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광역버스 확대, BRT, 급행버스 도입… 수도권 남부지역 출퇴근길 최대 30분 빠르게

by 플래닛디 2024. 5. 2.
728x90
반응형
728x170
SMALL
2

3
4
5

6
7
8

9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 2024. 5. 2.(목) 11:00 이후(5. 3.(금) 조간) / 배포 : 2024. 5. 2.(목) 광역버스 확대, BRT, 급행버스 도입…수도권 남부지역 출퇴근길 최대 30분 빠르게- 2층 전기버스 및 출퇴근 전세버스 등 확대로 1일 수송력 약 1.8만명 증가- 버스전용차로 도입(△24분), BRT(△14분)‧급행버스(△30분)으로 운행시간 단축- 양재역 환승센터 추진, 평택 고덕 집중투자사업 연내 본격 공사 발주·착공□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수도권 남부지역 교통편의 제고방안을 발표한다. ㅇ 이번 방안은 대통령 주재로 열린 여섯 번째 민생토론회(1.25)에서 발표한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의 후속으로 “출퇴근 30분 시대” 실현을 위해마련되었다. □ 수도권 남부지역*은 2기 신도시 등 다수 개발사업이 진행됨에 따른 인구집중으로 여러 도시(수원‧용인‧화성 등) 인구가 100만명에 육박하는 등 4개 권역 중 서울로 통행량이 가장 높은 권역**이다. * 과천, 광명, 군포,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성, 안양, 오산, 용인, 의왕, 평택, 화성(이상 14개 기초지자체) ** (’23년 서울 1일 통행량, 천통행) 동부권 611, 서부권 863, 남부권 1,612, 북부권 683 ㅇ 특히, 신분당선, 수인분당선, 지하철 1‧4호선 등 다수 광역철도를 운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퇴근 인구가 많아 광역버스 이용객수*는 他 지역 대비 높은 수준이다. * (‘23년 광역버스 1일 이용객수, 명) 동부권 101,754, 서부권 56,214, 남부권 329,292, 북부권 99,587 - 제한된 광역버스 공급에 따른 높은 만차율*로 남부지역 주민들은 출· 퇴근 등 과정에서 교통 불편을 겪어왔다. * (권역별 광역버스 만차율) 수도권 전체 22.1%, 남부권 29.7% - 2 - ㅇ 이에 대광위는 광역버스 의존도가 높은 남부지역 교통편의 제고를위해 2층 전기버스 등 광역버스를 대폭 확충하고, 버스 속도 제고 등 버스 서비스 개선을 핵심 내용으로 단기 대책을 마련하였다. □ 이번 수도권 남부지역 교통편의 제고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광역버스 수송력 확대) ’24년 2층 전기버스 전체 물량(50대) 중 40대(80%)를 4월부터 12월까지 수원‧화성‧용인 등에 단계적으로 투입한다. 출퇴근 전세버스도 만차 운행이 잦은 노선‧지역에 집중 배차한다. * 1일 광역버스 수송력이 약 18,400명 추가 확대될 전망 【 남부지역 2층 전기버스 투입 계획(‘24.4~12 단계적 투입) 】 지역 수원 화성 용인 오산 안산 시흥대수 10대 10대 14대 1대 3대 2대투입 노선 (주요 운행 지역) 3008(4대) (수원터미널, 광교) G5100(5대) (경희대, 영통) 7800(1대) (호매실, 서수원터미널) M4130(3대) M4137(3대) M4448(2대) (동탄 2 지구) 7790(2대) (봉담 2 지구) 5000(5대) 5001(1대) 5003(8대) (명지대, 강남대, 용인시청 인근) 5300(1대) (오산역 인근) 5609(3대) (상록구 인근) 3200(2대) (신천역, 시흥대야역 인근) 【 남부지역 출퇴근 전세버스 투입 현황(운행 중) 】 지역 수원 화성 용인 오산 안산 시흥 안양 군포운행횟수 (노선수) 103회 (8개) 12회 (3개) 55회 (9개) 18회 (3개) 1회 (1개) 14회 (6개) 4회 (1개) 4회(1개) 주요 투입노선 (주요운행지역) 7780 (호매실) 7770 (수원역) 8156 (향남) 6002 (동탄 2) 5500-2 (상현‧수지) 5003A‧B (용인시청) 5300 (오산역) 5200 (오산대역) 5609 (상록구 인근) 3301 (시흥능곡역) M6410 (배곧신도시) 1650 (안양역, 범계역 인근) 6501 (산본역 인근) □ (수요 맞춤형 공급 확대) 지자체 수요 및 대중교통 이용객 목적지 분석을토대로 광역버스 추가 노선 신설 및 증차를 추진한다. 교통사각지대에는 광역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도입하는 등 수요 맞춤형 공급을확대한다. ㅇ 대중교통 이용객 목적지 분석(교통카드 OD자료)을 토대로 수요 맞춤형 출퇴근 전세버스 등을 추가 투입(용인‧시흥‧성남‧화성 등 14회 규모) 하고,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한 광역버스 노선신설*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 지자체 수요를 토대로 노선위원회(6월)를 거쳐 확정할 예정(5개 노선 이내) - 3 - ㅇ 교통사각지대 또는 입주 초기 등 사유로 수요 부족에 따라 정규노선 신설이 곤란한 지역에 대해서는 광역 DRT를 운영*한다. * (수원) 당수지구~양재역(3대, `24.2~), (용인) 서울병원~양재역(2대, `24.1~) - 나아가 여객자동차법 시행령 개정(`24.7)으로 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추후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ㅇ GTX-A 개통(‘24.3)에 따라 동탄역 중심으로 연계 교통도 확대할 계획이다. 동탄신도시 외곽지역은 동탄역까지 노선 부재 또는 긴 배차간격으로 GTX-A 이용에 불편이 있었던 만큼, 7개 노선(출퇴근 시 각 3회 운행, 10~15분 간격)을 추가 확충하여, GTX-A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 최대 6백~1천명 GTX-A 수요 증대 전망 【 동탄역 대중교통 추가 확충(안) 】 동탄권(5개 노선, #1~5) 서부권(2개 노선, #6~7) ※ 세부 노선은 추후 확정될 예정 □ (광역버스 속도 및 서비스 제고) 남부지역 광역버스 이용객의 출퇴근 시간 단축을 위해 광역버스 속도 및 서비스를 제고한다. ㅇ 지방도 309호선 청계 IC에서 과천 IC까지 총 6.3km 구간에 시간제 버스전용차로*를 경기도와 협의하여 도입할 예정이다(’25.下). * 왕복 8차로 구간으로 06~09시, 17~20시 양방향 버스전용차로 도입 - 이를 통해, 사당‧양재역 등으로 이동하는 수도권 남부지역 총 27개 노선버스(103대/시, 일 승차인원 약 7만명 이용 추정)의 출퇴근 운행시간이 최대 24분(29→5분) 단축될 전망이다. - 4 - - 또한, 경기도에서는 ’30년 이후 수도권 남부지역 신도시 입주가 계획되어 있는 만큼 중장기적으로 해당 도로의 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하는 한편, 남부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추가 도로 신설도 검토할 예정이다. ㅇ 성남시에는 구도심(남한산성)에서 서울 복정역까지 총 10.2km 구간에 대해 BRT(Bus Rapid Transit)를 도입*한다. - 이를 통해 총 67개 노선 버스(일 승차인원 약 8만명 이용 추정)의 운행시간이 최대 14분(31→17분) 단축될 전망이다. * 대광위에서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여, ‘24년 착공 → ’25년 1단계(모란역~남한산성, 5.2km) → ‘26년 2단계(모란역~복정역, 5.0km) 순차적으로 개통 예정【 지방도 309호선 및 성남 BRT 노선도(안) 】 지방도 309호선 성남 BRT ㅇ 수원(1개), 용인(2개) 일반 광역버스 노선에는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급행버스를 최초로 도입한다. 기존 노선 대비 운행시간은 최대 30분 단축*된다. * (수원) 1112번(경희대~강변역) 20분 단축(85분 → 65분) (용인) 5001-1번(명지대~신논현) 20분 단축(85분 → 65분), 5600번(명지대~강변역) 30분 단축(115분 → 85분) - 특히, 일반 이용객 불편이 없도록 추가 증차분을 활용하여 급행버스를 운행할 계획이다. ㅇ 또한, 남부지역은 높은 만차율로 인해 광역버스 이용객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는 만큼, 좌석예약제 적용노선 및 횟수도 대폭 확대(노선37→53, 횟수81→118) 한다. * (1단계) 4.22(월)~, +26회 / (2단계) 5월(급행화 연계), +6회 / (3단계) 6.10(월)~, +11회 - 5 - ㅇ 지난해 말 명동 등에서 문제가 되었던 도심 내 광역버스 혼잡 문제해소를 위해 광역버스 노선을 분산 및 조정*할 예정이다. * 별도 보도자료 배포 ☞ “명동‧강남 퇴근길, 광역버스 노선조정으로 상습 정체 해소” - 명동 경유 광역버스 노선은 회차경로(남산터널 → 소월길) 및 정류장을 조정(남대문세무서 → 명동성당)한다. 남대문세무서를 통과하는 광역버스 대수를시간당 143대에서 106대로 감소, 운행시간(서울역 ~순천향대병원 구간)을 최대 8분 단축(36→28분)할 계획이다. * 남부지역 대상 광역버스 노선은 성남 2개, 화성 4개, 용인 7개 - 강남 경유 광역버스 노선은 역방향 운행 및 가로변 전환으로 조정한다. 강남역 인근 강남 중앙차로를 통과하는 광역버스 대수를 시간당 198대에서 145대로 완화하여, 운행시간(신사~뱅뱅사거리)을 약 12분 단축(51분 → 39분)할 계획이다. * 남부지역 대상 광역버스 노선은 용인 5개, 화성 6개 【 남부권 광역버스 노선변경(안) 】 지역 기존 개선 (명동) 소월길 회차 (강남) 역방향 운행 (강남) 가로변 전환 - 6 - □ (광역교통시설 본격 공급) 서울 주요 거점인 양재역에 복합환승센터를 구축하고, 민생토론회에서 발표한 남부지역 집중투자사업도 본격 추진하는 등 광역교통시설 공급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ㅇ 먼저, 3호선‧신분당선 및 다수 광역버스, 장래 GTX-C도 운행되는 교통허브로서 수도권 남부지역에서 서울로 진입하는 핵심 거점인 양재역에서초구청사 복합개발과 연계한 복합환승센터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 - 올해 5월 대광위와 서초구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공동용역을 시작하여 ’25년초 기본계획 수립, ’27년 착공, ’30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될 예정이다. ㅇ 4대 권역별 집중투자사업도 본격 추진한다. - 평택 고덕지구 집중투자사업(2개*)은 지자체와의 노선 갈등, 주민집단 민원 등으로 수년간 지연된 사업으로서 신도시 광역교통 개선 TF (2.27 발족)에서 갈등조정 및 신속 인‧허가 등 사업 신속 추진을 위한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한 결과, 올 하반기 공사착공에 들어간다. * 1) 국제화계획지구~국도 1호선~동부우회도로 신설(총사업비 2,129억원) 2) 지방도 314호선~지방도 306호선~송탄고가교 신설‧확장(총사업비 794억원) - 평택 고덕지구와 인근 주요 간선도로(경부고속도로, 국도 1호선 등) 간 운행거리가 단축되어, 고덕지구 입주민의 교통편의가 더욱 개선될 예정이다. 【 평택 고덕지구 집중투자사업 노선도 및 개선효과 】 지구 집중투자사업 주요 개선 효과 평택 고덕 ① 북측 지방도 306호선 및 314호선에 대한 고덕지구 입주민 접근성 개선(지방도 314호선까지 거리가 약 2.5km 단축) ② 동측 주요 간선도로인 국도 1호선 및 동부우회도로의 고덕지구 입주민 접근성 개선 (동부우회도로까지 거리가 약 3.4km 단축) ㅇ 집중투자사업 외에 남부지역 개발지구 내 주요 교통인프라 사업도 연내 발주 및 착공(3개 지구 5개 사업*)하여 입주민의 교통편의를 제고한다. - 7 - * (화성 태안 3) 국지도 84호선 확장, (안산 장상) 장하역 환승시설 설치 (오산 세교 2) 오산역 환승주차장 건설, 오산역 환승주차장 연결도로 신설, 경부선 철도 횡단도로 개설 - 이들 교통인프라 사업의 착공을 통해 개발사업 지구에서 간선도로 등 인근 광역교통시설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다. 【 연내 발주·착공 사업 】 □ 대광위 강희업 위원장은 “이번 「수도권 남부지역 교통편의제고 방안」을 통해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도권 남부지역 주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출퇴근 교통환경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지구 사업 주요 개선 효과 화성 태안 3 ‣ 지구 동서 방향 주요 간선도로 확장을 통해 국도 1호선 및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 등으로 신속 접근 가능 안산 장상 ‣ 개발지구 내 신안산선(안산~여의도) 역사(장하역) 환승시설의 적기 준공으로 장래 개발지구 입주민의 지구 내 철도 접근성 개선 오산 세교 2 ‣ ①, ② : 지구 인접 철도(오산역) 이용 편의(오산역까지 거리가 약 1.0km 단축) 개선 * 지구 개발로 증가하는 교통수요(15,656인/일) ‣ ③ : 입주민의 서울 통행을 위한 국도 1호선 및 경부고속도로 접근성 개선 (국도 1호선 및 경부고속도로까지의 거리가 약 1.5km 단축) - 8 - ㅇ 아울러, 강 위원장은 “지난 민생토론회 때 약속한 수도권 全 지역 출· 퇴근 30분 시대 실현을 위해 앞으로 북부권 및 동부권 교통대책 등도 조속히 마련하겠다”라고 덧붙였다. 담당 부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책임자 과 장 김혜진 (044-201-5045) (총 괄) 광역교통정책과 담당자 서기관 권호정 (044-201-5046) 담당자 사무관 박수진 (044-201-5057) 광역버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책임자 과 장 배소명 (044-201-5065) 광역버스과 담당자 사무관 황성필 (044-201-5069) 담당자 사무관 김지수 (044-201-5067) 광역 DRT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책임자 과 장 방현하 (044-201-5100) 광역시설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현혜지 (044-201-5108) 전용차로 등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책임자 과 장 김충범 (044-201-5115) 광역도로과 담당자 사무관 홍성한 (044-201-5121) 환승시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책임자 과 장 홍성준 (044-201-5130) 광역환승과 담당자 사무관 박정곤 (044-201-5136) 연계교통 국토교통부 책임자 과 장 이재평 (044-201-3804) 교통정책총괄과 담당자 사무관 김광수 (044-201-3791) - 9 - 참고 남부권 대책 요약 및 지역별 기대효과 지역 기대효과 군포 ① (광역버스 확충) 176명/일 성남 ① (광역버스 확충) 176명/일, ② (BRT) 67개 노선버스 운행시간 △14분, ③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수원 ① (광역버스 확충) 5,753명/일, ② (급행버스) 1112번(경희대~강변역) 운행시간 △20분③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시흥 ① (광역버스 확충) 904명/일 안산 ① (광역버스 확충) 278명/일, ② (교통시설) 장상지구 장하역(신안산선) 이용편의 개선안성 ① (광역버스 확충) 1,496명/일 안양 ① (광역버스 확충) 176명/일, ②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오산 ① (광역버스 확충) 927명/일, ② (교통시설) 오산역 및 경부고속도로 등 접근성 개선 ③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용인 ① (광역버스 확충) 4,261명/일, ②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③ (급행버스) 5001-1번(명지대~신논현) 운행시간 △19분, 5600(명지대~강변역) △30분 평택 ① (광역버스 확충) 2,288명/일, ② (교통시설) 고덕지구 국도 1호선 등 접근성 개선화성 ① (광역버스 확충) 1,966명/일, ② (GTX-A 연계) 최대 1천명/일 GTX-A 접근성 개선③ (좌석예약제) 대기시간 최소화 ① (지방도 309호선 전용차로) 사당‧양재역 行 광역버스 운행시간 약 24분 단축 가능 - 화성 10개, 수원 8개, 시흥 5개, 과천‧안양‧의왕‧군포 1개, 안산 : 안산 2개, 용인 1개 ② (도심 혼잡 완화) 명동‧강남행 광역버스 운행시간 약 12분 단축 가능 - (명동행) △12분 * 명동 → 판교 퇴근 시 57분 → 45분 소요 전망 - (강남행) △12분 * 강남 → 용인 퇴근 시 45분 → 33분 소요 전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