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ZORqx/btsGrRue2I3/fDqMjgSgAscy2A3bRqIN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QbC0/btsGq0rAt5W/lsJmU3nJJn2VUueWLooXZ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Tj0B/btsGqizLE9Z/kTNDlJ7dlG8NfxSBD7l0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k41Qx/btsGragv9xj/zvg74QRxIULCuCOEcGcnW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omit/btsGqumuxot/5khxyB0rmThVJZjyffoyA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PZs2/btsGq9aQmMo/FhLVclKhH03LlwZue5ep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VgB3/btsGp159vrn/kShlt7WsiXCllXbllz1o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8aGrU/btsGqufHhi6/HDW7heVe2SYM0dFSnHAGG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tjYI/btsGqP4TJHa/rMUDsGIoFPdlnv6Unuxyk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RrNQ/btsGrSUeC0S/Rnq0ZZbg1Qn2S3OMhUEK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gC6l/btsGqlwtN1s/g9kY9VUPsV3qmlPfdw0Y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Sd7zN/btsGrSUeC4p/YN8n9krVrG9zz2UaEtVaM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oZ0c/btsGq8weiWO/3hVMOtx6ogUPMC3E1WSH61/img.png)
- 1 - 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4. 7.(일) 12:00 < 4. 8.(월) 조간 > / 배포 2024. 4. 5.(금) 08:30 ※ 주말 엠바고 주의 : 4월 7일 (일요일) 낮 12시부터 보도가능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31개 가구 제조·판매업체들(이하 ‘가구업체들’)*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약 10년간 24개 건설사들이 발주한 총 738건의 특판가구 구매입찰과 관련하여 사전에 낙찰예정자를 합의하거나 투찰가격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담합한 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931억 원(잠정금액)을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 ㈜현대리바트, ㈜한샘, ㈜에넥스, ㈜한샘넥서스, ㈜넵스, ㈜넥시스디자인그룹, ㈜케이씨씨글라스, ㈜현대엘앤씨, ㈜선앤엘인테리어, ㈜리버스, ㈜우아미, ㈜꿈그린, ㈜위다스, ㈜대주, ㈜파블로, ㈜내외, 베스띠아㈜, ㈜매트프라자, ㈜비앤드케이, ㈜에몬스가구, ㈜에스에프훼미리, ㈜제노라인, ㈜에넥스잠실특판, ㈜동명아트, ㈜한샘특판부산경남대리점, ㈜스페이스맥스, 제스디자인㈜, ㈜라비채, ㈜보루네오특판사업, ㈜한특퍼니쳐, ㈜세한프레시젼(이하 ㈜ 생략) 빌트인 특판가구란 싱크대, 붙박이장처럼 신축 아파트·오피스텔에 설치되는 가구로서, 그 비용은 아파트 등의 분양원가에 포함되어 있다. 국내 건설사들은 특판가구를 구매할 때 등록된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지명경쟁입찰을 실시하여 최저가 투찰 업체와 계약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구업체의 건설사별 영업담당자들은 입찰에 참여하기 전에 모임 또는 유선 연락 등을 통해 낙찰예정자·들러리 참여자·입찰가격 등을 합의하였다. 이후 합의된 낙찰예정자는 이메일, 카카오톡 등을 통해 들러리사에 견적서를 전달하고, 들러리사는 견적서 그대로 또는 견적서상 금액을 일부 높여서 투찰하는 방식으로 합의를 실행하였다. 빌트인 특판가구 입찰담합 제재- 31개 사업자가 총 24개 건설사 발주 빌트인 특판가구 구매입찰에서 낙찰예정자, 입찰가격 등을 합의한 행위에 대하여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 - 2 - 또한, 가구업체들은 낙찰확률을 높이거나 입찰참가자격을 유지할 목적으로낙찰예정자를 명시적으로 합의하지 않고 견적서 교환을 통해 입찰가격만을 합의하기도 하였다. 이때에도 견적서를 제공받은 업체는 견적서상의 금액 그대로 또는 그보다 높은 금액으로 투찰하였다. 이 사건은 국내 주요 가구업체들이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인 범위에서 이루어진 고질적인 담합으로 관련매출액*이 약 1조 9,457억 원에 달하며, 대다수 국민들의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분양원가 상승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것으로 평가된다. * 입찰담합에서의 관련 매출액은 담합이 이루어진 입찰의 계약금액 합계액임 이번 조치는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속되어 온 특판가구 입찰담합을 제재한 사례로서 이를 통해 가구업계의 고질적인 담합 관행이 근절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본 사안에 대해서는 검찰의 고발요청에 따라 2023. 4. 13. 8개 가구업체 및 12명의 전현직 임직원을 고발한 바 있으며, 현재 형사재판이 진행 중임 공정위는 앞으로도 의식주 등 민생과 밀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담합에대한 감시를 강화하여 기업간 경쟁을 촉진하고,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특판가구 입찰담합 건’ 세부 내용 담당 부서 카르텔조사국 제조카르텔조사과 책임자 과 장 오행록 (044-200-4533) 담당자(총괄) 사무관 박수현 (044-200-4545) 카르텔조사국 입찰담합조사과 담당자 사무관 최유경 (044-200-4721) 카르텔조사국 국제카르텔조사과 담당자 사무관 황규희 (044-200-4571) 카르텔조사국 서비스카르텔조사팀 담당자 사무관 김혜련 (044-200-4756) 기획재정담당관실 담당자 서기관 김진업 (044-200-4247) - 3 - 붙임 ‘특판가구 입찰담합 건’ 세부 내용 1 특판가구의 개념 및 시장현황 □ (특판가구의 개념) 특판가구란 아파트·오피스텔 등 대단위 공동주택의건축사업에서 건설사 및 시행사를 대상으로 공급하는 빌트인 가구를 의미한다. ㅇ 특판가구는 크게 ‘주방가구’와 ‘일반가구’로 분류된다. 주방가구에는 싱크대, 상부장, 하부장, 냉장고장, 아일랜드장 등이 있고, 일반가구에는 붙박이장, 거실장, 신발장 등이 있다. * 통상 규모가 큰 가구업체는 주방·일반가구 모두 제조할 수 있으나, 소규모 가구업체는 일반가구만 제조하는 경우가 많음 <특판가구의 종류> 주방가구 일반가구 * 출처 : 현대리바트 홈페이지 □ (시장현황) 특판가구 시장은 B2B 시장으로서, 발주처가 공동주택 현장별로 입찰을 실시하여 업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업체가 가구를납품하는 방식으로 거래가 진행된다. ㅇ 특판가구 시장은 2014년 이래로 한샘, 현대리바트, 에넥스 3강 체제로유지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31개 가구업체들의 빌트인 특판가구부문 매출현황은 <표1>과 같다. - 4 - 순번 회사명 평균 매출액 (‘20~’22년) 순번 회사명 평균 매출액(‘20~’22년) 1 현대리바트 284,685 17 위다스 20,273 2 한샘 235,200 18 스페이스맥스 19,782 3 에넥스 158,714 19 파블로 17,419 4 한샘넥서스 106,885 20 꿈그린 14,598 5 넵스 81,694 21 매트프라자 13,673 6 넥시스디자인그룹 78,727 22 현대엘앤씨 13,234 7 우아미 60,761 23 한특퍼니쳐 7,490 8 에몬스가구 41,578 24 동명아트 6,632 9 선앤엘인테리어 35,236 25 제스디자인 5,308 10 SF훼미리 34,054 26 에넥스잠실특판 5,018 11 베스띠아 33,949 27 라비채 4,771 12 제노라인 30,775 28 내외 3,647 13 리버스 29,722 29 세한프레시젼 954 14 한샘특판부산경남 24,568 30 보루네오특판 300 15 비앤드케이 21,634 31 케이씨씨글라스 276 16 대주 20,474 - <표1> 31개 가구업체들의 빌트인 특판가구 부문 매출현황 (단위: 백만 원) * 출처 : 가구업체들 제출자료 2 빌트인 특판가구 입찰방식 개관 □ 특판가구 입찰은 대부분 최저가 지명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되며, 건설사들은 협력업체 풀을 정해놓는 경우가 많아 건설사별로 입찰참여업체들이 달라진다. ㅇ 이에 따라 가구업체들은 대부분 건설사별로 영업 담당자를 지정해놓고 입찰에 참여하게 된다. □ 입찰유형별로 연간단가 입찰 및 현장별 입찰로 구분된다. ㅇ 연간단가 입찰은 낙찰순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물량을 배분하는 방식인데 통상 1순위자의 투찰가격(최저가)으로 단가가 결정된다. ㅇ 현장별 입찰은 개별 현장별로 실시되는 입찰이다. - 5 - 3 담합의 배경 □ (건설경기) 2008년 금융위기 여파로 2010년경까지 위축되어 있던 건설경기가 2011년 이후 활성화되면서 아파트 입주 물량이 대폭 증가하였고 중소형 가구업체들이 특판가구 시장에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ㅇ 이를 계기로 기존에 대형 가구업체 위주로 유지되던 특판가구 시장의 경쟁이 심화되었고, 가구업체들 간에 출혈경쟁을 피하고자 하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표2> 전국 공동주택 분양승인 실적 현황 (단위: 호) 년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실적 296,823 255,134 230,625 200,958 284,923 297,964 298,851 344,887 년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실적 525,467 469,058 311,913 282,964 314,308 349,029 336,533 289,537 * 출처 : 국토교통부 □ (입찰특성) 대부분의 건설사들은 가구업체들의 입찰참가 실적, 투찰가격, 신용평가결과 등을 토대로 입찰참가 자격을 유지하거나 제한하기도 하므로, 가구업체들은 입찰참가 자격 유지를 위해 낙찰을 희망하지 않는 입찰에 대해서도 투찰할 필요가 있었다. ㅇ 이 과정에서 가구업체들은 입찰에는 참여하면서도 견적서 작성에 드는 노력은 줄이기 위하여 낙찰 희망업체와 담합할 유인이 있었다. ⇒ 가구업체들은 경쟁 심화로 인한 저가수주 방지, 입찰참가자격 유지 등을 목적으로 이 사건 공동행위를 합의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 6 - 4 법 위반 내용 □ (개요) 총 31개 가구업체들은 2012년 ~ 2022년까지* 24개 건설사들이발주한 총 738건 입찰에서 사전에 모임 또는 유선연락 등을 통해 낙찰예정자·낙찰순번 또는 입찰가격 등을 합의하였다. * 구체적 법위반 행위 기간은 발주처, 참여 가구업체에 따라 상이함 ㅇ 이 사건 발주처별 입찰담합의 건수와 이에 참여한 피심인의 수는 다음과 같다. <표3> 발주처별 공동행위 개요 (단위: 건, 개사, 백만 원) □ (낙찰예정자 합의) 낙찰예정자 또는 낙찰순번은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先영업 업체 우대(예: 샘플하우스 건립업체) 등 건설사별로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정하였다. 순 번 발주처 입찰 수 /피심인 수 관련 매출액 순 번 발주처 입찰 수 /피심인 수 관련매출액1 HDC현대 산업개발 104/14 218,866 13 금호건설 54/13 73,831 2 지에스건설 95/19 226,926 14 계룡건설 23/8 44,731 3 롯데건설 58/13 159,657 15 금성백조주택 20/9 59,882 4 대우건설 33/8 282,729 16 두산건설 15/12 31,793 5 디엘이앤씨 20/5 181,276 17 한화 28/11 63,990 6 디엘건설 19/7 35,442 18 호반건설 30/10 66,355 7 SK에코플랜트 12/9 26,985 19 라인건설 26/4 47,021 8 현대엔지니어링 11/4 30,030 20 시티건설 25/6 38,245 9 우미건설 39/8 86,990 21 이수건설 24/6 38,353 10 한양 31/10 71,588 22 코오롱글로벌 17/14 42,127 11 쌍용건설 15/6 16,500 23 동원개발 19/7 34,799 12 고려개발 6/4 9,601 24 IS동서 14/8 58,031 합계 738/31 1,945,748 - 7 - 주사위 굴리기를 통한 낙찰순위 결정 제비뽑기를 해서 만든 낙찰순번표 * 대우건설 발주 건에서 입찰 전에 미리 준비한 주사위 2개를 굴려 그 합계가 높은 업체 순서대로 연간단가 입찰의 낙찰순위를 결정한 사례가 있었다. ** 지에스건설 발주 건에서 가구업체들은 해당 년도 예상 현장목록을 만든 후 제비뽑기를 통해 낙찰 순번을 결정하기도 하였다. ㅇ 입찰이 예상되는 여러 현장을 묶어서 한꺼번에 낙찰순번을 정하거나개별 입찰건별로 낙찰예정자를 정하기도 하였다. ㅇ 이와 같이 합의된 낙찰예정사가 견적을 작성하여 들러리사에게 이메일 등을 통해 전달하면 들러리사는 수령한 견적가격을 그대로 또는 상향 조정*하여 투찰하는 방식으로 합의를 실행하였다. * 들러리사가 견적서 금액을 조정하는 행위를 ‘흔들다’라는 용어로 사용해 왔다. - 8 - □ (입찰가격 등 합의) 명시적인 낙찰예정자 결정 없이 수주를 원하는 업체가 다른 경쟁업체에게 고가투찰을 요청하면서 견적서를 제공하거나 입찰참가자격 유지를 희망하는 업체가 낙찰확률이 높은 업체에게견적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합의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ㅇ 이를 통해 견적서를 제공한 업체는 낙찰확률을 높이거나 높은 순위를 확보할 수가 있었고, 제공받은 업체는 입찰참가자격 유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5 적용법조 및 조치내용 □ (적용법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40조 제1항 제8호(입찰 담합) □ (조치내용) 공정위는 31개 가구업체들에 시정명령(법위반행위 금지명령)과 함께 과징금 총 931억 원(잠정)을 부과하기로 결정하였다. <표4> 사업자별 과징금액(잠정) (단위: 백만 원) * 최종 과징금액은 일부 조정될 수 있음 순번 사업자명 과징금 순번 사업자명 과징금 1 현대리바트 19,122 17 베스띠아 1,026 2 한샘 21,150 18 매트프라자 361 3 에넥스 17,396 19 비앤드케이 60 4 넵스 9,785 20 SF훼미리 554 5 넥시스디자인그룹 4,954 21 제노라인 32 6 한샘넥서스 4,116 22 에넥스잠실특판 417 7 우아미 3,209 23 동명아트 10 8 선앤엘인테리어 1,242 24 한샘특판부산경남 207 9 리버스 920 25 라비채 393 10 현대엘앤씨 641 26 스페이스맥스 1,281 11 에몬스가구 907 27 제스디자인 142 12 케이씨씨글라스 1,436 28 한특퍼니쳐 99 13 대주 536 29 내외 77 14 파블로 676 30 세한프레시젼 1 15 꿈그린 1,482 31 보루네오특판 26 16 위다스 862 과징금 합계 93,120 - 9 - ※ 본 사안에 대해서는 검찰의 고발요청에 따라 2023. 4. 13. 8개 가구업체 및 12명의 전현직 임직원을 고발한 바 있으며, 현재 형사재판이 진행 중임6 의의 및 향후 계획 □ 이번 조치는 대다수 국민들의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분양원가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빌트인 특판가구 구매입찰 담합을 제재한 사례이다. ㅇ 공정위는 이번 조치가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속되어 온 가구업계의 담합관행을 근절함으로써 국민의 주거생활과 밀접한 특판가구시장에서의 경쟁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금번 결정은 중·대형 건설사가 발주한 특판가구 입찰담합을 우선 조사하여 제재한 것으로, 약 70개 소형 건설사 발주 입찰에 대한 담합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를 통해 제재할 예정 □ 앞으로도 공정위는 의식주 등 민생과 밀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담합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여 기업간 경쟁을 촉진하고, 국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 <참고 1> 31개 가구업체 일반현황 <참고 2> 사건별 합의가담 가구업체 현황 - 10 - 참고 1 31개 가구업체 일반현황 최근 3년간 가구업체 일반현황 (단위 : 백만 원) 피심인 연도 자본금 부채총계 자본총계 이익 잉여금 매출액 당기 순이익 설립일현대 리바트 2023 20,535 491,598 400,017 280,204 1,552,128 △34,715 2022 20,535 412,353 436,240 316,487 1,463,223 △49,536 ’99.6.2. 2021 20,535 368,063 485,769 365,977 1,386,038 12,414 한샘 2023 23,534 558,890 332,330 529,486 1,487,720 △53,603 2022 23,534 505,778 427,527 660,343 1,539,820 △61,762 ’73.9. 2021 23,534 483,978 595,934 739,028 1,773,411 50,787 에넥스 2023 29,995 104,692 38,349 △36,487 227,604 △19,349 2022 29,995 83,395 43,491 △15,984 202,907 △23,711 ’76.3.4. 2021 29,995 66,280 65,838 6,811 200,317 10,150 넵스 2023 5,675 100,548 96,864 87,287 117,057 △11,841 2022 5,675 87,732 108,689 99,128 98,986 323 ’94.10.27. 2021 5,675 82,751 108,757 98,805 92,369 266 넥시스* 2022 600 39,999 21,033 18,487 119,680 1,370 2021 600 34,429 19,663 17,117 85,339 1,756 ’01.3.23. 2020 600 38,787 18,807 16,261 120,411 1,111 한샘 넥서스 2023 630 96,681 17,598 14,335 163,326 △7.211 2022 630 79,678 24,195 21,773 146,373 △2,167 ’92.11.9. 2021 630 63,074 30,435 23,527 114,270 1,586 꿈그린 2023 200 4,873 12,169 8,653 19,742 1,242 2022 200 4,226 11,158 7,511 22,442 581 ’96.10.15. 2021 200 3,764 11,382 7,029 8,128 162 우아미 2023 350 32,461 14,459 14,109 96,048 1,176 2022 350 25,696 13,284 12,934 86,556 △645 ’14.2.1. 2021 350 25,086 13,929 13,579 73,870 75 위다스 2023 900 15,349 △3,658 △7,920 12,304 1,001 2022 900 18,205 △5,896 △8,912 9,042 △12,025 ’99.10.4. 2021 900 17,740 6,149 3,113 21,320 87 대주 2023 1,600 36,841 48,356 25,659 23,193 △530 2022 1,600 38,793 32,158 26,189 26,197 9,578 ’89.9.29. 2021 1,600 40,855 29,598 16,610 26,186 79 파블로 2023 550 5,001 6,811 6,254 31,907 806 2022 550 3,296 6,004 5,448 24,702 562 ’04.4.8. 2021 550 2,172 5,436 4,886 16,466 207 현대 엘앤씨 2023 8,400 359,583 178,694 58,201 840,556 12,918 2022 8,400 328,197 171,725 51,233 832,027 △1,165 ’14.7.1. 2021 8,400 321,934 160,610 40,117 845,904 △7,623 내외 2023 300 16,346 2,362 559 30,821 △890 2022 200 15,052 1,655 1,449 28,405 155 ’99.5.31. 2021 200 8,554 2,672 2,472 20,148 212 베스 띠아* 2022 500 8,101 17,969 17,416 45,435 798 2021 500 7,675 17,468 16,918 31,168 1,126 ’07.7.3. 2020 500 6,523 16,799 16,292 32,128 763 - 11 - 매트 프라자 2023 1,194 18,561 25,307 23,649 125,223 6,170 2022 1,194 25,822 19,136 17,479 81,465 611 ’08.2.5. 2021 1,194 18,420 20,852 19,195 74,724 738 보루네 오특판* 2022 10 167 13 3 1,367 3 ’22.2.7. 비앤드 케이* 2022 350 6,969 2,195 1,845 25,741 188 2021 350 6,983 2,006 1,656 28,510 254 ’12.9.30. 2020 350 5,920 1,752 1,402 19,851 190 선앤엘 2023 13,000 125,702 17,701 △86,640 171,729 △32,659 2022 10,000 101,125 47,802 △54,330 144,295 △15,677 ’03.12.8. 2021 3,000 88,552 36,232 △38,653 117,571 △35,810 리버스 2023 200 17,129 7,492 7,279 50,999 △385 2022 200 11,745 7,876 7,663 41,943 684 ’06.1.2. 2021 200 7,853 7,192 6,979 24,611 △876 에몬스 2023 3,240 46,853 54,257 29,466 143,215 1,094 2022 3,240 52,588 34,128 28,371 144,928 △313 ’79.3.1. 2021 3,240 47,368 34,439 28,685 139,866 2,634 SF 훼미리 2023 699 8,354 12,933 12,234 37,320 365 2022 699 8,198 12,608 11,909 34,454 76 ’01.7.20. 2021 699 7,311 12,491 11,792 31,887 35 제노 라인* 2022 1,000 14,786 10,170 6,536 39,117 536 2021 1,000 9,362 10,584 6,949 26,391 416 ’13.5.1. 2020 1,000 9,467 11,714 7,187 26,949 1,022 에넥스 잠실 특판 2023 500 749 1,283 783 10,652 △152 2022 500 822 1,549 1,049 8,318 273 ’05.6.28. 2021 500 289 1,336 836 3,437 11 동명 아트 2023 200 3,253 2,919 2,719 18,928 415 2022 200 3,959 2,503 2,303 7,675 551 ’17.1.1. 2021 200 2,372 1,952 1,752 7,690 142 한샘특 판부산 경남 2023 300 8,247 12,490 14,150 42,539 2,387 2022 300 7,941 10,103 11,763 24,468 1,535 ’06.11.30. 2021 300 4,424 10,945 10,645 23,762 4,562 케이씨 씨글라 스 2023 15,971 735,665 1,488,015 311,337 1,680,056 81,716 2022 15,971 733,888 1,447,179 269,945 1,435,825 132,443 ’20.1.2. 2021 15,971 474,124 1,389,013 211,495 1,175,660 117,764 세한 프레 시젼 2023 800 913 10,835 10,035 18,979 1,022 2022 800 1,959 9,813 9,013 13,915 877 ’13.5.25. 2021 800 2,531 8,936 8,136 16,552 1,354 스페이 스맥스 2023 1,273 30,075 8,563 3,778 65,270 360 2022 901 30,826 5,201 3,419 52,205 △5,532 ’96.4.8. 2021 901 24,570 14,679 8,951 43,499 182 제스 디자인 2023 200 6,635 5,359 3,361 34,824 △173 2022 200 6,036 5,668 3,534 28,578 1,074 ‘08.11.5. 2021 200 5,634 4,594 2,460 14,494 413 한특 퍼니쳐 2023 500 3,293 1,623 1,123 14,403 601 2022 500 3,670 1,022 522 8,968 △364 ‘16.6.24. 2021 500 2,856 1,386 886 2,964 △409 라비채 2023 600 3,522 4,732 721 3,022 △1,120 2022 600 2,930 2,441 1,841 4,910 △775 ‘89.9.9. 2021 600 2,784 2,219 2,616 3,068 △1,335 * 일부 업체의 경우 2023년 재무제표 미확정 등의 사유로 2022년까지의 현황을 기재하였음 - 12 - 참고 2 사건별 합의가담 가구업체 현황 구분 대우 건설 디엘 이앤씨 디엘 건설 고려 개발 롯데 건설 지에스 건설 SK에코 플랜트 HDC 현산 현대엔지 니어링 쌍용 건설 한양 우미 건설 금성백조현대리바트 ● ● ● ● ● ● ● ● ● ● ● ● ●한샘 ● ● ● ● ● ● ● ● ● ● ● ● ●에넥스 ● ● ● ● ● ● ● ● ● ● ● ● 넵스 ● ● ● ● ● ● ● ● ● ● ● ●넥시스 ● ● ● ● ● ● ● ● 한샘넥서스 ● ● ● ● ● 에몬스가구 ● ● ● ● ● ● ● 우아미 ● ● ● ● ● ●위다스 ● ● ● ● ● 베스띠아 ● ● ● ● 선앤엘인테리어 ● ● ● ●스페이스맥스 ● ● ● 대주 ● ● ● ● 파블로 ● ● ● ●라비채 ● ● 꿈그린 ● ● ● 리버스 ● ● SF훼미리 ● 제노라인 ● 케이씨씨글라스 ● ● 현대엘앤씨 ● 내외 ● 매트프라자 ●에넥스잠실특판 동명아트 한샘특판부산경남 세한프레시젼 보루네오특판 ●비앤드케이 ●제스디자인 한특퍼니쳐 피심인수 8 5 7 4 13 19 9 14 4 6 10 8 9 - 13 - 구분 두산 건설 한화 동원 개발 시티 건설 IS 동서 코오롱 글로벌 호반 건설 라인 건설 금호 건설 계룡 건설 이수 건설 관련사건 수현대리바트 ● ● ● ● ● ● ● ● ● 22 한샘 ● ● ● ● ● ● ● ● ● 22 에넥스 ● ● ● ● ● ● ● ● ● ● 22 넵스 ● ● ● ● ● ● ● ● ● 21 넥시스 ● ● ● ● ● ● ● ● 16 한샘넥서스 ● ● ● ● ● ● 11 에몬스가구 ● ● ● 10 우아미 ● ● ● ● ● ● ● 13 위다스 ● ● 7 베스띠아 ● 5 선앤엘인테리어 ● ● ● ● ● 9 스페이스맥스 ● ● ● 6 대주 ● ● 6 파블로 ● ● ● 7 라비채 2 꿈그린 ● 4 리버스 ● ● ● ● ● ● ● ● 10 SF훼미리 ● ● 3 제노라인 ● 2 케이씨씨글라스 2 현대엘앤씨 ● ● 3 내외 ● 2 매트프라자 ● 2 에넥스잠실특판 ● 1 동명아트 ● 1 한샘특판부산경남 ● 1 세한프레시젼 ● 1 보루네오특판 1 비앤드케이 1 제스디자인 ● 1 한특퍼니쳐 ● 1 피심인수 12 11 7 6 8 14 10 4 13 8 6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일체형 PC ‘삼성 올인원 Pro’ 출시 (0) | 2024.04.07 |
---|---|
경기도 고양 탄현, 우수(雨水)유출저감시설 신규 사업지 선정 (0) | 2024.04.07 |
환경부, 내 생애 아름다운 순간을 국립공원에서… 결혼식 및 촬영 무상 지원 (1) | 2024.04.07 |
국토교통부, 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공사 설명회 개최 (1) | 2024.04.07 |
국토교통부, 정부는 공적 PF보증 확대를 통해 유동성이 차질없이 공급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0) | 2024.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