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고속도로 자율주행 화물차 시범운행 착수









- 1 - 보도자료 보도시점 월 이후 화 조간 : 2024. 12. 2.( ) 11:00 (12. 3.( ) ) / : 2024. 12. 2.( )배포 월고속도로 자율주행 화물차 시범운행 착수 - 광역 화물운송 정상회의 자율셔틀 등을 위한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곳 지정 , APEC 9 - BRT 충청권 광역교통망( A ) 최고 등급 등 기존 지구 운영성과도 함께 공개 □ 고속도로에서 자율차를 이용한 장거리 고속 화물운송이 시작되고 년 , ’25 경주에서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주요국 참석자와 관광객을 실어 나르는 자율주행 셔틀이 도입되는 등 일상 속 에서 체감할 수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가 확대될 전망이다. □ 국토교통부( ) 장관 박상우 는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년 하반기 ’24 9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곳을 지정한다고 밝혔다. * 자율주행 실증 촉진을 위해 자율주행 여객 화물운송 특례 등이 부여되는 지구 ・ ㅇ 이로써 주요 고속도로, 수원광교, 경기화성, 용인동백, 충남천안, 서울 동작 등 6곳이 시범운행지구로 신규 지정되었고 기존에 지정되었던 , 경북경주, 서울 중앙버스 전용차로, 충청권 광역교통망 등 3곳의 운영 구간도 확대되었다. □ 고속도로신규 시범운행지구는 광역 자율주행 화물운송 실증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월 ’24.7 「자율주행자동차법」을 개정*한 이후 국토부 장관의 최초 지정지구이며 자율주행 , 업계의 수요를 반영하여 경부선 중부선 ・ 등 주요 물류구간(358km, 7%) 총 연장의 약 이 포함되었다. * (기존) · → ( 시도지사 신청 필요 개정) , · 국토부가 광역노선을 발굴 시도지사 협의를 거쳐 지정 , ㅇ 이와 함께 내년 초부터 해당 지구에서 자율주행 화물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상 화물운송 특례허가를 준비 중이다. - 2 - 한편, ㅇ 경주변경 보문관광단지에서 APEC 정상회의 개최(’25.10 ) 월 시 주요 회의장과 숙박시설을 연결하는 자율주행 셔틀을 운영하여 한국의 자율 주행 기술을 세계 주요국들에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 그 외에도 ㅇ 서울 중앙버스차로변경에서 새벽 첫차 버스의 운영을 확대하고, 충청권 광역교통망변경 내 오송역과 조치원역 사이 교통소외구간에 자율 주행 수요응답형 셔틀을 도입하는 등 자율차가 시민의 새로운 발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 아울러 ’23년 시범운행지구 운영성과를 평가한 결과, 충청권 광역교통망 ( - - ) 세종 충북 대전 은 도로 BRT (90.3km)를 활용한 국내 최장 실증 지구로서 운영계획 이행도 및 기반시설 관리 실적 등이 우수하여 최고 등급(A)을 받게 되었다. ㅇ 그 외 서울상암은 교통약자 특화 수요응답형 , 자율주행 셔틀 라스트 마일(Last-mile) 자율주행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운영실적으로 인해 ’22 2 년에 이어 년 연속으로 A등급을 받았다.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 시범운행지구 위원회 공동위원장 은 “자율주행 기술은 국민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미래 신기술” , 이라고 언급하며 “ ㅇ 고속도로 자율주행 화물운송과 같이 업계의 도전적인 기술 실증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행 제도가 실질적 규제로 작용 하고 있지는 않은지 지속 살펴보고 계속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라고 밝혔다. 담당 부서 모빌리티자동차국 책임자 과 장 임월시 (044-201-3847) 자율주행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김동환 (044-201-3852) 담당자 주무관 김만호 (044-201-4147) - 3 - 붙임1 시범운행지구 개요 및 지정현황 □ 시범운행지구 개요 ㅇ * 1 (‘20.12), 2 (’21.4), 3 (‘22.6), 4 (’22.11), 5 (‘23.6), 6 (’23.11) 제 차 제 차 제 차 제 차 제 차 제 차 □ 시범운행지구 내 특례 ㅇ * , , , 수요응답형 셔틀 일반 셔틀 시내버스 시외버스 등의 유상 여객운송사업 가능 ㅇ ㅇ * 운전자 없이 승객만 탑승하는 경우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경우 최고속도 미만인 경우 , , 40km/h ㅇ □ 지정절차 및 지정기준 ㅇ ㅇ - 4 - □ 제 차 시범운행지구 신규 변경 지정지구 8 ・ 지구명 위치 서비스 유형 / 주요특징 신 규 수원 광교 ㅇ (위치) 수원시 광교 동 일원 1 (6.6km) ㅇ (운행내용) 노선 수요응답형 셔틀 ㅇ (주요특징) 카페거리 등 수원시 대표 도심으로 수요응답형 자율주행셔틀을 , 통해 주민 이동수요 충족 기대 화성 자율주행 리빙랩 ㅇ (위치) 남양읍 등 일원(30.1 +24.4km) ㎢ ㅇ (운행내용) 서부권 일원에서 교통약자 이동지원 방역 등 도시환경 관리 및 , 교통 서비스 등 노선 구역형 서비스 ・ ㅇ (주요특징) 화성시는 범부처 를 R&D 통한 자율주행 리빙랩 도시로 선정 ‘ ’ 용인 동백 ㅇ (위치) 용인시 동백 동 일원 2 (3.6km) ㅇ (운행내용) 노선 정기운행 셔틀 ㅇ (주요특징) 택지개발지구 내 정형화된 도로망을 활용한 자율주행 실증 계획 - 5 - 충남 천안 ㅇ (위치) 충남 천안시 일원(5.9km) ㅇ (운행내용) 노선 정기운행 셔틀 ㅇ (주요특징) , 향후 주민 수용성 교통효과 등을 고려하여 천안 시내 자율차 기반 대중교통체계 도입을 목표 년 (’29 ) 서울 동작 ㅇ (위치) 동작구 상도 동 일원 1 (1.62km) ㅇ (운행내용) 노선 정기운행 버스 ㅇ (주요특징) 대중교통소외지역과 대학간 연계를 통해 주민 이동 편의성 제고 - 대학생 이용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술 체감도 향상 기대 고속 도로 ㅇ (위치) 332.3km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 25.7km( 358km) 총 ㅇ (주요내용) 고속도로 자율 화물운송 ㅇ (주요특징) 주요 물류거점( ) 옥천 증평 등 ・ 을 연결하는 고속도로( · ) 경부선중부선 등 구간을 규제 특례지역으로 지정 - 자율주행 업체 및 물류운송 기업 대상 수요조사 결과를 반영 - 6 - 변 경 경북 경주 ㅇ (위치) 보문관광단지 일원(12.85km) ㅇ (변경내용) 운행구간 연장(3.15km ) ↑ 및 셔틀 대수 확대(1 3 ) 대 대 → ㅇ (주요특징) ‘25 APEC 년 정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회의실 및 숙소 인근 구간에서 자율주행셔틀 운행 서비스 제공 - 이후에도 보문관광단지는 관광인구가 많아 이용수요는 지속 증가 예상 서울 중앙 버스 전용 차로 (→대중 교통) ㅇ (위치) 서울 버스 중앙차로 구간 ㅇ (변경내용) 명칭변경 및 새벽버스 운영 노선 확대( ~ , ~ 상계 고속버스터미널 세종로 가산단지 은평뉴타운 양재역 , ~ ) ㅇ (주요특징) 새벽 시간대 환경미화원 , 청소인력 경비업무 종사자 등의 이동 , 수요충족 - 실제 통행량 분석을 통해 새벽 승객 수요가 가장 높은 구간 위주로 선정 충청권 ㅇ (위치) - - 충북 세종 대전 일원 ㅇ (변경내용) ~ 오송역 조치원역 구간에 DRT 3대 신규 투입 ㅇ (주요특징) ’24.12 ~ 월 오송역 청주공항 BRT 구간 내 자율버스 운행이 개시될 예정으로 오송역 인근 이동수요도 , 증가되어 서비스 체감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 - 7 - □ 시범운행지구 지정현황(’24.12 ) 월 기준 : 8 · 제 차 신규 변경지구 연번 지구 지자체 ( ) 지구 범위 최초 지정시기 1 서울 상암 ‧ 서울 상암동 일원(6.6K ) ㎢ ‘20.12(1 ) 차 2 서울 강남 ‧ 강남구 서초구 일원 · (20.4 ) ㎢ ‘22.6(3 ) 차 3 서울 청계천 ‧ 종로구 청계천 일원(9.9km) ‘22.6(3 ) 차 4 서울 청와대 · · (3.8km) 서울시 청와대 경복궁 일원 ’23.6(5 ) 차 5 서울 여의도 · (3.1km) 서울 국회주변 일원 ’23.6(5 ) 차 6 서울 중앙버스전용차로 · ~ (97km) 서울 합정역 청량리역 일원 ’23.6(5 ) 차 7 서울 동작 · 1 (1.62km) 동작구 상도 동 일원 ‘24.12(8 ) 차 8 부산 오시리아 · 부산 오시리아 관광단지 일부구간 (4.75km) ‘22.11(4 ) 차 9 대구 산단 서대구역 - · - (19.3 , 40.8km) 국가산단 서대구역 등 ㎢ ‘20.12(1 ) 차 10 대구 동성로 · (4.55km) 대구 중구 일원 ‘23.11(6 ) 차 11 광주 평동산단 · (4.4 , 14.2km) 광산구 평동산단 등 ㎢ ‘20.12(1 ) 차 12 충청권 충북 세종 대전 · · · BRT (113km) 충북 세종 대전 노선 ↔ ↔ ‘20.12(1 ) 차 13 세종 상상지구 · BRT (22.9km), 1~4 (27.12 ) 노선 생활권 ㎢ ‘20.12(1 ) 차 14 경기 판교 ‧ · (1.34 , 2.69km) 성남시 분당구수정구 일원 ㎢ ‘21.4(2 ) 차 15 경기 시흥 ‧ 배곧동 정왕 일원 , (9.5km) ‘22.6(3 ) 차 16 경기 안양 ‧ 안양시 일원(10.6km) ‘23.11(6 ) 차 17 경기 수원광교 ‧ 수원시 광교 동 일원 1 (6.6km) ‘24.12(8 ) 차 18 경기 화성 리빙랩 ‧ 서부권 일원(30.1 +21.4km) ㎢ ‘24.12(8 ) 차 19 경기 용인동백 ‧ 용인시 동백 동 일원 2 (3.6km) ‘24.12(8 ) 차 20 충북 혁신도시 · · (6.8km)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 일원 ’23.6(5 ) 차 21 충남 내포신도시 · (14.5km) 내포신도시 일원 ’23.6(5 ) 차 - 8 - 연번 지구 지자체 ( ) 지구 범위 최초 지정시기 22 충남 당진 · (7.3km) 당진 시내 일원 ‘24.6(7 ) 차 23 충남 천안 ‧ 천안아산 역 일원 KTX (5.9km) ‘24.12(8 ) 차 24 전북 군산 · , (2.8 , 41.6km) 새만금 고군산군도 일원 ㎢ ‘22.6(3 ) 차 25 전북 익산 · (10.7km)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 일대 ‘22.11(4 ) 차 26 전북 광역운송망 · - (61.3km) 전라북도 군산시 전주시 일원 ‘24.6(7 ) 차 27 전남 순천 · (9.8km) 순천역 국가정원 ∼ ‘22.6(3 ) 차 28 전남 해남 · (8.2 ) 해남군 산이로 일원 ㎞ ‘23.11(6 ) 차 29 경북 도청신도시 · (11.5km) 경북도청 신도시 일원 ’23.6(5 ) 차 30 경북 경주 · (12.85 ) 경주 보문관광단지 일원 ㎞ ‘23.11(6 ) 차 31 경남 하동 · · (27.1km) 하동군 시가지 화개장터 일원 ’23.6(5 ) 차 32 경남 사천 · (7.3 ) 사천시 일원 ㎞ ‘23.11(6 ) 차 33 강원 강릉 ‧ 강릉시 일원(53.5km) ‘22.6(3 ) 차 34 강원 원주 ‧ 혁신도시 반곡관설동(10km) ‘22.6(3 ) 차 35 제주 시청 서귀포 - · 제주시청 서귀포제 청사 등 ~ 1 (2.2 , 69.8km) ㎢ ‘20.12(1 ) 차 36 제주 첨단과기단지 · (11.7km) 제주시 첨단로 일원 ’23.6(5 ) 차 37 인천 구월 · (4.2km) 인천시청 일원 ‘23.11(6 ) 차 38 인천 송도 · (3.65km) 송도 센트럴파크 일원 ‘23.11(6 ) 차 39 인천 영종 · (3.65km) 영종 운서역 하늘도시 일원 ~ ‘23.11(6 ) 차 40 인천 국제공항 · (17km) 국제공항 일원 ‘23.11(6 ) 차 41 울산 테크노산단 · (1.8km) 울산 남구 테크노산업로 일원 ‘23.11(6 ) 차 42 고속도로 · 경부선 등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 등(358km) ‘24.12(8 ) 차 - 9 - 붙임 2 시범운행지구 운영성과 평가 개요 및 결과 □ 평가 개요 ㅇ ㅇ * (서울) , , , , ( 상암 강남 청계천 청와대 중앙버스전용차로 경기) , , ( 판교 시흥 충청) · , 충북세종 (충북) , ( 혁신도시 충남) , ( 내포신도시 강원) , , ( 강릉 원주 전북) , , ( 군산 익산 전남) , 순천 (경북) , ( 도청신도시 경남) , ( 하동 제주) - , , ( 공항 중문 첨단 세종), (대구), (광주), (부산) ㅇ * 평가항목방법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성과평가 위탁기관 및 평가기준 등 고시 를 따름 · 「 」 □ 지구별 평가결과 : 총 개 지구 24 연번 지구명 평가등급 연번 지구명 평가등급 1 서울 상암 ( ) A 13 충남 내포 ( ) D 2 충청권 A 14 서울 강남 ( ) D 3 제주 B 15 강원 강릉 ( ) D 4 경기 판교 ( ) B 16 전남 순천 ( ) E 5 대구 B 17 제주 첨단 ( ) E 6 서울청와대 ( ) B 18 경남 하동 ( ) E 7 서울여의도 ( ) B 19 전북 군산 ( ) E 8 서울청계천 ( ) C 20 경기 시흥 ( ) E 9 서울중앙차로 ( ) C 21 경북 도청 ( ) E 10 충북 혁신 ( ) C 22 부산 E 11 세종 C 23 전북 익산 ( ) E 12 광주 D 24 강원 원주 ( ) E