1.4 0.6 2.2 1년 이하 26.4 27.2 25.6 27.7 27.4 28.0 1.3 0.2 2.4 1년 초과 6.1 6.1 6.1 6.2 6.5 5.8 0.1 0.4 -0.3 계약기간 정하지않음 64.7 63.5 66.0 63.3 63.0 63.6 -1.4 -0.5 -2.4 계속근무 가능 56.7 54.9 58.6 56.6 55.4 57.9 -0.1 0.5 -0.7 일시적 일자리 8.0 8.6 7.4 6.7 7.6 5.7 -1.3 -1.0 -1.7 근무 형태별 전일제 80.0 79.9 80.0 78.5 78.2 78.8 -1.5 -1.7 -1.2 시간제 17.3 17.0 17.7 18.7 18.7 18.7 1.4 1.7 1.0 ◦자영업자 2.3 2.7 1.9 2.2 2.4 2.0 -0.1 -0.3 0.1 ◦무급가족종사자 0.5 0.5 0.4* 0.6 0.8* 0.5* 0.1 0.3 0.1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바. 첫 일자리(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 분포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7,193 3,569 3,624 7,094 3,561 3,533 -99 -8 -91 50만원 미만 2.5 2.1 2.8 2.8 2.9 2.6 0.3 0.8 -0.2 50만원~100만원 미만 8.5 8.0 8.9 7.9 6.8 9.1 -0.6 -1.2 0.2 100만원~150만원 미만 17.1 15.4 18.8 14.7 13.5 15.9 -2.4 -1.9 -2.9 150만원~200만원 미만 35.3 31.6 38.9 33.5 29.1 37.9 -1.8 -2.5 -1.0 200만원~300만원 미만 31.2 35.4 27.0 34.7 39.7 29.6 3.5 4.3 2.6 300만원 이상 5.5 7.5 3.5 6.4 7.9 4.8 0.9 0.4 1.3 - 30 - 사.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취업 경험자 취업 경험자 취업 남자 여자 남자 여자 경험자 남자 여자 < 전 체 > 7,193 3,569 3,624 7,094 3,561 3,533 -99 -8 -91 ◦이직 경험자1) 3) 5,120 2,495 2,625 4,986 2,434 2,552 -134 -61 -73 <71.2> <69.9> <72.4> <70.3> <68.3> <72.3> <-0.9> <-1.6> <-0.1> · 근로여건 불만족 (보수, 근로시간 등) 47.1 49.4 45.0 46.8 47.2 46.4 -0.3 -2.2 1.4 · 개인·가족적 이유 (건강, 육아, 결혼 등) 15.7 13.9 17.4 15.8 14.0 17.5 0.1 0.1 0.1 · 전망이 없어서 9.5 10.4 8.5 7.6 8.5 6.7 -1.9 -1.9 -1.8 · 전공․지식․기술․ 적성 등이 맞지 않음 6.2 6.1 6.2 7.0 7.3 6.8 0.8 1.2 0.6 · 임시적․계절적인 일의 완료 계약기간 끝남 12.8 12.1 13.5 13.6 13.2 14.0 0.8 1.1 0.5 · 직장 휴업 폐업 파산 등 2.1 1.5 2.7 2.4 2.1 2.7 0.3 0.6 0.0 · 그 외2) 6.7 6.5 6.8 6.7 7.7 5.8 0.0 1.2 -1.0 1) 실업․비경제활동인구 포함 2) 창업 또는 가족사업 참여, 일거리가 없거나 회사사정 어려움, 권고사직, 기타 3) < >는 취업 경험자 중 이직을 경험한 자의 비율임 숚 비경제활동인구의 취업시험 준비 (단위: 천명, %, %p) 2023. 5 2024. 5 증감 비경제활동 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비경제활동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인구 남자 여자 < 전 체 > 4,786 2,380 2,406 4,648 2,305 2,343 -138 -75 -63 ◦취업시험 준비자1) 755 413 342 680 393 287 -75 -20 -55 <15.8> <17.4> <14.2> <14.6> <17.1> <12.2> <-1.2> <-0.3> <-2.0> 취업 시험 준비 분야 일반기업체 210 130 79 193 124 69 -16 -6 -10 (27.8) (31.6) (23.2) (28.4) (31.6) (24.1) (0.6) (0.0) (0.9) 언론사 공영기업체 91 48 43 83 55 29 -8 7 -14 (12.1) (11.7) (12.6) (12.3) (13.9) (10.0) (0.2) (2.2) (-2.6) 교원임용 29 4* 25 23 9* 15* -6 5 -10 (3.9) (1.0) (7.3) (3.4) (2.2) (5.1) (-0.5) (1.2) (-2.2) 일반직공무원 217 124 93 163 91 72 -54 -34 -21 (28.7) (30.1) (27.1) (23.9) (23.1) (25.0) (-4.8) (-7.0) (-2.1) 고시 및 전문직 87 47 40 86 48 38 -1 1 -3 (11.5) (11.4) (11.7) (12.6) (12.2) (13.1) (1.1) (0.8) (1.4) 기능분야 자격증 및 기타 121 59 62 132 67 65 11 8 3 (16.0) (14.3) (18.2) (19.4) (17.0) (22.7) (3.4) (2.7) (4.5) 1) < >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시험 준비자 비율, ( )는 취업준비자 내 준비분야별 구성비임 주) * 표시는 상대표준오차 값이 25% 이상으로 이용시 유의해야 함 - 31 - 2. 2024년 5월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주요 통계표 숔 청년층(15~29세) 경제활동상태별 인구 ※ 매년 5월 기준임 (단위: 천명, %) 구분 항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15세 이상 인구 15세이상 인구 43,194 43,571 43,902 44,141 44,460 44,756 45,049 45,245 45,379 45,543 경제활동인구 27,453 27,617 27,987 28,184 28,468 28,209 28,698 29,374 29,623 29,799 쉒취업자 26,431 26,613 26,992 27,064 27,322 26,930 27,550 28,485 28,835 28,915 쉒실업자 1,022 1,004 995 1,121 1,145 1,278 1,148 889 787 884 비경제활동인구 15,741 15,955 15,916 15,956 15,992 16,548 16,351 15,871 15,756 15,744 경제활동참가율 63.6 63.4 63.7 63.9 64.0 63.0 63.7 64.9 65.3 65.4 고용률주1) 61.2 61.1 61.5 61.3 61.5 60.2 61.2 63.0 63.5 63.5 실업률주2) 3.7 3.6 3.6 4.0 4.0 4.5 4.0 3.0 2.7 3.0 청년층 (15~29세) 청년층인구 9,385 9,378 9,302 9,157 9,073 8,934 8,799 8,595 8,416 8,173 비율주3) (21.7) (21.5) (21.2) (20.7) (20.4) (20.0) (19.5) (19.0) (18.5) (17.9) 경제활동인구 4,286 4,375 4,410 4,368 4,390 4,196 4,310 4,425 4,252 4,107 쉒취업자 3,890 3,950 4,003 3,908 3,953 3,770 3,908 4,104 4,005 3,832 비율주4) (14.7) (14.8) (14.8) (14.4) (14.5) (14.0) (14.2) (14.4) (13.9) (13.3) 쉒실업자 397 425 408 460 437 426 402 320 247 276 비율주5) (38.8) (42.3) (41.0) (41.1) (38.1) (33.3) (35.0) (36.0) (31.4) (31.2) 비경제활동인구 5,099 5,004 4,892 4,789 4,683 4,738 4,488 4,170 4,164 4,066 경제활동참가율 45.7 46.6 47.4 47.7 48.4 47.0 49.0 51.5 50.5 50.3 고용률 41.4 42.1 43.0 42.7 43.6 42.2 44.4 47.8 47.6 46.9 실업률 9.3 9.7 9.2 10.5 9.9 10.2 9.3 7.2 5.8 6.7 주1) 고용률(%)=(취업자/15세이상 인구)*100 주2) 실업률(%)=(실업자/경제활동인구)*100 주3) 청년층 인구비율(%)=(15~29세 인구/15세이상 인구)*100 주4) 취업자 비율(%)=(15~29세 취업자/15세이상 취업자)*100 주5) 실업자 비율(%)=(15~29세 실업자/15세이상 실업자)*100 - 32 - 숕 청년층(15~29세) 주요 통계표 ※ 매년 5월 기준임 (단위: 천명, %) 항목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 청년층인구 및 수학상태별 비율(%) 9,385 9,378 9,302 9,157 9,073 8,934 8,799 8,595 8,416 8,173 졸업 (48.6) (49.5) (50.9) (52.3) (53.3) (53.6) (53.5) (54.6) (53.7) (53.4) 재학 (45.5) (44.7) (43.9) (42.8) (41.8) (42.0) (41.5) (40.9) (42.2) (42.8) 휴학 (5.9) (5.7) (5.2) (4.9) (4.9) (4.4) (4.9) (4.4) (4.0) (3.7) ○ 대학 졸업 소요기간 4년 1.4개월 4년 2.5개월 4년 2.3개월 4년 2.7개월 4년 2.8개월 4년 3개월 4년 3.4개월 4년 3.7개월 4년 3.3개월 4년 3.8개월 남 자 5년 2.1개월 5년 3.3개월 5년 2.3개월 5년 2.4개월 5년 1.1개월 5년 0.7개월 5년 0.5개월 5년 1.0개월 5년 1.3개월 5년 1.4개월 여 자 3년 5.3개월 3년 6.2개월 3년 6.3개월 3년 6.9개월 3년 7.6개월 3년 8.3개월 3년 8.7개월 3년 9.0개월 3년 8.2개월 3년 9.0개월 ○ 휴학경험 있음 1,154 1,272 1,262 1,298 1,360 1,373 1,371 1,332 1,293 1,287 (40.3) (44.4) (43.1) (44.4) (45.8) (47.0) (48.1) (46.6) (45.8) (46.8) 남 자 855 897 917 913 957 922 917 912 886 846 (76.4) (79.3) (77.9) (77.7) (77.9) (76.5) (75.4) (75.9) (75.5) (74.5) 여 자 299 375 345 385 403 451 454 420 407 441 (17.1) (21.6) (19.7) (22.0) (23.2) (26.3) (27.8) (25.3) (24.6) (27.3) ○ 평균 휴학 기간 2년 2.5개월 2년 1.9개월 2년 1.9개월 2년 1개월 2년 0.3개월 1년 11.7개월 1년 11.5개월 1년 11.9개월 1년 11.3개월 1년 10.5개월 남 자 2년 6.4개월 2년 6.5개월 2년 5.8개월 2년 5.1개월 2년 4.2개월 2년 4개월 2년 4.1개월 2년 3.8개월 2년 3.4개월 2년 3.1개월 여 자 1년 3.4개월 1년 2.8개월 1년 3.4개월 1년 3.3개월 1년 3.1개월 1년 3.1개월 1년 2.2개월 1년 3.4개월 1년 2.3개월 1년 1.5개월 ○ 첫 취업 평균 소요기간 10.0개월 10.2개월 10.6개월 10.7개월 10.8개월 10.0개월 10.1개월 10.8개월 10.4개월 11.5개월 ○ 첫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 1년 5.4개월 1년 5.6개월 1년 5.6개월 1년 5.9개월 1년 5.3개월 1년 5.5개월 1년 6.2개월 1년 6.8개월 1년 6.6개월 1년 7.2개월 첫 일자리를 그만둔 경우 1년 1.6개월 1년 1.8개월 1년 1.7개월 1년 1.9개월 1년 1.6개월 1년 1.8개월 1년 2개월 1년 2.3개월 1년 2.4개월 1년 2.8개월 첫 일자리가 현 직장인 경우 1년 11.9개월 1년 11.5개월 2년 0.1개월 2년 0.5개월 2년 0.8개월 2년 2.1개월 2년 3.2개월 2년 3.2개월 2년 3개월 2년 4개월 - 33 - 부록1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개요 □ 조사목적 ◦ 청년층의 취업실태를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고용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 □ 추진과정 ◦ 청년층 부가조사 실시 (2004 ~ 현재, 매년 5월) □ 조사개요 ◦ 조사대상 : 경제활동인구조사 대상 가구원 중 5월 15일 기준 만 15~34세 연령층 ◦ 조사대상기간 : 5월 15일이 포함된 1주간(일요일~토요일) ◦ 조사실시기간 : 조사대상기간 다음주간 ◦ 조사항목 : 24개 항목 - 가장 최근에 다닌 학교 쉒입학․편입시기 및 졸업․중퇴․휴학시기 쉒학제 쉒재학 중 휴학유무 및 사유 쉒편입여부 및 시기 - 학교교육 외 직업훈련 경험여부 및 시기 - 직업훈련 기관 - 취업시험 준비 여부 및 분야 - 재학․휴학 중 직장체험(취업포함) 유무 및 형태 - 재학․휴학 중 직장체험(취업 포함) 기간 - 졸업(중퇴) 후 취업횟수 - 첫 직장 쉒종사상 지위 쉒취업 당시 월평균 임금(수입) 쉒취직․이직시기 쉒이직사유 쉒산업 쉒직업 - 직장 취업경로 - 전공과의 일치정도 - 미취업기간 - 미취업 기간 동안 활동상태 - 34 - 부록2 한국표준 산업 ‧ 직업 분류 □ 한국표준 산업분류 A 농업, 임업 및 어업 ▪ 01 농업 ▪ 02 임업 ▪ 03 어업 B 광업 ▪ 05 석탄,원유 및 천연가스 광업 ▪ 06 금속 광업 ▪ 07 비금속광물 광업; 연료용 제외 ▪ 08 광업 지원 서비스업 C 제조업 ▪ 10 식료품 제조업 ▪ 11 음료 제조업 ▪ 12 담배 제조업 ▪ 13 섬유제품 제조업; 의복 제외 ▪ 14 의복, 의복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 15 가죽, 가방, 신발 제조업 ▪ 16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 17 펄프,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 18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 ▪ 19 코크스, 연탄 및 석유정제품 제조업 ▪ 20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 21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22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23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 24 1차 금속 제조업 ▪ 25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 26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 27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시계 제조업 ▪ 28 전기장비 제조업 ▪ 2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 3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 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 32 가구 제조업 ▪ 33 기타 제품 제조업 ▪ 3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D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공급업 ▪ 35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E 수도, 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 36 수도업 ▪ 37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38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 39 환경정화 및 복원업 F 건설업 ▪ 41 종합 건설업 ▪ 42 전문직별 공사업 G 도매 및 소매업 ▪ 45 자동차 및 부품 판매업 ▪ 46 도매 및 상품 중개업 ▪ 47 소매업; 자동차 제외 H 운수 및 창고업 ▪ 49 육상 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 ▪ 50 수상운송업 ▪ 51 항공운송업 ▪ 52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 I 숙박 및 음식점업 ▪ 55 숙박업 ▪ 56 음식점 및 주점업 J 정보통신업 ▪ 58 출판업 ▪ 59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 60 방송업 ▪ 61 우편 및 통신업 ▪ 6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 63 정보서비스업 K 금융 및 보험업 ▪ 64 금융업 ▪ 65 보험 및 연금업 ▪ 66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L 부동산업 ▪ 68 부동산업 M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 70 연구개발업 ▪ 71 전문 서비스업 ▪ 72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 73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N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74 사업시설 관리 및 조경 서비스업 ▪ 75 사업지원 서비스업 ▪ 76 임대업; 부동산 제외 O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 8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P 교육 서비스업 ▪ 85 교육 서비스업 Q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86 보건업 ▪ 87 사회복지서비스업 R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90 창작, 예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 91 스포츠 및 오락관련 서비스업 S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94 협회 및 단체 ▪ 95 개인 및 소비용품 수리업 ▪ 96 기타 개인 서비스업 T 가구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않은 자가소비 생산활동 ▪ 97 가구내 고용활동 ▪ 98 달리 구분되지 않은 자가소비를 위한 가구의 재화 및 서비스 생산활동 U 국제 및 외국기관 ▪ 99 국제 및 외국기관 ※ 한국표준산업분류 제10차 개정(2017년) 기준임 - 35 - □ 한국표준 직업분류 1 관리자 ▪ 11 공공 기관 및 기업 고위직 ▪ 12 행정․경영 지원 및 마케팅 관리직 ▪ 13 전문 서비스 관리직 ▪ 14 건설․전기 및 생산관련 관리직 ▪ 15 판매 및 고객서비스 관리직 ˚ 예) 국회의원, 기획관리자, 대학총장, 부서 관리자, 회원단체관리자 등 2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 21 과학 전문가 및 관련직 ▪ 22 정보 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 ▪ 23 공학 전문가 및 기술직 ▪ 24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 25 교육 전문가 및 관련직 ▪ 26 법률 및 행정 전문직 ▪ 27 경영․금융전문가 및 관련직 ▪ 28 문화․예술․스포츠 전문가 및 관련직 ˚ 예) 생명과학연구원, 시스템개발자, 건축가, 의사, 교수, 변호사, 관세사, 작가 등 3 사무 종사자 ▪ 31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 ▪ 32 금융 사무직 ▪ 33 법률 및 감사 사무직 ▪ 39 상담․안내․통계 및 기타 사무직 ˚ 예) 행정사무원, 보험심사원, 특허사무원, 모니터요원 등 4 서비스 종사자 ▪ 41 경찰∙소방 및 보안 관련 서비스직 ▪ 42 돌봄∙보건 및 개인 생활 서비스직 ▪ 43 운송 및 여가 서비스직 ▪ 44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 예) 경호원, 간병인, 여행안내원, 조리사 등 5 판매 종사자 ▪ 51 영업직 ▪ 52 매장 판매 및 상품 대여직 ▪ 53 통신 및 방문․노점 판매 관련직 ˚ 예) 보험설계사, 매장계산원, 텔레마케터 등 6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 61 농∙축산 숙련직 ▪ 62 임업 숙련직 ▪ 63 어업 숙련직 ˚ 예) 병아리감별사, 벌목원, 해녀 등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71 식품가공 관련 기능직 ▪ 72 섬유∙의복 및 가죽 관련 기능직 ▪ 73 목재∙가구∙악기 및 간판 관련 기능직 ▪ 74 금속성형 관련 기능직 ▪ 75 운송 및 기계 관련 기능직 ▪ 76 전기 및 전자 관련 기능직 ▪ 77 정보 통신 및 방송장비 관련 기능직 ▪ 78 건설 및 채굴 관련 기능직 ▪ 79 기타 기능 관련직 ˚ 예) 제빵원, 재단사, 악기수리원, 용접원, 자동차 정비원, 전기공, 도배공, 인터넷수리원, 방역원 등 8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81 식품가공 관련 기계 조작직 ▪ 82 섬유 및 신발 관련 기계 조작직 ▪ 83 화학 관련 기계 조작직 ▪ 84 금속 및 비금속 관련 기계 조작직 ▪ 85 기계 제조 및 관련 기계 조작직 ▪ 86 전기 및 전자 관련 기계 조작직 ▪ 87 운전 및 운송 관련직 ▪ 88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관련 기계 조작직 ▪ 89 목재․인쇄 및 기타 기계 조작직 ˚ 예) 도정기조작원, 직조기조작원, 사출기조작원, 판금기 조작원, 자동조립라인조작원, 발전터빈조작원, 자동차운전원, 소각로조작원, 인쇄기조작원 등 9 단순노무 종사자 ▪ 91 건설 및 광업 관련 단순 노무직 ▪ 92 운송 관련 단순 노무직 ▪ 93 제조 관련 단순 노무직 ▪ 94 청소 및 경비 관련 단순 노무직 ▪ 95 가사․음식 및 판매 관련 단순 노무직 ▪ 99 농림∙어업 및 기타 서비스 단순 노무직 ˚ 예) 건설단순노무자, 배달원, 포장원, 경비원, 가사도우미, 검침원 등 ※ 한국표준직업분류 제7차 개정(2018년) 기준임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차 충전기 등급제 도입으로 소비자 선택권 강화한다! (0) | 2024.07.16 |
---|---|
농림축산식품부, 7월 소(牛)프라이즈! 이제는 투뿔(1++)까지 최대 50% 할인 (2) | 2024.07.16 |
MBC ‘후쿠시마 오염수의 진실’ 비판 보도는 오보, 법원 “뉴스데스크에서 정정 보도하라“ (1) | 2024.07.16 |
국토교통부, 3기 신도시 전체 사업의 정상추진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0) | 2024.07.16 |
국토교통부, '24년 서울 아파트 준공물량은 2배 이상 증가, 앞으로도 충분한 주택공급을 위해 정책역량을 최대한 모아나가겠습니다 (0) | 2024.07.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