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weQNs/btsFJHUmQyK/9wKcSmcrFkIF4T1YR0Hk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zdWbc/btsFLt8EJB9/IUvDpxfzJIB7zoh0zUTJv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nB0bR/btsFJmpnQ5d/cr0056b57oSLbzRLz0zK1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Ze0Hz/btsFLsu9Q5F/soUB522Dj1L0afTcZAC82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aHoE/btsFJpzDGTA/uaHkPp2BiZBWJVKxcX7jSK/img.png)
- 1 - 보도시점 2024. 3. 13.(수) 09:00 배포 2024. 3. 13.(수) 09:00 고용률ㆍ경제활동참가율 2월 기준 역대 최고- 취업자 수 2개월 연속 30만 명대 증가(+32.9만 명) '24.2월 15세 이상 고용률(61.6%)과 15~64세 고용률(68.7%)ㆍ경제활동참가율(63.6%) 모두 2월 기준 역대 최고를 기록하였으며, 청년층부터 중장년층·고령층까지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이 고르게 상승하였다. * 2월 고용지표(‘23→’24년, %): <고용률(15세+)>61.1→61.6 <고용률(15~64세)>68.0→68.7<경활률>63.1→63.6 * 연령별 고용률 증감(전년비, %p): 연령별 경활률 증감(전년비, %p): [청년] [청년] +0.5 +0.3 [30대] [30대] +1.1 +1.5 [40대] [40대] +0.6 +0.5 [50대] [50대] +0.5 +0.4 [60세+] [60세+] +0.6 +0.9 취업자수는 '22년(+103.7만명)ㆍ'23년(+31.2만명)의 높은 기저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27.9만명)ㆍ건설업(+3.6만명)ㆍ제조업(+3.8만명) 모두 증가하며2개월 연속 30만명 이상 증가하였고, 계절조정 취업자수도 3개월 연속 전월대비 증가하는 등 견조한 고용흐름이 지속되었다.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39.7 (2/4)34.6 (3/4)26.3 (4/4)30.3 (’24.1)38.0 (2)32.9 *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3.10)4.5 (11)△3.5 (12)1.1 (’24.1)8.2 (2)11.3 청년은 인구감소(△21.8만명) 등으로 취업자수는 감소(△6.1만명)하였으나, 청년 고용률(46.0%, +0.5%p)이 2월 기준 역대 최고, 청년 실업률(6.5%, △0.5%p)도 2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하는 등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 청년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8.8 (2/4)△11.8 (3/4)△11.0 (4/4)△7.4 (’24.1)△8.5 (2)△6.1 * 청년고용률(%): (‘23.1/4)45.9 (2/4)46.9 (3/4)46.8 (4/4)46.2 (’24.1)46.3 (2)46.0[+0.5%p] 청년실업률(%): (‘23.1/4)6.7 (2/4)6.2 (3/4)5.2 (4/4)5.3 (’24.1)6.0 (2)6.5[△0.5%p] 향후 고용시장은 수출개선 등 경기회복에 따라 양호한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건설수주 부진에 따른 건설고용 둔화 가능성 등 리스크요인을예의주시하며 민간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다보도참고자료 - 2 -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책임자 과 장 조성중 (044-215-8530) <총괄> 인력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송동원 (044-215-8532)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 책임자 과 장 천경기 (044-202-7260) <공동> 미래고용분석과 담당자 사무관 신효빈 (044-202-7284) - 3 - 별 첨 '24.2월 고용동향 분석 ◇ 고용률 2월 기준 역대 최고, 2개월 연속 30만명대 취업자 증가ㅇ 청년층부터 고령층까지 고용률이 고르게 상승 ㅇ 제조업(+3.8만명)·서비스업(+27.9만명)·건설업(+3.6만명) 취업자 모두 증가 * 제조업 취업자는 ‘23.1~11월 동안 감소세를 지속하다 ’23.12월부터 3개월연속 증가(‘23.12월 1.0만명 → ’24.1월 2.0만명 → 2월 3.8만명) 1. ‘24.2월 고용동향 특징 □ 고용률 61.6%(2월 역대 최고), 경제활동참가율 63.6%(2월 역대 최고), 실업률 3.2%, 확장실업률 9.8%(2월 역대 최저), 취업자수 +32.9만명 증가ㅇ 15세 이상 고용률(61.6%, +0.5%p)ㆍ15~64세 고용률(68.7%, +0.7%p)이동반 상승하며 2월 기준 역대 최고 기록(각각 ’82.7월~, ’89.1월~) * 고용률(15세+, %): (‘23.1/4)61.2 (2/4)63.2 (3/4)63.2 (4/4)62.7 (’24.1)61.0 (2)61.6 고용률(15-64세, %): (‘23.1/4)68.2 (2/4)69.6 (3/4)69.6 (4/4)69.5 (’24.1)68.7 (2)68.7 ㅇ 경제활동참가율(63.6%, +0.5%p) 2월 기준 역대 최고(’99.6월~) * 경활률(15세+, %): (‘23.1/4)63.2 (2/4)65.0 (3/4)64.7 (4/4)64.4 (’24.1)63.3 (2)63.6 ㅇ 실업률(3.2%) 소폭 상승(+0.1%p), 실업자수 +2.5만명 증가 * 실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7.2 (2/4)△8.1 (3/4)△3.8 (4/4)0.8 (’24.1)4.8 (2)2.5 실업률(15세 이상, %): (‘23.1/4) 3.2 (2/4) 2.7 (3/4) 2.3 (4/4) 2.6 (’24.1)3.7 (2)3.2 확장실업률(15세 이상, %): (‘23.1/4) 9.9 (2/4) 8.9 (3/4) 8.7 (4/4) 8.6 (’24.1)10.0 (2)9.8 ㅇ 취업자수 전년대비 +32.9만명 증가(36개월 연속) *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39.7 (2/4)34.6 (3/4)26.3 (4/4)30.3 (’24.1)38.0 (2)32.9 ▪ 계절조정 취업자수는 3개월 연속 전월비 증가(+11.3만명) * 취업자 증감(전월비, 만명): (’23.10)4.5 (11)△3.5 (12)1.1 (’24.1)8.2 (2)11.3 15세 이상 고용률ㆍ실업률(원계열, 매년 2월) 전체 취업자수 및 증감(원계열, 계절조정, 전년비) - 4 - □ (산업) 제조업(+3.8만명), 서비스업(+27.9만명), 건설업(+3.6만명) 모두 증가ㅇ (제조) 수출개선 등으로 취업자수 3개월 연속 증가(+3.8만명) * 제조업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3.7 (2/4)△4.9 (3/4)△5.8 (4/4)△2.6 (’24.1)2.0 (2)3.8 * 수출(전년비, %): (’23.1/4)△12.8 (2/4)△12.0 (3/4)△9.7 (4/4)5.8 (‘24.1)18.0 (2)4.8 ㅇ (서비스) 36개월 연속 20만명 이상의 취업자수 증가 지속(+27.9만명) * 서비스업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46.9 (2/4)45.0 (3/4)33.6 (4/4)28.5 (’24.1)28.6 (2)27.9 ▪ IT 인력 수요 지속되며 정보통신업 증가폭 확대, 돌봄수요 확대 지속 등으로 보건복지업 증가 지속 * 업종별 취업자수 증감(‘24.1→2월, 만명): [정보통신] 4.9 → 8.0 [보건복지] 10.4 → 7.2 ▪ 기저효과(’23.2월 17.6만명) 등으로 숙박음식업 소폭 감소, 부동산 거래 둔화 등으로 부동산업 감소 지속 * 업종별 취업자수 증감(‘24.1→2월, 만명): [숙박음식] △0.8 →△0.2 [부동산] △2.8 → △2.1 ㅇ (건설) 6개월 연속 취업자수 증가(+3.6만명) * 건설업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2.1 (2/4)△5.3 (3/4)△0.2 (4/4)3.9 (’24.1)7.3 (2)3.6 □ (지위·시간) 상용직 비중 역대 최고 기록 등 고용의 질 개선 지속 ㅇ (지위) 상용직 중심 증가, 상용직 비중은 2월 기준 역대 최고 * 상용직 비중(2월, %):(’00)30.8 (‘05)35.2 (‘10)42.8 (’15)49.1 (‘20)54.4 (’23)57.4 (’24)58.0 임금근로자 지위별 증감(‘24.2월, 전년비, 만명): <상용>35.7 <임시>20.7 <일용>△17.7 ▪ 고용원有 자영업자는 증가 지속, 고용원無 자영업자는 감소 지속 * 비임금근로자 증감(‘24.2월, 전년비, 만명): <고용有>3.8 <고용無>△6.0 <무급가족>△3.6 ㅇ (시간) 설 영향으로 취업시간 감소( 5.1시간), 일시휴직 증가(+7.6만명) * 시간대별(’24.1→2월, 전년비, 만명): (1~35)△1.3→966.8 (36↑)42.9→△941.6 (일시휴직)△3.6→7.6 * 조사주간에 설연휴가 포함된 ’10년(+15.5만명), ‘13년(+5.1만명)도 일시휴직 큰 폭 증가 - 5 - □ (연령) 全 연령대 고용률 상승 + 청년층 고용률 역대 최고 실업률 역대 최저ㅇ 全 연령대 고용률 상승, 30대는 인구감소에도 취업자수 증가* 연령대별 취업자(전년비, 만명): ↳ 인구(전년비, 만명): ↳ 고용률 증감(전년비, %p) : [청년] [청년] [청년] △6.1 △21.8 0.5 [30대] [30대] [30대] 7.1 △0.8 1.1 [40대] [40대] [40대] △6.2 △13.9 0.6 [50대] [50대] [50대] 8.4 5.9 0.5 [60세+] [60세+] [60세+] 29.7 47.6 0.6 ▪ (고령)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세 지속 * 고령층 취업자수 증감(전년비, 만명): [60~64]3.0 [65~69]11.0 [70~74]6.9 [75세 이상]8.8 ▪ (청년) 인구감소( 21.8만명)로 취업자수는 감소( 6.1만명)하였으나, 2월 기준 고용률 역대 최고, 실업률 역대 최저 등 양호한 흐름 * 청년 취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23.1/4)△8.8 (2/4)△11.8 (3/4)△11.0 (4/4)△7.4 (’24.1)△8.5 (2)△6.1 * 청년고용률(%): (‘23.1/4)45.9 (2/4)46.9 (3/4)46.8 (4/4)46.2 (’24.1)46.3 (2)46.0[+0.5%p] 청년실업률(%): (‘23.1/4)6.7 (2/4)6.2 (3/4)5.2 (4/4)5.3 (’24.1)6.0 (2)6.5[△0.5%p] 2. 평가ᆞ전망 및 대응방향 □ (평가·전망) 2개월 연속 30만명대 취업자 증가 등 견조한 고용 흐름 지속ㅇ (평가) 2년간의 기저(‘22.2월 +103.7만명 / ‘23.2월 +31.2만명)에도 불구, 서비스·건설·제조업 모두 고용 증가하며 취업자 30만명 이상 증가 ▪ 청년층부터 중장년층, 고령층까지 고용률이 고르게 상승하며15~64세 및 15세 이상 고용률 역대 최고(2월 기준) ㅇ (전망) 수출개선 등 경기회복으로 양호한 고용흐름 지속 전망, 건설수주 부진에 따른 건설고용 둔화 가능성 등 하방요인 상존□ (대응) 민간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 + 고용 취약계층 지원 ㅇ 수출·내수의 균형잡힌 회복과 경제역동성 제고를 통한 민간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 강화 ▪ 지역투자 활성화 등 건설투자 보강 방안 마련·추진 ㅇ 청년·여성 등 고용취약계층 맞춤형 취업지원 노력 지속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청, 2024년 2월 고용동향 (1) | 2024.03.13 |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불고기.소시지.햄 등 식육가공품 제조업체 점검 결과…21곳 적발 (0) | 2024.03.13 |
방송통신위원회, 전환지원금 통해 단말기 구입 부담 확 낮춘다 ! (0) | 2024.03.13 |
국토교통부, GTX 사업, 해외에서도 뜨거운 관심 (0) | 2024.03.13 |
국토교통부, ‘가덕도신공항’ 여객터미널 국제설계공모 (0) | 2024.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